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486294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2011. 8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72.2107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광주

      • 기타서명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Based on Responsive Interaction

      • 형태사항

        viii, 220 p. : 도표 ; 30 cm.

      • 일반주기명

        전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최미숙
        참고문헌 : p. 160-180

      • 소장기관
        • 광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아는 인간관계를 비롯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하고 성장한다. 본 연구는 유아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반응적 상호작용을 통해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소양과 정서 발달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효과는 어떠한가?
      [2-1]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의 절차와 방법을 연구문제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전문가와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면담 및 음악활동 관찰을 순환적 과정을 통해 실시하여 유아 음악활동의 실태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유아 음악활동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점 및 시사점을 추출하였고,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수립한 프로그램 개발 방향과 문헌고찰을 토대로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성은 목적 및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교사 역할로 구분하였으며, 선정 과정에서 전문가 자문과 교사 협의를 통해 수정․보완하였고 타당도 검증 과정을 거쳤다.
      [연구문제 2]는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 음악적 능력, 정서 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I유치원 2학급 만 4세 유아 51명(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6명)이다. 연구도구는 박은영(2011)이 제작한 교사용 유아 음악적 태도, 한국가이던스(2000)의 유아 음악 적성을 통해 유아의 음악적 능력, 김경회(1998)가 개발한 교사용 유아 정서 지능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기간은 2010년 12월 22일~2011년 2월 18일까지 주 3회씩 7주 동안 총 21차시이며, 실험집단은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음악활동을 하였고 통제집단은 일반 음악활동을 하였다. 실험 처치 후 유아의 음악적 태도, 음악적 능력, 정서 지능 점수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공변량분석(ANCOVA)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유아가 음악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민감하고 수용적인 반응적 상호작용을 통해 음악적 능력을 신장시키며, 정서 발달과 음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여 음악을 즐기고 생활화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목표는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을 통해 음악에 대한 심미적 경험과 긍정적인 태도 형성, 음악적 능력과 정서 지능 증진이다. 내용은 활동 영역, 이해 영역, 제재곡을 구성하였다. 활동 영역은 듣기와 음악 감상하기,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음악 만들기, 신체 표현하기이다. 이해 영역은 강약, 고저, 리듬, 빠르기, 음색, 화성이다. 제재곡은 감상곡과 노래이다. 교수∙학습 방법은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과정, 교수∙학습 전략, 교수∙학습 매체로 구분하였다. 교수∙학습 원리는 교사-유아 상호주도, 반응적 소통, 생활주제 연계, 유아의 발달 수준과 흥미 고려, 융통성, 활동 중심이다. 교수∙학습 과정은 도입 단계(주의 집중하기, 주제 관련 활동하기), 전개 단계(탐색하기, 반응적 표현하기), 마무리 단계(평가, 마침 노래, 차시 예고)이다. 교수∙학습 전략은 교류하기, 리더하기, 단서주기, 반응하기, 집중하기이다. 교수∙학습 매체는 악기와 활동 자료이다. 평가는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자기 평가, 유아에 대한 교사 평가, 유아의 자기 평가, 유아의 또래 평가이다. 교사 역할은 민감한 반응자, 비평가적 수용자, 비형식적 안내자, 상호작용 촉진자, 환경 구성자이다.
      둘째,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유아의 음악적 태도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개방성과 표현력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적극성, 주의집중, 호기심, 흥미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의 음악적 능력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화성과 감상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강약, 고저, 리듬, 음색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의 정서 지능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 타인정서 인식 및 배려, 또래와의 관계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자기 정서 인식 및 표현, 자기 정서 이용, 교사와의 관계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 음악적 능력, 정서 지능을 증진하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유아가 음악활동에서 음악적, 비언어적, 정서적 행위를 주고받는 반응적 상호작용을 통해 음악적 소양과 정서 발달에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은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천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번역하기

      유아는 인간관계를 비롯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하고 성장한다. 본 연구는 유아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반응적 상호작용을 통해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소양과 정서 발달을 향...

