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대학원 실과교육전공 박사과정의 교육과정 분석 = An Analysi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Major Doctoral Course Curriculum in Republic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8380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실과 교육학의 구조에 기초하여 일반대학원과 교육전문대학원 박사과정 실과교육전공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

      이 연구는 실과 교육학의 구조에 기초하여 일반대학원과 교육전문대학원 박사과정 실과교육전공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과교육학 관련 문헌 고찰과 대학원 요람 및 교육과정의 내용 분석에 기초하였다. 박사과정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얻은 시사점을 기초로 초등실과교육전공 박사과정의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박사과정 개설의 목적과 목표를 구체적으로 서술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일반대학원과 교육전문대학원 박사과정의 교육과정 구성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내용론적 이해, 메타적 이해, 교육론적 이해의 영역에 대해 누락되지 않고 고르게 교육과정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넷째, 박사과정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과목 개설로 수강생의 과목 선택권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추후 초등실과교육전공 박사과정 개설과 교육과정 개정을 준비할 경우 보다 엄밀한 선행 연구 분석, 기존에 개설된 대학원의 박사과정 교육과정 분석과 실과교육학의 학문적 구조에 따른 과목 개설과 교육과정 개정이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major doctoral course curriculum in graduate school and educational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ducted: 1) to compare the aim and objective in practical arts ed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major doctoral course curriculum in graduate school and educational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ducted: 1) to compare the aim and objectiv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major doctoral course curriculum and 2) to compare the conditions of the required courses after dividing them by academic field.
      The research targeted the doctoral course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octoral course of Jeju National University, and doctoral cours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r data analysis, the academic fields were primarily categorized into subject contents knowledge(home economics, technology studies and agricultural science studies), meta understanding, and subject matter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overall required courses by universit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im and objective. Seco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between the academic fields(practical arts education, home economics, technology studies and agricultural science studies), meta understanding, and subject matter education are not balance the number of the subject in required cours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ill develop the new lecture standards for required doctoral course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majo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초등실과교육전공 박사과정 교육과정 분석
      • Ⅳ. 결론 및 제언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초등실과교육전공 박사과정 교육과정 분석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현석, "현대교육과정탐구" 학지사 2011

      2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3 최유현, "초등실과교육 전공 대학원 교육과정 연구 : 진단과 처방" 16 : 287-310, 2004

      4 전세경,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대학원 실과교육전공 교육과정 비교분석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9 (19): 73-85, 2006

      5 김지숙, "초등 실과관련 대학원 교육과정의 국제 비교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0 (20): 39-60, 2007

      6 김희필, "초등 실과 전공 박사과정의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 10 (10): 187-210, 2010

      7 김종우, "실과교육학의 구조 탐색" 초등교육연구원 27 (27): 345-358, 2016

      8 류청산, "실과교육학원론" 엘리트 2002

      9 최유현, "실과교육학연구" 형설출판사 2001

      10 류청산, "실과교육학 : 이론편" 엘리트 2003

      1 강현석, "현대교육과정탐구" 학지사 2011

      2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3 최유현, "초등실과교육 전공 대학원 교육과정 연구 : 진단과 처방" 16 : 287-310, 2004

      4 전세경,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대학원 실과교육전공 교육과정 비교분석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9 (19): 73-85, 2006

      5 김지숙, "초등 실과관련 대학원 교육과정의 국제 비교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0 (20): 39-60, 2007

      6 김희필, "초등 실과 전공 박사과정의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 10 (10): 187-210, 2010

      7 김종우, "실과교육학의 구조 탐색" 초등교육연구원 27 (27): 345-358, 2016

      8 류청산, "실과교육학원론" 엘리트 2002

      9 최유현, "실과교육학연구" 형설출판사 2001

      10 류청산, "실과교육학 : 이론편" 엘리트 2003

      11 전국교육대학교실과교육연구회, "실과교육론" 양서원 2001

      12 제주대학교, "대학원 요람 및 교육과정"

      13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요람 및 교육과정"

      14 한상연, "국내 박사학위과정의 현황과 문제: 제도 개선을 위한 탐색적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40 (40): 265-284, 2009

      15 이돈희, "교육철학개론 –교육행위의 철학적 분석-" 교육과학사 1999

      16 황윤한, "교육전문박사(Ed.D.) 학위과정 개설 및 교육과정 개발" 교육인적자원부 2003

      17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요람 및 교육과정"

      18 이돈희, "교과학기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7

      19 이돈희, "교과교육학 탐구" 교육과학사 1994

      20 박순경, "교과교육학 논의의 반성적 고찰" 11-42, 2001

      21 "고등교육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