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유배인의 현황과 문화자원의 활용-전남지역을 중심으로- = The Situation of Exiles and Making Use of Cultural Resources in Chosun Period -Focusing on Jeonam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60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made to find out the periodic development of exiles in Jeonam province, The current situation of existing cultural resources related to exiles, and the ways of making use of exile-cultural resources.
      A result of searching exiles' situation in Jeonam from the Annals of the Chosun Period is that the number of exiles is 534 in all. The periodic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by the type of counties and prefectures in the exiles' situation are below.
      First, the periodic number of the exiles is estimated to three in the 14th century, eighty-two 15th, twenty-eight 16th, thirty-one 17th, one hundred seventy-eight 18th, one hundred ninety-six 19th, sixteen the first half of the 20th. In other words, the development of the 18th century to 19th has a 70% of the number of the exiles in Jeonam province. The population of the southwest islands had increased suddenly at that time. The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those areas changed provinci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other words, myuns for groups of islands were established in the 18the century, and three counties like Dolsan county, Wando county, and Jido county were created in the 19th century.
      Second, the allocated places of the exiles have been confirmed in 25 counties and prefectures and 36 places. The places of the exile of the highest frequency among them were islands like Jejudo, Kogeumdo, Jindo, Heucksando, Chujado, Sinjido and so on, and the next places were counties and prefectures in inland area located on the coast like Haenam, Kangjin, Heungyang, Kwangyang, Jangheung, and so on. In other words, the allocated places of the exile were isolated islands or counties and towns in inland area which had administrative jurisdiction over the islands.
      Third, there were connections between the allocated places of the exiles and the camp of the naval forces. The allocated places of the exiles were only Jindo and Jejudo during the early days of Chosun Period . In the late of Chosun Period , however, new places of exile were added like Kogeumdo, Narodo, Dolsando, Balpo, Yudo, Limjado, Sinjido, Jido, Heucksando, and so on. The camp of the naval forces in those islands were established more or created in the late of Chosun Period . In other words, establishment of the camp of the naval forces resulted in making use of the islands as the places of exile.
      Fourth, existing cultural resources related to the exile in Jeonam province are the living places of exiles, seodang established in the places of exile, the books written in the places of exile, historic sites related to the exiles, and so on. In the books written in the places of exile like collections of works, poetical works, diaries, letters, traveler's journals, the value of their materials have been noticed from the view of primary historic materials regarding Jeonam province.
      번역하기

      This is made to find out the periodic development of exiles in Jeonam province, The current situation of existing cultural resources related to exiles, and the ways of making use of exile-cultural resources. A result of searching exiles' situation in ...