      유아는 인간관계를 비롯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하고 성장한다. 본 연구는 유아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반응적 상호작용을 통해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소양과 정서 발달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효과는 어떠한가?
      [2-1]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의 절차와 방법을 연구문제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전문가와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면담 및 음악활동 관찰을 순환적 과정을 통해 실시하여 유아 음악활동의 실태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유아 음악활동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점 및 시사점을 추출하였고,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수립한 프로그램 개발 방향과 문헌고찰을 토대로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성은 목적 및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교사 역할로 구분하였으며, 선정 과정에서 전문가 자문과 교사 협의를 통해 수정․보완하였고 타당도 검증 과정을 거쳤다.
      [연구문제 2]는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 음악적 능력, 정서 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I유치원 2학급 만 4세 유아 51명(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6명)이다. 연구도구는 박은영(2011)이 제작한 교사용 유아 음악적 태도, 한국가이던스(2000)의 유아 음악 적성을 통해 유아의 음악적 능력, 김경회(1998)가 개발한 교사용 유아 정서 지능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기간은 2010년 12월 22일~2011년 2월 18일까지 주 3회씩 7주 동안 총 21차시이며, 실험집단은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음악활동을 하였고 통제집단은 일반 음악활동을 하였다. 실험 처치 후 유아의 음악적 태도, 음악적 능력, 정서 지능 점수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공변량분석(ANCOVA)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유아가 음악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민감하고 수용적인 반응적 상호작용을 통해 음악적 능력을 신장시키며, 정서 발달과 음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여 음악을 즐기고 생활화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목표는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을 통해 음악에 대한 심미적 경험과 긍정적인 태도 형성, 음악적 능력과 정서 지능 증진이다. 내용은 활동 영역, 이해 영역, 제재곡을 구성하였다. 활동 영역은 듣기와 음악 감상하기,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음악 만들기, 신체 표현하기이다. 이해 영역은 강약, 고저, 리듬, 빠르기, 음색, 화성이다. 제재곡은 감상곡과 노래이다. 교수∙학습 방법은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과정, 교수∙학습 전략, 교수∙학습 매체로 구분하였다. 교수∙학습 원리는 교사-유아 상호주도, 반응적 소통, 생활주제 연계, 유아의 발달 수준과 흥미 고려, 융통성, 활동 중심이다. 교수∙학습 과정은 도입 단계(주의 집중하기, 주제 관련 활동하기), 전개 단계(탐색하기, 반응적 표현하기), 마무리 단계(평가, 마침 노래, 차시 예고)이다. 교수∙학습 전략은 교류하기, 리더하기, 단서주기, 반응하기, 집중하기이다. 교수∙학습 매체는 악기와 활동 자료이다. 평가는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자기 평가, 유아에 대한 교사 평가, 유아의 자기 평가, 유아의 또래 평가이다. 교사 역할은 민감한 반응자, 비평가적 수용자, 비형식적 안내자, 상호작용 촉진자, 환경 구성자이다.
      둘째,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유아의 음악적 태도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개방성과 표현력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적극성, 주의집중, 호기심, 흥미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의 음악적 능력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화성과 감상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강약, 고저, 리듬, 음색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의 정서 지능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 타인정서 인식 및 배려, 또래와의 관계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자기 정서 인식 및 표현, 자기 정서 이용, 교사와의 관계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 음악적 능력, 정서 지능을 증진하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유아가 음악활동에서 음악적, 비언어적, 정서적 행위를 주고받는 반응적 상호작용을 통해 음악적 소양과 정서 발달에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은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천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ⅵ
      • Ⅰ. 서 론 1
      • 목 차
      • 국문초록 ⅵ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6
      • 3. 용어의 정의 6
      • Ⅱ. 이론적 배경 8
      • 1. 유아음악교육 8
      • 가. 유아음악교육의 의의와 목적 및 목표 8
      • 나. 유아음악교육의 내용과 방법 13
      • 다.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및 관련 연구 25
      • 2. 유아교육에서의 반응적 상호작용 34
      • 가. 반응적 상호작용의 의의 34
      • 나. 반응적 상호작용의 내용과 방법 36
      • 다. 유아음악교육에서의 반응적 상호작용 관련 연구 38
      • 3 . 유아음악교육과 음악적 태도, 음악적 능력, 정서 지능 41
      • 가. 유아음악교육과 음악적 태도 41
      • 나. 유아음악교육과 음악적 능력 43
      • 다. 유아음악교육과 정서 지능 45
      • Ⅲ.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48
      • 1. 전체 연구 진행 개요 48
      • 2. 프로그램 개발를 위한 유아 음악활동 실태 및 요구 조사 50
      • 가. 연구대상 50
      • 나. 연구도구 53
      • 다. 연구절차 56
      • 라. 연구결과 60
      • 마. 결과반영 72
      • 3.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절차 75
      • 4.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구성 79
      • 가. 목적 및 목표 79
      • 나. 내용 83
      • 다. 교수 ∙ 학습 방법 95
      • 라. 평가 105
      • 마. 교사 역할 108
      • 5.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최종안 112
      • Ⅳ.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효과 검증 115
      • 1. 연구방법 115
      • 가. 연구대상 115
      • 나. 연구도구 116
      • 다. 연구절차 120
      • 라. 자료처리 134
      • 2. 연구결과 134
      • 가. 유아의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135
      • 나.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139
      • 다. 유아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효과 143
      • Ⅴ. 논의 및 결론 148
      • 1. 논의 148
      • 2. 결론 157
      • 참고문헌 160
      • Abstract 181
      • 부록 18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usic Matters, Elliotte, D. J., Music matters, , 1995

