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셰익스피어극 구현의 현대화 과정 연구- 유럽의 경우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Regeneration of Shakespeare Acts in a Modern Frame in the Eurocentric Le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794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셰익스피어극 구현의 현대화 과정 연구- 유럽의 경우를 중심으로이주영뮤지컬, 연극, 영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새로운 해석으로 끊임없이 재생되는 셰익스피어 작품의 인기는 상당하다. 이 현상은 셰익스피어가 과거와 현재의 변화과정의 기준이 되어준다는 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받으며 반면 문화제국주의의 발현이라는 부정적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지금도 여전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 그것은 그 자체만으로 커다란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셰익스피어의 동시대적 모습 자체를 판단하기보다 고전적 셰익스피어와 현대가 어떻게 공존가능하게 되는 가에 대한 방법론적 인식이 필요하다. 그러한 점에서 영국에서의 셰익스피어 극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더불어 탄생한 셰익스피어극단(R.S.C)과 그 속에서 새로운 방향성과 혁신적인 연극적 양식을 제시한 ‘피터 브룩(Peter Stephen Paul Brook)’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영국 이외의 유럽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오스터마이어(Thomas Ostermeier)’와 ‘에이문타스 네크로슈스(Eimuntas Nekrošius)’같은 연출가들의 행보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영화 통계 자료를 제공하는 IMDb(The Internet Movie Database)에따르면 지금까지 셰익스피어 작품을 원작으로 만든 전 세계 영화와 드라마는 모두 997편에 이른다. 인간을 통찰하는 능력이 뛰어난 셰익스피어는세대나 국적을 초원해 감정을 이입할 수 있는 캐릭터를 창조했다. 또한 인간의 보편적 감성을 자극한다는 점에서 위에 언급되었던 유럽의 연출가들에 의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해석되고 재창조되었다. 이렇게 작품의 힘을지닌 셰익스피어 작품은 시대에 따라 많은 형태적 변화를 겪어왔다. 또한지금도 진화 중에 있다.
      번역하기

      셰익스피어극 구현의 현대화 과정 연구- 유럽의 경우를 중심으로이주영뮤지컬, 연극, 영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새로운 해석으로 끊임없이 재생되는 셰익스피어 작품의 인기는 상당하다. 이 ...

      셰익스피어극 구현의 현대화 과정 연구- 유럽의 경우를 중심으로이주영뮤지컬, 연극, 영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새로운 해석으로 끊임없이 재생되는 셰익스피어 작품의 인기는 상당하다. 이 현상은 셰익스피어가 과거와 현재의 변화과정의 기준이 되어준다는 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받으며 반면 문화제국주의의 발현이라는 부정적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지금도 여전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 그것은 그 자체만으로 커다란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셰익스피어의 동시대적 모습 자체를 판단하기보다 고전적 셰익스피어와 현대가 어떻게 공존가능하게 되는 가에 대한 방법론적 인식이 필요하다. 그러한 점에서 영국에서의 셰익스피어 극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더불어 탄생한 셰익스피어극단(R.S.C)과 그 속에서 새로운 방향성과 혁신적인 연극적 양식을 제시한 ‘피터 브룩(Peter Stephen Paul Brook)’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영국 이외의 유럽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오스터마이어(Thomas Ostermeier)’와 ‘에이문타스 네크로슈스(Eimuntas Nekrošius)’같은 연출가들의 행보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영화 통계 자료를 제공하는 IMDb(The Internet Movie Database)에따르면 지금까지 셰익스피어 작품을 원작으로 만든 전 세계 영화와 드라마는 모두 997편에 이른다. 인간을 통찰하는 능력이 뛰어난 셰익스피어는세대나 국적을 초원해 감정을 이입할 수 있는 캐릭터를 창조했다. 또한 인간의 보편적 감성을 자극한다는 점에서 위에 언급되었던 유럽의 연출가들에 의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해석되고 재창조되었다. 이렇게 작품의 힘을지닌 셰익스피어 작품은 시대에 따라 많은 형태적 변화를 겪어왔다. 또한지금도 진화 중에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earch on Regeneration of Shakespeare Acts in a Modern Frame in the Eurocentric Lens Lee, Joo Young William Shakespeare’s work is simply immortal; being recreated in different formats like musical, plays and movies, Shakespeare’s literature has been highly popular for some ages.
      This phenomenon has been positively evaluated in a sense that Shakespeare defined the transition between past and present.
      Critics on the other hand have accused it as a manifestation of cultural imperialism. Regardless however, this phenomenon of reinterpretation and recreation is still ongoing, and the momentum deserves a scholarly attention.
      Thus, rather than evaluating the contemporaneous features of Shakespea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echanism that has allowed the original work of Shakespeare to adjust itself in a modern frame. On this note, we need to pay careful attention to Royal Shakespeare Company(England) England who reinterpreted and recreated Shakespeare, and Peter Stephen Paul Brook(England) who innovated the theatrical frame and direction.
      We also need to take a close look on acting directors outside England like Thomas Ostermeier and Eimuntas Nekrošius, and what they have been doing with Shakespeare’s work.
      번역하기

