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기현, "동향", 서울: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1
2 임영호, "신문원론", 서울: 한나래, 2013
3 Hall, S., "“Encoding/Decoding”", in S. Hall et al. (eds.), Culture, Media, Language: Working Papers in Cultural Studies, 1972-1979. 128-38. London: Hutchinson/CCCS. 임영호(1996).『스튜어트 홀의 문화이론』. 서울: 한나래, 1980
4 김민환, "한국언론사", 파주: 나남, 2006
5 김성우, "돌아가는 배", 서울: 삶과꿈, 1999
6 송정숙, "“문화면의 변천”", 신문과방송. 80호. 40-43, 1977
7 김을한, "韓國新聞史話", 서울: 탐구당, 1975
8 강승묵, 조용철, 류웅재, "문화저널리즘", 파주: 다지리, 2009
9 정영일, "“신문영화평잡감”", 신문평론. 11호. 32-34, 1965
10 강용자, "“문화부를 말한다”", 신문과방송. 80호, 32-39, 1977
11 신인섭, 차배근, 정진석, 임준수, 이광재, 오진환, "우리 신문 100년", 서울: 현암사, 2001
12 강진석, "중국의 문화코드", 서울: 살림출판사, 2004
13 서정우, "한국언론 100년사", 서울: 한국언론인연합회, 2006
14 정봉화, "“취재론-문화면 기사”", 신문평론. 33호. 11-15, 1970
15 정진석, "한국현대언론사론", 서울: 전예원, 1985
16 김택환, "“21세기 신문저널리즘”", 관훈저널. 59호(여름). 114-136, 1995
17 오택섭, "미디어와 정보사회", 서울: 나남, 2003
18 신찬균, "“전통문화의 계승문제”", 신문평론. 41호. 23-29, 1972
19 김해식, "한국 언론의 사회학", 서울: 나남, 1994
20 김병익, "한국문단사, 1908-1970", 서울: 문학과지성사, 2001
21 유경환, "“문화면의 취재와 편집”", 신문평론. 41호. 16-21, 1972
22 장상섭, "“오락면에서 본 문화면”", 신문평론. 41호. 7-12, 1972
23 이배영, 임준수, "멋진 편집 좋은 신문",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1
24 반영환, "“시류 따라 변한 문화면”", 신문평론. 62호. 39-41, 1976
25 최 준, "한국신문사 신보증판", 서울: 일조각, 1993
26 강현두, 전규찬, 원용진, "현대대중문화의 형성",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27 김영욱, "“문화부와 문화저널리즘”", 한국언론의 문화관련 보도현황과 발 전방향. 미간행. 순천향대학교․삼성언론재단 세미나 논문집, 2004
28 정 훈, "학예부로 시작 3D부서로까지", 신문과방송. 307호. 8-11, 1996
29 정중헌, "문화부 기자는 재밌다", 서울: 나무와숲, 2006
30 김미현, "한국 영화정책과 산업",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31 윤영철, "“사회체제의 변동과 신문”", 서정우 편저. 현대신문학. 67-90. 서울: 나남, 2002
32 이상만, "기자 선발과정부터 전문화를", 신문과방송. 307호. 28-31, 1996
33 최일남, "“문화면제작의 실제와 방향”", 신문평론. 18호. 18-24, 1966
34 신명직, "모던보이, 경성을 거닐다", 서울: 현실문화연구, 2003
35 김팔봉, "“記者물 안 들려고 애쓴 18年”", 윤성상 외. 言論秘話50篇. 209-223. 서울: 한국신문연구소, 1978
36 이강수, "매스커뮤니케이션 사회학", 서울: 나남, 1987
37 차배근,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론", 서울: 세영사, 1979
38 이하윤, "“廢刊만 지켜 본 記者 生活 6년”", 윤성상 외. 言論秘話비화 50 篇. 77-88. 서울: 한국신문연구소, 1978
39 이덕근, "“連載小說 自由夫人과 그 論爭”", 윤성상 외. 言論秘話비화 50篇. 631-642. 서울: 한국신문연구소, 1978
40 서항석, "“사령 써놓고 입사 기다린 동아”", 윤성상 외. 言論秘話50篇. 153-168. 서울: 한국신문연구소, 1978
41 김열규, "“문화현상과 문화기사 개발방안”", 신문과방송. 248호, 66-68, 1991
42 황치성, "“한국언론인의 직업관과 자율성”", 신문과방송. 348호. 78-, 1999
43 조용만, "“일본 패망과 매일신보와 자치위”", 윤성상 외. 言論秘話비화 50篇. 575-587. 서울: 한국신문연구소, 1978
44 박성희, "“일간지 사람들 면 이대로 좋은가”", 관훈저널. 여름. 323-330, 2002
45 이중한, "“머리기사 자리도 당당히 요구하자”", 신문과방송. 307호. 8-39, 1996
46 김경희, 이기형, 김세은, "디지털시대의 문화저널리즘연구", 서울: 한국 언론진흥재단, 2014