      2. 음악교육론, 유덕희, , 1983

      3. 음악치료학, 최병철, 학지사, , 2015

      4. Deeper than Reason, Robinson, , 2005

      5. Starting Strong II, Development, OECD,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 2006

      6. 유아음악교육, 안재신, 교육과학사, , 1996

      7. Music Learning Theory, GIML The Gordon Institute for Music, , 2011

      8. 유아음악교육론, 김영연, 학지사, , 2002

      9. Emotional intelligence, Goleman, Daniel, Bantam Books, , 1996

      10. When I listen to music, Russell, , 2000

      1. Music Matters, Elliotte, D. J., Music matters, , 1995

      2. 음악교육론, 유덕희, , 1983

      3. 음악치료학, 최병철, 학지사, , 2015

      4. Deeper than Reason, Robinson, , 2005

      5. Starting Strong II, Development, OECD,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 2006

      6. 유아음악교육, 안재신, 교육과학사, , 1996

      7. Music Learning Theory, GIML The Gordon Institute for Music, , 2011

      8. 유아음악교육론, 김영연, 학지사, , 2002

      9. Emotional intelligence, Goleman, Daniel, Bantam Books, , 1996

      10. When I listen to music, Russell, , 2000

      11. 음악교육학 개설, 이용일, , 1999

      12. 열린 음악의 세계, 이강숙, 시공사, , 1993

      13. A User’s guide to brain, Ratey, , 2001

      14. Music all the livelong day, Moravcik, , 2000

      15. 아동음악치료방법론, 김종인, , 2008

      16. Child development (10th ed.), Santrock, , 2004

      17. Music-centered music therapy, Aigen, Kenneth, Barcelona Publishers, , 2005

      18. 뮤직가-튼 교사지침서, Lorna Heyge, 오세집, , 1999

      19. 유치원 실태조사 보고, 나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 2005

      20. 유치원 지도서. 1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지도서1 총론, , 2009

      21. Culture-centered music therapy, Stige, , 2002

      22. Teacher Control and Creativity, Wiggins, , 1999

      23. Weaving music into young minds, Miche>, Mary, Delmar Thomson Learning, Weaving music into young minds, , 2002

      24. 유아교육사전 : 용어편, 한국유아교육학회, 한국사전연구사, 유아교육사전(용어편), , 1997

      25. Child care and child development,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 2005

      26. Constructions of Musical Ability, Jackie, Susan, , 2002

      27. 음악교육의 이해와 실천, 석문주, 교육과학사, , 2006

      28. 음악교육의 현재적 접근, 이홍수, , 1990

      29. Musicality. In G. McPherson (Ed.), Hallam, , 2006

      3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김양분, , 1990

      31. MMCP final report. MMCP Interaction, Thomas, , 1970

      32. Musik f?r Kinder. Mainz, Germany: B, Orff, Keetman, "Musik f?r Kinder. Mainz, , 1966

      33. Sing a song and let the magic begin, Church, , 2002

      34. The musical lives of young children, Flohr, , 2005

      35. 음악치료학의 이해와 적용, 정현주,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2005

      36. 유아교육프로그램평가척도, 이기숙, 이은해, 유아교육프로그램 평가 척도, , 1996

      37. Creative activities for string student, Stabley, , 2001

      38. Foundation of music education (2nd ed), Abeles, Hoffer, Koltman, , 1994

      39. Creativity in music and early childhood, Hildebrandt, , 1998

      40. Multiple intelligences in the classroom, Armstrong, Thomas,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 2000

      41. 아동의 음악 이해에 관한 연구, 신인숙 ( Sin In Sug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 2000