      This is made to find out the periodic development of exiles in Jeonam province, The current situation of existing cultural resources related to exiles, and the ways of making use of exile-cultural resources.
      A result of searching exiles' situation in Jeonam from the Annals of the Chosun Period is that the number of exiles is 534 in all. The periodic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by the type of counties and prefectures in the exiles' situation are below.
      First, the periodic number of the exiles is estimated to three in the 14th century, eighty-two 15th, twenty-eight 16th, thirty-one 17th, one hundred seventy-eight 18th, one hundred ninety-six 19th, sixteen the first half of the 20th. In other words, the development of the 18th century to 19th has a 70% of the number of the exiles in Jeonam province. The population of the southwest islands had increased suddenly at that time. The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those areas changed provinci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other words, myuns for groups of islands were established in the 18the century, and three counties like Dolsan county, Wando county, and Jido county were created in the 19th century.
      Second, the allocated places of the exiles have been confirmed in 25 counties and prefectures and 36 places. The places of the exile of the highest frequency among them were islands like Jejudo, Kogeumdo, Jindo, Heucksando, Chujado, Sinjido and so on, and the next places were counties and prefectures in inland area located on the coast like Haenam, Kangjin, Heungyang, Kwangyang, Jangheung, and so on. In other words, the allocated places of the exile were isolated islands or counties and towns in inland area which had administrative jurisdiction over the islands.
      Third, there were connections between the allocated places of the exiles and the camp of the naval forces. The allocated places of the exiles were only Jindo and Jejudo during the early days of Chosun Period . In the late of Chosun Period , however, new places of exile were added like Kogeumdo, Narodo, Dolsando, Balpo, Yudo, Limjado, Sinjido, Jido, Heucksando, and so on. The camp of the naval forces in those islands were established more or created in the late of Chosun Period . In other words, establishment of the camp of the naval forces resulted in making use of the islands as the places of exile.
      Fourth, existing cultural resources related to the exile in Jeonam province are the living places of exiles, seodang established in the places of exile, the books written in the places of exile, historic sites related to the exiles, and so on. In the books written in the places of exile like collections of works, poetical works, diaries, letters, traveler's journals, the value of their materials have been noticed from the view of primary historic materials regarding Jeonam provi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조선시대 전남지역 유배인의 시기별 추이, 현전하는 유배인 관련 문화자원의 현황, 그리고 유배문화자원에 대한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전남지역 유배인의 현황을『조선왕조실록』에서 검색한 결과 총 534명이 검출되었다. 유배인의 時期別·郡縣別 추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기별 유배인의 수는 14세기(3명), 15세기(82명), 16세기(28명), 17세기(31명), 18세기(178명), 19세기(196명), 20세기 전반기(16명) 순으로 집계되었다. 즉 전남지역 유배인의 추이는 18-19세기에 무려 70%를 점유하고 있었다. 이 시기는 서남해 도서지역의 인구가 급증한 시기이기도 하다. 도서지역의 인구 증가는 지방행정편제를 변화시켰다. 즉 18세기 섬에 諸島面이 설치되었고, 19세기에는 3郡(돌산군·완도군·지도군)이 신설되었다.
      둘째, 유배인의 配所는 25개 郡縣, 36處에서 확인되었다. 유배지 가운데 빈도수가 가장 높은 곳은 제주도․고금도․진도․흑산도․추자도․신지도 등 섬이었고, 그 다음으로 해남․강진․흥양․광양․장흥 등 바닷가 연안에 입지한 郡縣이었다. 즉 유배인의 배소는 絶島이거나, 혹은 이들 섬의 행정관할권을 갖고 있던 내륙지역의 郡邑이었다.
      셋째 유배인의 配所와 水軍鎭과의 관련성이다. 조선전기 전남지역의 유배지는 珍島와 濟州島뿐이었다. 그런데 조선후기에 이르면 고금도·나로도·녹도·돌산도·발포·여도·임자도·신지도·지도·흑산도 등이 새로운 유배지로 추가된다. 이들 섬은 조선후기에 수군진이 증설되거나 신설된 곳이다. 즉 섬에 수군진이 설치된 결과 유배지로 활용할 수 있었던 것이다.
      넷째, 현전하는 전남지역 유배 관련 문화자원으로는 ①유배인의 적거지, ②유배지에 개설된 서당, ③유배지에서 작성된 저술, ④유배인 관련 역사유적 등이다. 이 가운데 유배지에서 작성된 저술(문집․시집․일기․간찰․기행문)의 경우, 전남지역에 관한 1차 사료라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주목된다.
      번역하기

      이 글은 조선시대 전남지역 유배인의 시기별 추이, 현전하는 유배인 관련 문화자원의 현황, 그리고 유배문화자원에 대한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전남지역 유배인의 현황을...