47 김동리, "“敦岩莊新聞이라던 民衆일보 언저리”", 윤성상 외 言論秘話 비화 50篇. 605-616. 서울: 한국신문연구소, 1978
48 윤성상, "“3錢짜리 팥죽 한 그릇에 救國의 筆鋒”", 윤성상 외. 言論秘話50 篇. 7-18. 서울: 한국신문연구소, 1978
49 남재희, "“신문과 문화면-제11회 신문연구좌담회”", 신문평론. 36-44, 1965
50 윤선희, "“문화보도 관행과 문화저널리즘의 미래”", 미간행, 한양대학교 신 문방송학과 삼성언론재단 세미나 발표 논문, 2006
51 강명구, "“언론매체의 문화 기사의 연구-내용분석”", 신문과방송. 248호, 69-71, 1991
52 정재철, "“문화의 이분법화를 조장- 문화면 지면분석”", 신문과방송. 307호. 21-23, 1996
53 이재경, "오피니언 면의 현황과 발전 방향. 미간행", 삼성언론재단 세미나 자료집, 2000
54 조한혜정, "「글로벌 지각 변동의 징후로 읽는 한류 열풍」", 조한혜정 외. 『‘한류’와 아시아의 대중문화. 1-42.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
55 류춘렬, "옮김 『커뮤니케이션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서 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56 김연종, 정준영, 이영욱, 양은경, 손병우, 박명진, 김창남, 김용호, "문 화, 일상, 대중: 문화에 관한 8개의 탐구", 서울: 한나래, 1996
57 김민주, "한국 신문의 문화기사 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 학원, 2003
58 홍은희, "“문화저널리즘 속에 나타난 '스타', 그 역사적 변천”", 문화저널리 즘 속의 문화. 미간행. 한국언론재단 한국언론학회 세미나 발표논문, 2008
59 장낙인, "“신문과 TV의 문화예술 기사 및 프로그램 조사 분석”", 문화예 술. 122호, 1987
60 이종숙, "“한국 신문 지면을 통한 「문화」의 구성: 1896~1996”", 박용규 외 한국신문의 사회문화사. 249-307.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2013
61 조영복, "문인기자 김기림과 1930년대 ‘활자-도서관’의 꿈", 서울:살림, 2007
62 김춘식, 황용석, 양승찬, "한국의 뉴스미디어 2007: 저널리즘 이슈와 보 도특성", 서울: 한국언론재단, 2007
63 이혜령, "“1920년대 ‘동아일보’ 학예면의 형성과정과 문학의 위치”",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대동 문화연구 제52집. 96-133, 2005
64 김경희, 이기형, 김세은, "“기사구성과 특징으로 본 문화저널리즘의 변화 상과 함의”", 한국언론정보학보. 74호, 136-176, 2015
65 이완수, "인물뉴스의 특성과 결정요인 연구: 사회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32호. 295-332, 2006
66 Williams, R., "The Long Revolution. London: Penguin. 성은애 옮김 (2007). 『기나긴 혁명』", 파주: 문학동네, 1965
67 이수기, "“신뢰는 독자 밑에서, 뉴스 위에서-중앙일보 베를리너판 발행”", 신문과방송. 465호. 100-103, 2009
68 서희건, "“슈퍼마켓인가 복합전문점인가 - 문화취재․보도 현실과 과제”", 신문과방송. 307호. 12-16, 1996
69 이규태, "“문화면 기능의 고찰- 그 현황과 시대적 고찰 및 외국과의 비교”", 신문평론. 18호. 12-16, 1966
70 권장원, 최철웅, 장하용, 이병철, "한국 신문의 외부 칼럼, 칼럼니스트: 여론형성의 지형도 분석", 서울: 한국언론재단, 2007
71 이경미, "한국 문화저널리즘 장의 성격 변화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5
72 박래부, "대중문화보도와 언론인의 인식에 대한 실증적 연구.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0
73 Bourdieu, P., "La Distinction- critique sociale du jugement. Paris: Les ditions de Minuit. 최종철 옮김(2006)", 『구별짓기』(상․하) 서 울: 새물결, 1979
74 Kovach, B., Rosenstiel, T., "The Elements of Journalism. Proprietor. 이재경 옮김(2009).『저널리즘의 기본 원칙』", 서울: 한국언 론재단, 2007
75 이근삼, "“독자가 바라는 문화면-특색 없는 것이 특색, 일부의 독점물 돼 선 안돼”", 172호. 28-29, 1985
76 강함수, "신문 문화기사 구성과 문화 성층화 과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 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9
77 장호순, "언론과 문화 – 한국 언론의 문화 관련보도 현황과 발전방향. 미간행", 서울: 삼성언론재단, 2004