      42. 2006년 보육시설 평가인증지침서, 여성가족부, , 2006

      43. Developmentally Appropriate Music Practice, Neelly, Developmentally appropriate music practice, , 2001

      44. Music, brain research, and better behavior, Wilcox, "Music, , 2000

      45. The importance of music in early childhood, Levinowitz, , 1998

      46. 초등학교 음악과 수업 활동 분석, 김명숙, , 2007

      47. Developing musical intelligence: Why and how, Synder, , 1997

      48. Discovering music in early childhood, Newton, Mooman, "Discovering music in early childhood, , 1984

      49. Carl orff and his child-centered musiceducation, Nash, Cole, , 2000

      50. Creative expression and play in early childhood, Isenberg, Joan P., Merrill, , 1997

      51. 음악적성검사[Musical Talent Test, 4-7세], 한국가이던, 한국가이던스, "음악적성검사[Musical Talent Test, , 2000

      52. Interactive Advertising and Presence: A Framework, Lombard, Snyer-Duch, Interactive advertising and presence: A framework, , 2001

      53. Music a way of life for the young child (5th ed.), Edwards, Ramsey, Bayless, , 2005

      54. Resilience: When coping isemotionally intelligent, Warelow, Edward, Resilience: When coping is emotionally intelligent, , 2005

      55. Strategies for teaching young children. (3th ed.), Schickedanz, Stewart, York, White, , 1990

      56. 유아의 음악 듣기교육 프로그램 연구, 박명숙, 檀國大學校 大學院,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0

      57. Processes in music therapy. In. E. T. Gaston (Ed.), Sears, , 1968

      58. 음악과 교육과정 평가 방법 분석 연구, 이경언,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교원교육, , 2006

      59. 음악하기에 기초한 통합음악교육 연구, 윤성원, , 2008

      60. MENC position statement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MENC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Music Education, , 1992

      61. Frames of mind :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Gardner, Howard, BasicBooks,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62. Orff-Schulwerk Music for children: teacher’s manual, Orff, Hall, , 1976

      63. 아동 중심 놀이 치료 : 아이 사랑 클리닉, 황명숙, 창지사, , 2002

      64. 유아의 정서 지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이영자, 창지사, 유아의 정서 지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 2000

      65. Infant's and toddlers: Curriculum and teaching(5th ed), Watson, Wilson, Douville-Watson, , 2002

      66. 영유아 음악교육연구의 발달과정과 전망, 김영연, 윤선희, 박영옥, 영?유아음악교육 연구의 발달과정과 전망, , 2005

      67.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능력 평가도구 개발, 박은영 ( Eun Young Park ), 한국음악교육학회, "음악교육연구, , 2009

      68.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musical behavior (4rd ed.), Boyle, Radocy, , 2003

      69. Music therapy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rockvill, Boxill, "Music therapy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 1985

      70. Infantand toddlerdevelopmentandresponsiveprogram planning, Petersen, Wittner, , 2006

      71. Integrating music into the elementary classroom (7th ed.), Anderson, Lawrence, , 2006

      72. Movement as Musical Expression in a Music Therapy setting, Hibben, Movement as musical expression in a music therapy setting, , 1984

      73. 유아교사의 놀이치료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김현진, 박은영, , 2010

      74. Brain structures differ between musicians and non-musicians, Schlaug, Gaser, , 2003

      75. 기초 음악교육의 학습 환경 구성에 관한 논의, 민경훈, 한국유초등음악교육학회, "음악교육, , 2003

      76. 유아음악교육을 위한 교사교육과정 모형연구, 박사빈, 유아음악교육을 위한 교사교육과정 모형 연구, , 2008

      77. A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Advancing the vision(3rd ed), Reimer, A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Advancing the vision(3rd ed.), , 2003

      78. 유아음악 능력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임성미, 황해익, 부산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 2004

      79. 음악극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서동명 ( Dong Myoung Seo ), 김숙령 ( Sook Ryong Kim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 2006

      80. 질적연구방법론(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조흥식, 질적연구방법론[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 2005

      81. Children’s constructions of musical knowledge in early school, Lim, , 2005

      82.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 intensity, and social adjustment, Engelberg, E., sjoberg, Engelberg, "Emotional intelligence, , 2004

      83. Experiences in movement with music activities, andtheory(2nded), Pica, "Experiences in movement with music, , 2000

      84. Julie Wylie의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박민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 2007

      85. A music learning theory for newborn and young children(Rev. Ed.), Gordon, A Music learning theory for newborn and young children(Rev. ed.), , 1997