      이 글은 조선시대 전남지역 유배인의 시기별 추이, 현전하는 유배인 관련 문화자원의 현황, 그리고 유배문화자원에 대한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전남지역 유배인의 현황을『조선왕조실록』에서 검색한 결과 총 534명이 검출되었다. 유배인의 時期別·郡縣別 추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기별 유배인의 수는 14세기(3명), 15세기(82명), 16세기(28명), 17세기(31명), 18세기(178명), 19세기(196명), 20세기 전반기(16명) 순으로 집계되었다. 즉 전남지역 유배인의 추이는 18-19세기에 무려 70%를 점유하고 있었다. 이 시기는 서남해 도서지역의 인구가 급증한 시기이기도 하다. 도서지역의 인구 증가는 지방행정편제를 변화시켰다. 즉 18세기 섬에 諸島面이 설치되었고, 19세기에는 3郡(돌산군·완도군·지도군)이 신설되었다.
      둘째, 유배인의 配所는 25개 郡縣, 36處에서 확인되었다. 유배지 가운데 빈도수가 가장 높은 곳은 제주도․고금도․진도․흑산도․추자도․신지도 등 섬이었고, 그 다음으로 해남․강진․흥양․광양․장흥 등 바닷가 연안에 입지한 郡縣이었다. 즉 유배인의 배소는 絶島이거나, 혹은 이들 섬의 행정관할권을 갖고 있던 내륙지역의 郡邑이었다.
      셋째 유배인의 配所와 水軍鎭과의 관련성이다. 조선전기 전남지역의 유배지는 珍島와 濟州島뿐이었다. 그런데 조선후기에 이르면 고금도·나로도·녹도·돌산도·발포·여도·임자도·신지도·지도·흑산도 등이 새로운 유배지로 추가된다. 이들 섬은 조선후기에 수군진이 증설되거나 신설된 곳이다. 즉 섬에 수군진이 설치된 결과 유배지로 활용할 수 있었던 것이다.
      넷째, 현전하는 전남지역 유배 관련 문화자원으로는 ①유배인의 적거지, ②유배지에 개설된 서당, ③유배지에서 작성된 저술, ④유배인 관련 역사유적 등이다. 이 가운데 유배지에서 작성된 저술(문집․시집․일기․간찰․기행문)의 경우, 전남지역에 관한 1차 사료라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주목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두식, "李荇의 巨濟「海島錄」 所載 詩 硏究" 동아대 석당학술원 (31) : 2002

      2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흑산도 유배문화공원 조성 학술조사보고" 2003

      3 양순필, "충암의 한시고" 민족어문학회 (23) : 1982

      4 김태수, "추사의 유배시 연구" 근역한문학회 (10) : 1992

      5 한창훈, "추사 김정희의 제주 유배기 언간과 그 문학적 성격" (18) : 2000

      6 정두희, "천주교 신앙과 유배의 삶, 다산의 형 정약전" 역사비평 1990

      7 김미경, "진도 유배문화의 일고찰" 한국도서학회 18 (18): 2006

      8 김영희, "조희룡평전-조선 문인화의 영수" 동문선 2003

      9 고석규, "조희룡의 임자도 유배생활에 대하여"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4) : 2004

      10 심재우, "조선후기 단성지역 정배인의 존재양태" 일지사 (102) : 2001

      1 최두식, "李荇의 巨濟「海島錄」 所載 詩 硏究" 동아대 석당학술원 (31) : 2002

      2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흑산도 유배문화공원 조성 학술조사보고" 2003

      3 양순필, "충암의 한시고" 민족어문학회 (23) : 1982

      4 김태수, "추사의 유배시 연구" 근역한문학회 (10) : 1992

      5 한창훈, "추사 김정희의 제주 유배기 언간과 그 문학적 성격" (18) : 2000

      6 정두희, "천주교 신앙과 유배의 삶, 다산의 형 정약전" 역사비평 1990

      7 김미경, "진도 유배문화의 일고찰" 한국도서학회 18 (18): 2006

      8 김영희, "조희룡평전-조선 문인화의 영수" 동문선 2003

      9 고석규, "조희룡의 임자도 유배생활에 대하여"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4) : 2004