78 김세은, "“문화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문화저널리즘의 부상과 현황에 대 한 고찰”", 문화저널리즘 속의 문화. 미간행. 한국언론재단 한국언론 학회 세미나 발표 논문, 2008
79 길진숙, "“독립신문 매일신문에 수용된 ‘문명/야만’ 담론의 의미 층위”",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엮음, 근대계몽기 지식 개념의 수용과 그 변용. 서울: 소명출판, 2004
80 Turner, G., "British Cultural Studies: An Introduction. NY: Routledge. 김연종 옮김(1995). 『문화 연구 입문』", 서울: 한나래, 1992
81 이상길, "“문화저널리즘의 반성과 모색-인터넷 시대의 저널리즘 균형과 깊이로 경쟁해야”", 신문과방송. 514호. 6-9, 2013
82 남재일, "“신문 문화비평 위기의 원인과 대안-새로운 담론환경 속 문화부 기자의 전문화 절실”", 신문과방송. 514호. 10-13, 2013
83 박선이, 김경모, "“한국 신문 오피니언 칼럼의 젠더특성 분석: 여성 필자의 과소재현과 성 불평등 구조”", 한국언론학회, 한국 언론학보. 54권 1호. 55-81, 2010
84 Storey, J., "Cultural Theory and Popular Culture: an Introduction. (3rd edition). 박만준 옮김(2002). 『대중문화와 문화연구』", 서울: 경 문사, 2001
85 Smith, P., "Cultural Theory: An Introduction. Oxford: Blackwell. 한 국문화사회학회 옮김(2008).『문화이론-사회학적 접근』", 서울: 이학사, 2001
86 박선영, "한국 신문 문화보도의 변화경향연구: 「조선일보」와 「동아일 보」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87 Hohenberg, J., "The Professional Journalist: A Guide to Modern Reporting Practice. New York: Henry Holt and company. 윤대균 옮김(1962). 『新聞學』", 서울: 탐구당, 1960
88 Bourdieu, P., "Ce que parler veut dire : L' conomie des changes linguistiques. Paris:Fayard. 정일준 옮김(1995). 상징폭력과 문화재생 산", 서울: 새물결, 1982
89 임 영, "문화면의 저속성과 대중성의 문제-신문소설과 각종 「휘쳐․스토 리」 및 대중 취미에의 영합의 한계에 대하여", 신문평론. 18호. 25-28, 1966
90 김진국, "디지털시대 신문 문화면의 콘텐츠 변화 연구: 1991-2010년 조 선일보, 중앙일보, 경향신문을 중심으로. 박사학위 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91 이준우, "한국신문의 문화적 기능변천에 관한 연구-1920년부터 1984년까 지의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박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7
92 Graham, K., "Personal history, New York : A. A. Knopf. 뉴스위크 한 국판뉴스팀 옮김(1997). 『캐서린 그레이엄 자서전: 워싱턴포스트와 나 의 80년』", 서울: 중앙일보사, 1997
93 이기형, "문화저널리즘과 문화연구: 탈전통화, 넷파워, 신자유주의, 그리고 소비자본주의 사회의 문화를 심각하게 다루기. 미간행",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삼성언론재단 세미나 발표 논문, 2006
94 주창규, "“한국영화 르네상스'(1997~2006)의 동역학에 대한 연구 : 영화 산업의 ‘하이 모더니즘'과 ‘미적 르네상스'의 탈구를 중심으로”", 영화 연구 50호. 507-541, 2011
95 Hauser, A., "Sozialgeschichte der Kunst und Literatur. M chen: C.H.Beck. 백낙청 외 옮김(2016).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자연주의와 인상주의, 영화의 시대", 파주: 창비, 1951
96 Fico, F. G., Riffe, D., Lacy, S., "Analyzing media messages: Using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in Research, Mahwah, New Jersey : Lawrence Erlbaum. 배현석 옮김(2001).『미디어 내용분석 방 법론』", 서울: 커뮤케이션북스, 1998
97 나윤정, "한국 신문의 문화면 분석: 1995년부터 2013년까지 조선일보, 중 앙일보, 동아일보의 문화저널리즘 패러다임 연구를 중심으로. 석사학 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