      Research on Regeneration of Shakespeare Acts in a Modern Frame in the Eurocentric Lens Lee, Joo Young William Shakespeare’s work is simply immortal; being recreated in different formats like musical, plays and movies, Shakespeare’s literature has ...

      Research on Regeneration of Shakespeare Acts in a Modern Frame in the Eurocentric Lens Lee, Joo Young William Shakespeare’s work is simply immortal; being recreated in different formats like musical, plays and movies, Shakespeare’s literature has been highly popular for some ages.
      This phenomenon has been positively evaluated in a sense that Shakespeare defined the transition between past and present.
      Critics on the other hand have accused it as a manifestation of cultural imperialism. Regardless however, this phenomenon of reinterpretation and recreation is still ongoing, and the momentum deserves a scholarly attention.
      Thus, rather than evaluating the contemporaneous features of Shakespea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echanism that has allowed the original work of Shakespeare to adjust itself in a modern frame. On this note, we need to pay careful attention to Royal Shakespeare Company(England) England who reinterpreted and recreated Shakespeare, and Peter Stephen Paul Brook(England) who innovated the theatrical frame and direction.
      We also need to take a close look on acting directors outside England like Thomas Ostermeier and Eimuntas Nekrošius, and what they have been doing with Shakespeare’s work.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피터브룩, "피터브룩과 그의 작품들" (4) : 1996

      2 장은지, "피터 브룩의 작품에서 나타난 무대공간에 관한 연구 : 「리어 왕」, 「한여름 밤의 꿈」, 「햄릿의 비극」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2011

      3 손지나, "피터 브룩의 셰익스피어극에 대한 현대적 접근 방법과 그 의의에 관한 연구 : 「한 여름밤의 꿈」 공연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0

      4 전혜진, "피터 브룩의 셰익스피어 공연 연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5

      5 유이슬, "익숙하지만 새로운 이름 셰익스피어" 2014

      6 E.M.W.Tillyard, "영국르네상스 시대의 세계관" 동인 1992

      7 피터브룩, "열린문" 평민사 19-, 1996

      8 안치운, "연극과 기억" 을유문화사 419-, 2007

      9 이상덕, "셰익스피어의 달인이 온다"

      10 장은수, "베를린 샤우뷔네의 연극혁신" 세계문학비교학회 (36) : 279-304, 2011

      1 피터브룩, "피터브룩과 그의 작품들" (4) : 1996

      2 장은지, "피터 브룩의 작품에서 나타난 무대공간에 관한 연구 : 「리어 왕」, 「한여름 밤의 꿈」, 「햄릿의 비극」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2011

      3 손지나, "피터 브룩의 셰익스피어극에 대한 현대적 접근 방법과 그 의의에 관한 연구 : 「한 여름밤의 꿈」 공연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0

      4 전혜진, "피터 브룩의 셰익스피어 공연 연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5

      5 유이슬, "익숙하지만 새로운 이름 셰익스피어" 2014

      6 E.M.W.Tillyard, "영국르네상스 시대의 세계관" 동인 1992

      7 피터브룩, "열린문" 평민사 19-, 1996

      8 안치운, "연극과 기억" 을유문화사 419-, 2007

      9 이상덕, "셰익스피어의 달인이 온다"

      10 장은수, "베를린 샤우뷔네의 연극혁신" 세계문학비교학회 (36) : 279-304, 2011

      11 강태경, "디오니소스 제2호" 도서출판 동인 1999

      12 이인순, "공연분석: 오스터마이어의 <햄릿>(프랑스 2008, 한국 2010)" 한국연극학회 1 (1): 229-270,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