      86. Developmental assessment of play: a model for early intervention, Casby, , 2003

      87. Joint Attention in Children with Autism: theory and intervention, Carr, Jones, , 2004

      88. The effect of early music training on child cognitive development, Bilhartz, Bruhn, Olson, , 2000

      89. Learning sequences in music : A contemporary music learning theory, Gordon, Edwin E., GIA, , 2007

      90. 2010 보육시설 평가인증 지침서(40인 이상 보육시설), 보건복지가족부, , 2010

      91. Mind in society :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Vygotskii, L. S, Harvard University Press,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 1978

      92. 유아교사양성대학의 음악교과 교육과정 모형 개발, 김선희, 김선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8

      93.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nd concept development in kindergarten, Rosemberg, Silva, , 2009

      94.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장은주 ( Eun Ju Chang ), 이기숙 ( Ki Sook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8

      95. A meta-analysis of the efficacy of music therapy for premature infants, Standley, , 2002

      96. Teachers' talk in preschools during circle time: the case of revoicing, Yifat, Zadunaisky-Ehrlich, , 2008

      97. The brain of musicians: a model for functional and structural adaption, Schlaug, , 2001

      98. The nature, description,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music aptitude, Gordon, "The Nature, , 1987

      99. 유아교육과 음악교육의 통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장은주, , 2009

      100. Neural plasticity and development. In C. A. Nelson, & M. Luciana (Eds.), Elbert, Rockstroh, Heim, "Neural plasticity and development. In C. A. Nelson, , 2001

      101. 유아의 언어발달을 촉진하는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황성숙, 계명대학교,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4

      102. Early education curriculum: A child’ connection to the world (3rd ed.), Jackman, , 2005

      103. Teaching parents newskills to support their young children's development, Buehlman, Caldwell, Kelly, , 2000

      104. Transforming curriculum in music. In S. Bredekamp, & T. Rosegrant (Eds.), Andress, "Transforming curriculum in music. In S. Bredekamp, , 1995

      105. Music in childhood : From preschool through the elementary grades(3rd Ed), Campbell, P. S., Music in childhood: From preschool through the elementary grades (3rd ed.), , 2002

      106. Supportingcommunication in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cDuffie, Kaiser, Hester, Supporting communication in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2001

      107. 유아의 음악적 능력과 지적능력 및 운동능력 간의 관계, 박은영, 유아의 음악적능력과 지적능력 및 운동능력 간의 관계, , 2007

      108. Training teachers with little or no musicbackground: Too little, too late?, Siebenaler, "Training teachers with little or no music background: Too little, , 2006

      109. 동화에 기초한 유아 음악극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연구, 장은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7

      110. 유아의 음악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방은영, , 2008

      111. Moving toward visual literacy: Photography as a language of teacher inquiry, Tegano, Moran, , 2005

      112. The development of musical abilities. In R. Colwell, & C. Richardson (Eds.), Gembris, "The development of musical abilities. In R. Colwell, , 2002

      113. 성인-유아 상호작용 시 나타난 교수전략과 유아의혼잣말, 박은정, 김희진, 성인-유아 상호작용시 나타난 교수전략과 유아의 혼잣말, , 2002

      114. 치료적 집단음악활동을 통한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 효과, 정계숙, 이지연,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 2005

      115.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In P. Salovey, P., & D. Sluyter (Eds.), Mayer, Salovey,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In P. Salovey, , 1997

      116. 또래 협동 음악극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인원, 최기영, , 2006

      117. Commentary evolution and nonverbalbehavior: functions and mediating processes, Patterson, Commentary evolution and nonverbal behavior functions and mediating processes, , 2003

      118. Musiceducationasameansforfostering youngchildren's knowledge of dual cultures, Ling, , 2002

      119. 가족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과 또래유능성, 김희태 ( Whee Tai Kim ), 이임순 ( Im Soon Lee ), 미래유아교육학회, , 2009

      120.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 계발을 위한 음악창작활동 프로그램, 전인옥, , 2003

      121. Music psychotherapy in acute psychiatric inpatient and private practice setting, Goldberg, , 1989

      122. Challenges in social communication in Asperger syndrome and High-function autism, Lennon, Rubin, , 2004

      123. Classification of techer’s interaction behavior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Ridley, De Kruif, McWillam, , 2000

      124. Communication intervention for pre-symbolic communication. In R. Schlosser (Ed.), Granlund, Olsson, , 2003

      125. The musical teacher : preparing teachers to use music in the childhood classroom, kim, Jinyoung, Kendall/Hunt, , 2004

      126. 만 4, 5세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분석, 안재신,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만 4, , 2005

      127. 배경음악 유형이 유아의 그림표현과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남숙, 조남숙,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2006

