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형 및 비정형 빅데이터를 이용한 양파 소비 예측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150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터넷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식품 소비는 다양한 대충 매체 및 소셜 미디어를 통해 신속하고 방대한 정보 전달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8년 4월 국내 언론 보도에 따르면, ...

      인터넷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식품 소비는 다양한 대충 매체 및 소셜 미디어를 통해 신속하고 방대한 정보 전달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8년 4월 국내 언론 보도에 따르면, 양파 재배 면적이 증가하고 양파 생산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후에 양파 가격은 폭락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SNS, 인터넷 정보 검색, 방송 프로그램에서 언급된 양파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실제 가격폭락이 발생하기 전에, 양파 소비를 촉진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2018년 양파 생산량 증가에 따른 양파 가격 폭락이 예상되는 상황에, 가장 최근 양파 생산량 증가에 따라 가격 폭락을 경험하였던 2014년의 방송 프로그램 및 SNS가 양파 소비와 연계되었는지 파악하고자, 양파 소비 촉진과 관련된 정형 및 비정형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양파 소비 촉진과 관련된 변수를 찾아 양파 가격 하락이 예상되는 2018년에 소비 촉진에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방송 뉴스의 양파 언급 기사 수(3~6주), 양파와 건강을 언급하는 방송 프로그램 수(11주), 양파의 효능을 언급하는 블로그의 댓글 빈도(5주)가 양파 구매금액 증가에 시차를 두고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을 확인한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양파 생산량 증가에 따른 양파 가격 폭락 시, 양파 소비 촉진을 위한 홍보에, 뉴스, 먹방, 쿡방 등의 방송 프로그램 및 블로그 등의 매체를 활용하는 소비촉진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ocial media data and the broadcasting data related to onion as well as agri-food consumer panel data were collected and investigated if the amount of money spent to purchase onion in year 2014 when onion price plunged latest were correlated with ...

      The social media data and the broadcasting data related to onion as well as agri-food consumer panel data were collected and investigated if the amount of money spent to purchase onion in year 2014 when onion price plunged latest were correlated with the frequencies of onion-related keywords in the social media data and the broadcasting programs because onion price in year 2018 is expected to plunge due to overproduction and there has been needs to analyze impacts of social media and broadcasting program on onion purchase in the previous similar events, and identify potential factors that can promote onion consumption in advance. What we identified from our study include a) broadcasting news programs mentioning words “onion,” were correlated with onion purchase with 3 - 6 weeks in advance; b) broadcasting entertainment programs mentioning words “onion and health,” were correlated with onion purchase with 11 weeks in advance; c) blog mentioning words “onion and efficacy,” were correlated with onion purchase with 5 weeks in advance. Our study provided a case on how social media and broadcasting programs could be analyzed for their effects on consumer purchase behavior using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in the field of agriculture. We propose to use the findings from the study may be applied to promote onion consump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관련 연구
      • Ⅲ. 연구 방법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관련 연구
      • Ⅲ. 연구 방법
      • Ⅳ. 결과
      • Ⅴ. 논의 및 연구의 한계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병우, "콘식품안전성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242) : 1-18, 2017

      2 박나희, "인터넷 검색엔진을 활용한 키워드가 중국관광객 방한 수요에 미치는 영향 - 바이두 인덱스 자료를 적용 -" 한국관광학회 40 (40): 159-174, 2016

      3 정병우, "양파즙은 6∼7월, 마늘 가공식품은 명절에 많이 팔려 - 농촌진흥청, 소비자의 양파·마늘 구매패턴 분석결과 발표"

      4 정빛나, "양파·마늘 과잉생산에 가격 폭락 우려" 연합뉴스 2018

      5 최정록, "양파 가공확대, 수매비축 등 선제적 대응키로 - 2014년도 양파 수급안정 대책 발표"

      6 MBN온라인뉴스팀, "양파 가격 '폭락'"

      7 최경덕, "식품안전 관련 유해정보가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에 영향을 미치는가? -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 한국경제연구학회 34 (34): 41-83, 2016

      8 김재우, "소셜 데이터 기반 실시간 식자재 물가 예측 모형" 한국정보과학회 44 (44): 1258-1268, 2017

      9 박덕병, "농촌관광마을 농가민박 편의시설 소바자 선호" 13 (13): 41-62, 2006

      10 김경필, "농림업분야 빅데이터 활용도 제고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1 양병우, "콘식품안전성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242) : 1-18, 2017

      2 박나희, "인터넷 검색엔진을 활용한 키워드가 중국관광객 방한 수요에 미치는 영향 - 바이두 인덱스 자료를 적용 -" 한국관광학회 40 (40): 159-174, 2016

      3 정병우, "양파즙은 6∼7월, 마늘 가공식품은 명절에 많이 팔려 - 농촌진흥청, 소비자의 양파·마늘 구매패턴 분석결과 발표"

      4 정빛나, "양파·마늘 과잉생산에 가격 폭락 우려" 연합뉴스 2018

      5 최정록, "양파 가공확대, 수매비축 등 선제적 대응키로 - 2014년도 양파 수급안정 대책 발표"

      6 MBN온라인뉴스팀, "양파 가격 '폭락'"

      7 최경덕, "식품안전 관련 유해정보가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에 영향을 미치는가? -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 한국경제연구학회 34 (34): 41-83, 2016

      8 김재우, "소셜 데이터 기반 실시간 식자재 물가 예측 모형" 한국정보과학회 44 (44): 1258-1268, 2017

      9 박덕병, "농촌관광마을 농가민박 편의시설 소바자 선호" 13 (13): 41-62, 2006

      10 김경필, "농림업분야 빅데이터 활용도 제고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11 김소현, "구제역이 돼지고기 소비에 미치는 영향:소비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12 이승용, "구제역 발생에 관한 언론 매체 보도가 소비자의 육류소비에 미치는 영향 고찰"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4

      13 D. I. Yoo, "Vegetable Price Prediction Using Atypical Web-Search Data" 2016

      14 J. Bollen, "Twitter Mood Predicts the Stock Market" 2 (2): 1-8, 2010

      15 R. BEACH, "The Effects of Avian Influenza News on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A Case Study of Italian Consumers' Retail Purchase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8

      16 신미해, "SNS 특성이 농식품 콘텐츠의 소비자만족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58-367, 2012

      17 채광석, "SNS 빅데이터 자료를활용한 밭작물 소비자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7

      18 H. Choi, "Predicting the present with Google Trends" 88 : 2-9, 2012

      19 X. Meza, "Organic Products in Mexico and South Korea on Twitter" 135 (135): 587-603, 2016

      20 B. Pan, "Forecasting hotel room demand using search engine data" 3 (3): 196-210, 2012

      21 H. Rah,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 of Agro-Food Demand by Unstructured and Structured Bigdata" 2017

      22 나형철, "Analysis of Social Network Service Data to Estimate Tourist Interests in Green Tour Activities" 한국콘텐츠학회 14 (14): 27-31,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