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두뇌 특성을 파악하여 아동 및 청소년의 흥미 및 적성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물론, 진로성숙도를 함양하는데 그 연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53061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15-222(8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두뇌 특성을 파악하여 아동 및 청소년의 흥미 및 적성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물론, 진로성숙도를 함양하는데 그 연구...
본 연구는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두뇌 특성을 파악하여 아동 및 청소년의 흥미 및 적성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물론, 진로성숙도를 함양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학생 59명, 중학생 76명 등 135명을 대상으로 2016년 6월 4일부터 5일까지 1박 2일 동안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은 단순한 진로 탐색 및 체험위주의 프로그램이 아니라, 진로성숙도와 같이 직업의식을 함양하기 때문에, 아동 및 청소년의 건전한 직업관을 형성하는데 효과적이다. 둘째,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을 통해서 아동 및 청소년 자신의 흥미 및 적성에 적합한 맞춤형 진로를 탐색하는 것은 물론, 진로역량을 개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 대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은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학교급별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진로성숙도 외에 다양한 진로 관련 변인들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계속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rains and to identify the students" aptitude and interests by developing and applying the program for recognizing students" desired future careers. A total of 135 students (59 elementary schoo...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rains and to identify the students" aptitude and interests by developing and applying the program for recognizing students" desired future careers. A total of 135 students (59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76 middle school adolescents) were surveyed for 2 days and 1 night. The study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proved effective in forming the constructive recognition for their future jobs because they could explore careers in the future and because they could raise their consciousness of perspectives on careers. Second, the program makes it possible to explore future jobs that are appropriate to them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and to enhance their career competencie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because more consideration is needed. First, the present research applied the same program to all student participants despite the differences in developmental levels. Therefore, future research needs to involve elements that reflect their distinct psychological proficiency levels. Second, to show the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further studies need to focus on diverse dependent variables that may influence the results other than their distinct psychological proficiency level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운,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4 (14): 339-349, 2014
2 임선아, "적성에 맞는 진로선택과 부모의 진로선택 지지, 진로선택 역경극복 의지가 학업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9 (9): 221-238, 2012
3 신재한, "뇌과학적 고찰을 통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방향 탐색"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257-273, 2016
4 김명희, "뇌 기반 교육과정 모형의 개발과 그 시사점"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135-164, 2004
5 H. N. Park, "The free-semester system has been applied well in school" 392 : 22-31, 2015
6 J. H. Kim,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ystem,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7 K. H.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Yonsei University 1997
8 S. H. Lee, "The Principles of Brain Education" Chungnam, University of Brain Education 2006
9 B. H. JUNG, "The Effects of Coaching Program Focused on Vision Establishment on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After-School-Academy Children" DongA University 2012
10 G. I. Jang, "The Effects of Carr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in Rural Area" Jeonju University 2004
1 김종운,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4 (14): 339-349, 2014
2 임선아, "적성에 맞는 진로선택과 부모의 진로선택 지지, 진로선택 역경극복 의지가 학업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9 (9): 221-238, 2012
3 신재한, "뇌과학적 고찰을 통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방향 탐색"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257-273, 2016
4 김명희, "뇌 기반 교육과정 모형의 개발과 그 시사점"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135-164, 2004
5 H. N. Park, "The free-semester system has been applied well in school" 392 : 22-31, 2015
6 J. H. Kim,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ystem,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7 K. H.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Yonsei University 1997
8 S. H. Lee, "The Principles of Brain Education" Chungnam, University of Brain Education 2006
9 B. H. JUNG, "The Effects of Coaching Program Focused on Vision Establishment on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After-School-Academy Children" DongA University 2012
10 G. I. Jang, "The Effects of Carr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in Rural Area" Jeonju University 2004
11 H. G. Kim,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Awareness Maturity and Self-Efficacy" Daegu University 2016
12 Y, H. Son, "The Analysis of Executive Function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ldren" Daegu University 2003
13 Ministry of Education, "School career education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s"
14 H. S. Shin, "Promotion of humanitarian development by physical and mind training : Focusing on Korean Sundo Culture.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Fall scholarship contest presentation source book 107-125, 2006
15 John O Crites, "Problems in the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Elsevier BV 4 (4): 25-31, 1974
16 J. J. Jeong, "Principles and Practice of Brain-Based Learning" hakjisa Publisher 2015
17 S. J. Lee, "Management and Improvement plans of MiddleSchool Free-Semester Program in Korea" Sunchon National University 2015
18 G. M. Moon, "It should be free to think of the children" 152 : 50-55, 2013
19 M. Csikszentmihalyi, "Finding Flow" HaeNaem Publisher 1999
20 D. E. Super, "Dimensions and measurements of vocational maturity" 57 (57): 151-163, 1955
21 E. J. Kim, "Career Education of home economics class and application plan of free-semester system. Korean Home Econocims education"
22 J. H. Shin, "Brain based self directed learning" education Science Publisher 2016
23 S. S. Kim,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irec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Free Learning Semester" ChungAng University 2015
24 S. D, Choi, "Action plan of free-semester system"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2013
25 John O. Crites, "A model for the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8 (8): 255-259, 1961
26 E. Lim, "A Technical Report for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001
27 Ministry of Education, "2009 revised curriculum-Curriculum outline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ol. -"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평가를 위한 한국형 간호학생 팀워크 측정도구개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7-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 ![]() |
2017-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8-28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2007-07-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1 | 0.842 | 0.23 |
Teaching Web Design and Programming
Teachers TV Teachers TV2014 이러닝 국제 콘퍼런스: Analysis of e-Learning Program Management for Adults in Korea
한국교육정보진흥협회 Don-Min, Choi공간 빅데이터 프로그래밍[Geo-Big Data Programming]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주용진공간 빅데이터 프로그래밍[Geo-Big Data Programming]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주용진공간 빅데이터 프로그래밍[Geo-Big Data Programming]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주용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