      128. (상호작용이론에 기초한)유아교육과정의 운영 및 활동의 실제, 신은수, 학지사, , 2000

      129. 음악개념 중심 통합적 유아음악 감상과 표현활동의 적용 효과, 강신영, , 2007

      130. From research to practice : Preschool children and theirmovement responses to music, Andress, 이은화, 김영희, , 1991

      131. Gesture development: a review for clinical and research practices. Speech, Language, Capone, McGregor, "Gesture development: a review for clinical and research practices. Speech, , 2004

      132. Music therapy with children who are deaf and hard of hearing. In C. A. Furman (Ed.), Gfeller, Darrow, , 1995

      133. 음악치료가 ADHD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수용에 미치는 효과, 김귀복, , 2008

      134. 창의적 음악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음악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영희, 원광대학교,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5

      135.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의 음악교육활동 및 환경에 관한 실태조사, 정혜명(Hye-Myoung Choung), 송주승(Ju-Seung Song),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음악교육공학, , 2010

      136.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안재신, 한국음악교육학회, "음악교육연구, , 2003

      137. Music therapy assessment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survey study, Chase, K. M., Chase, , 2004

      138. 노래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연주,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8

      139.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Research edition II: Technical manual, Sibley, Abbott-Shim, Neel, , 2001

      140. 멘토링(mentoring)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음악교수 변화 탐색, 박수미, , 2007

      141. 발달지체영아를 위한 오르프 음악활동중심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임영옥, 공주대학교 대학원,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6

      142.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이민정,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2002

      143. 사회.정서 통합에 기초한 영아 음악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김미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회?정서 통합에 기초한 영아 음악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 2011

      144. Joint attention training for children with autism using behavior modification procedures, Schreibman, Whalen, , 2003

      145.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mpetence and social competence in early adolescence, Vorbach, Foster, , 2003

      146. The selected writings of Zolt?n Kod?ly. (F. Bonis, Ed.; L. Halapy & F. Macnicol, Trans.), Kod?ly, "The selected writings of Zolt?n Kod?ly. (F. Bonis, , 1974

      147. 애니메이션을 통한 음악 듣기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효지,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열린유아교육연구, , 2006

      148. The effect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music and movement program on motor performance, Derri, Zachopoulu, Tsapakidou, Zachopoulu, E., , 2004

      149. The effect of rhythmic, activities upon language acquisition with four-years-old children, Raisner, Raisner, J. C, "The effect of rhythmic, , 2002

      150. 미디어를 활용한 유아음악감상 방법의 제안과 그에 따른 활동의 예, 문혜련(Moon Hae-Lyu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어린이미디어연구, , 2005

      151. 통합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임은애 ( Eun Ae Lim ), 한국아동교육학회,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8

      152. Reconceptualizing languag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 B. Spodek, & O. Saracho (Eds.), Moffatt, Shapiro, Anderson, "Reconceptualizing languag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 B. Spodek, , 2006

      153. 만2세 영아반에 적절한 음악경험이 음악적성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황인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8

      154. 음악교육의 기초와 원리(개정판) [Foundation and Principles of Music Education], House, Leonhard, 안미자, , 2003

      155. The Relationship of mother-child interaction and the child’s development of symbolic play, Harding, Noll, , 2003

      156. Training personnel to promote quality parent-child interaction in families who are homeless, Caldwell, Kelly, Buehlman, , 2000

      157. 가정의 음악환경과 예술교육 경험이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영향, 신주현,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아동교육, , 2003

      158. 오디에이션 음악활동이 유치원 아동의 음악소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노주희,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음악치료교육연구, , 2004

      159. 2007년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Ⅴ 체육, 음악, 미술, 외국어(영어), 교육과학기술부, "2007년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Ⅴ 체육, , 2008

      160. 신체표현을 사용한 음악감상이 만5세 유아의 정서지능 에 미치는 효과, 황은영,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신체표현을 사용한 음악감상이 만 5세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 2001

      161. Do maternal interaction and early language predict phonological awareness in 3-to 4-year-olds?, Silven, Voeten, Niemi, , 2002

      162. The interaction of affect and cognition: A negro biological perspective. In J. P. Forgas (Ed.), Adolphs, Damasio, , 2001

      163. 음악놀이활동이 부적응적 성향 유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해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음악놀이 활동이 부적응적 성향 유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2007

      164. Responsiveness of Child Care Providers in Interactions with Toddlers and Preschoolers. Language, Girolametto, Weitzman, , 2002

      165. Tasting words and letting them hang in the air. About subject-oriented language in kindergarten, Maagero, Askeland, , 2010

      166. 유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가족특성, 보육경험 및 기질 변인 분석, 조혜진, 조혜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아의 사회 ? 정서 발달에 미치는 가족특성, , 2004

      167. Musical parenting: An ethnographic account of musical interactions of parents and young children, Gibson, Rachel E, University of Washington, , 2009

      168. Accreditation criteria and procedures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Young Children, NAEY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 1998

      169. Investigation of pre-service teacher's self perception on musical knowledge and teaching efficacy, Kim, , 2005

      170. 상호작용에 의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태분, 계명대학교 유아교육대학원, "음악교육연구, , 2006

      171. 여성가족부 고시 제2007-1호. 표준보육과정의 구체적 보육내용 및 교사지침, 여성가족부, , 2007

      172. Does emotional intelligence predict unique variance in life satisfaction beyond IQ and personality?, Gannon, Ranzijn, , 2005

      173. 리머 음악교육철학의 변천에 관한 연구: 심미적 철학에서 경험적 철학까지, 최은식, , 2006

      174. 유아들의 가상놀이 촉진을 위한 놀잇감 사용: 놀잇감의 구조성을 중심으로, 조은진, Cho, Eun Jin, 한국아동학회, , 2000

      175. 통합적 유아 음악교육이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숙희, 미래유아교육학회, , 2005

      176. 포괄적 음악에 기초한 유아의 음악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김광자, , 2004

      177. 유아 전통음악교육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변화와 리듬감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정애경,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아동학회지, , 2003

      178.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eer-ratedsocial competence in adolescence, Mavroveli, Bakker,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 2007

      179. 한국전래노래의 다문화적 음악교육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이은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국전래 노래의 다문화적 음악교육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2005

      180. Integration of music in the elementarycurriculum: Per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education majors, Berke, M., Colwell, Berke, Integration of music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Per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education majors, , 2004

      181. 음악 감상 중재와 리듬 연주 중재가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불안에 미치는 영향, 이수경, , 2005

      182. 통합적 음악감상 활동에 기초한 유아의 정서지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숙희 ( Suk Hee Lee ), 김미정 ( Mee Jung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 2008

      183. 고든의 학습이론에 기초한 오디에이션 활동이 유아의 음악소질에 미치는 영향, 백지혜 ( Jee Hea Baek ),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 2010

      184. 유리드믹스 음악활동이 학습부진아의 사회성 및 주의집중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은희, 한국달크로즈유리드믹스학회, 유리드믹스 음악 활동이 학습부진아의 사회성 및 주의 집중 향상에 미치는 효과, , 2007

      185. Attentional engagement in infancy: The interactive influence of attentional inertia and attentional state, Kannass, Ross-Sheehy, Oakes, , 2004

      186. Responsiveness and attention during picture-book reading in 18-mouth-old to 24-month-old toddlers at risk, Perez, Hooper, Fletcher, Claussen, , 2005

      187. 악기를 활용한 표현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과 신체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은영 ( Eun Young Park ), 한국음악교육학회, "음악교육연구, , 2009

      188. 유아의 음악적 태도와 음악적 행동, 음악적 개념에 대한 교사의 평가 실태 분석, 김소향, 안경숙, "유아의 음악적 태도와 음악적 행동, , 2006

      189. 전래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수업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안재신, 한애향, 한국음악교육학회, "음악교육연구, , 1999

      190. What every young American should know and be able to do in the arts: National standards for arts education, MENC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Music Education, , 1994

      191.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음악관련 활동분석:음악적개념,행동,태도를 중심으로, 양지애, 이영애,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음악 관련 활동 분석: 음악적 개념, , 2011

      192. Parent-assisted modification of pivotal social skills for a child diagnosed with PDD: A clinical replication, Hupp, Reitman, , 2000

      193. Preverbal communicative competence: An essential step in the lives of infants with severe physical impairment, Reinhartsen, Preverbal Communicative Competence: An Essential Step in the Lives of Infants with Severe Physical Impairment, , 2000

      194. 생활놀이 "오디" 음악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음악 표현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윤은미 ( Eun Mi Yun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 2008

      195. 학습주기를 활용한 음악감상 교수-학습 방법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옥주 ( Ock Joo Lee ), 한국아동학회, , 2011

      196. Music in th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integrated curriculum. In C. Hart, D. Burts, & R. Charlesworth (Eds.), Kenny, "Music in th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integrated curriculum. In C. Hart, , 1997

      197. The Schulwerk ? its origins and aims(trans. Arnold Walter). The Eclectic Curriculum in American Music Education, Orff, , 1972

      198. 유아 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음악교수의 실제에 관한 연구, 문혁준(Hyuk Jun Moon), 박진성 ( Jin Sung Park ), 대한가정학회, "유아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 , 2006

      199. The new handbook of research on music teaching and learning : a project of the Music Educators National Conference, Colwell, Richard, Oxford University Press, , 2002

      200. The effect of reminiscence music therapy sessions on changes in depression symptoms i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Ashida, , 2000

      201.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Serving children from birth through Age 8 (3rd ed.), Copple, Bredekamp, , 2009

      202. Carl Orff 교수법에 의한 전통음악교육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와 리듬감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정혜영,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어린이미디어연구, , 2006

      203. Effect of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on gait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Master’s thesis, Kwak, , 2000

      204. 부모와 교사를 위한 반응성 교수 교육과정[The responsive teaching curriculum for parents professionals], 김정미, Mahoney, MacDonald, , 2008

      205. 유치원 모의평가를 통한 유아교육 평가모형 확립 방안 연구(CR 2000-37, 2000년 정책연구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유치원 모의평가를 통한 유아교육 평가모형 확립 방안 연구(CR 2000-37, , 2000

      206. 음악교육사에 투영된 예술 문화적사회 환경 조성을 위한 학교음악교육과 지역사회의 역할, 전용섭, 동덕여자대학교, , 2006

      207. 통합적 음악 교육이 유아기의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 음악 교육 프로그램 중심으로, 김미랑, , 2010

      208. Orff 접근법에 의한 유아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음악적성, 감서지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윤영배, "Orff 접근법에 의한 유아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음악적성, , 2008

      209.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 특성이 발달장애 아동의 포괄적 발달행동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 김정미, , 2004

      210. 상호작용맥락에 따른 어머니와 유아의 상호작용 전략: 자유놀이와 과제해결 맥락을 중심으로, 박은혜, 이기숙, 김희진, 한국아동학회, , 2004

      211. Improvised musical play: A strategy for fostering social play between developmentally delayed and non-delayed preschool children, Gunsberg, , 1988

      212. Gordon의 음악학습이론에 기초한 유아의 음악과 동작의 통합 활동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과 탐색, 윤은미, , 2006

      213. Intentional communication elicits language-facilitating maternal responses in dyads with children who ha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rren, Yoder, , 2001

      214.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을 위한 포괄적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 적용효과 및 시사점 탐색을 중심으로, 김법순,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을 위한 포괄적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적용효과 및 시사점 탐색을 중심으로-, , 2009

      215. The effects of mother’s style of interaction on children’s engagement: Implications for using responsive interventions with parents, Mahoney, Kim, , 2004

      216. 반응적 의사소통 전략의 적용을 위한 어머니교육이 발달지체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윤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6

      217. Drumming technique for assertiveness and anger management in the short-term psychiatric setting for adult and adolescent survivors of trauma, Slotoroff, , 1994

      218. 또래 관계 형성이 어려운 아동의 기초 사회/의사소통 기술 향상 연구 :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을 통하여, Kim, Jeong-Hye, 김정혜, Park, Myung Hwa, 정계숙, 박명화, Chung, Kai Sook, 한국아동학회, 또래관계 형성이 어려운 아동의 기초 사회/의사 소통 기술 향상 연구: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을 통하여, , 2003

      219. Effects of Developmental Music Groups forParents and Premature or Typical Infants Under Two Years onParental Responsiveness and Infant Social Development, Walworth, Walworth, D. D., Effects of developmental music groups for parents and premature or typical infants under two years on parental responsiveness and infant social development, , 2009

      220. 활동-중심 자연적 중재 적용 훈련이 자유선택활동 일과에서의 교사의 교수 행동과 장애 유아의 참여에 미치는 영향, 김수진, 김수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5

      221. 다차원적인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장애 유아의 문제행동 및 유아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상호작용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인숙, 공주대학교 대학원,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6

      222. Parentingstress young children emotion regulation, maternal sensitivity,and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triplets: a model for parentand child influences in a unique ecology, Eidelman, Rotenberg, Feldman, "Parenting stress, , 2004

      223. The self-perceptions of in service and preserive kindergarten teachers in Kaohsiung and Pingtung regions concerning the usefulness of the music content of their teacher training programs, Chen, , 2000

      224. Using relationship-focused intervention to enhance the social emotional functioning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3(2), 77-89, Perales, Mahoney, "Using relationship-focused intervention to enhance the social emotional functioning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