      10 심재우, "조선후기 단성지역 정배인의 존재양태" 일지사 (102) : 2001

      11 지철호, "조선전기의 유형" 한국법사학회 (8) : 1985

      12 심재우, "조선전기 유배형과 유배생활" 국사편찬위원회 (92) : 2000

      13 최인주, "조선시대 유형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1992

      14 김경숙, "조선시대 유배형의 집행과 그 사례" 한국사학회 (55․56) : 1998

      15 장선영, "조선시기 流刑와 絶島定配의 推移" 역사문화학회 4 (4): 169-202, 2001

      16 홍순만, "조선말기 제주도의 유배인과 형사제도" 제주학회 (3) : 1986

      17 고창석, "제주도 유배에서의 면안 최익현의 교학활동연구" 제주대 탐라문화연구소 (8) : 1989

      18 강재언, "제주도 유배기의 김윤식" 제주대 탐라문화연구소 (7) : 1988

      19 양진건, "제주 유배인의 개화 교학활동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23) : 1990

      20 강봉룡, "임자도 우봉 조희룡 적거지의 관광자원화 방안"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24) : 2004

      21 최재남, "유배체험의 내면화와 시적 변용" 한국한시학회 (13) : 387-419, 2005

      22 최성환, "유배인 김약행의 <遊大黑記>를 통해 본 조선후기 대흑산도"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6) : 139-177, 2010

      23 김려저, "유배객, 세상을 알다" 태학사 2007

      24 김정주, "유배가사 표현 어휘의 특성 고찰" 한국언어문학회 (41) : 1998

      25 이민홍, "우암의 장기 유배생활 실상과 저작활동" 한국한문학회 (27) : 2001

      26 강주진, "벽파가문 출생의 추사 김정희-제주 유배동기를 중심으로-" 제주대 탐라문화연구소 (6) : 1987

      27 김호성, "면암 최익현 연구" 한국정치외교사학회 (14) : 1996

      28 안병렬, "면암 漢詩의 내용고찰" 민족어문학회 (23) : 1982

      29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도서 문화자원 지표조사 및 자원화 연구" 2006

      30 정석종, "다산 정약용의 강진유배기 스님과의 交歡"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27) : 1997

      31 류창규, "나주 회진 유배시절 삼봉 정도전의 유배지 사람과의 소통과정-농민에 대한 인식 변화 및 정체성 찾아가기-" 호남사학회 (27) : 2006

      32 "강진군의 문화유적, 고흥군의 문화유적, 광양군의 문화유적, 무안군의 문화유적, 순천시사, 신안군의 문화유적, 영암군의 문화유적. 완도군의 문화유적, 장흥군의 문화유적, 전남의 서원 사우, 진도군의 문화유적, 해남군의 문화유적, 완도군지"

      33 신안군, "가고 싶은 섬 홍도 시범사업마스터플랜" 신안군 2008

      34 "高麗圖經"

      35 고정우, "鄭蘊의 유배 한시 연구" 제주대 탐라문화연구소 (8) : 1989

      36 "艱貞日錄"

      37 "經國大典"

      38 이해준, "珍島 流配 人物志 in: 진도군의 문화유적" 목포대 박물관 1987

      39 "朝鮮王朝實錄"

      40 김경옥, "朝鮮後期 島嶼硏究" 혜안 2004

      41 윤재환, "朝鮮 後期 流配 經驗의 詩的 形象化 -梅山 李夏鎭의 「雲陽錄」을 中心으로-" 우리한문학회 19 : 321-349, 2008

      42 "增補文獻備考"

      43 김희동, "仙華子 金若行 선생의 년보와 해설 in: 仙華子 金若行 선생의 꿈과 생애" 목민 1992

      44 김경옥, "19세기 초 문순득의 표류담을 통해 본 선박건조술" 한국역사민속학회 (24) : 231-262, 2007

      45 임학성, "18세기 단성현에 정배된 죄인과 그 가족의 생활" 한국고문서학회 (18) :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전남사학 -> 역사학연구 KCI등재
      2006-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전남사학회 -> 호남사학회
      영문명 : Chonnam Historical Association -> Honam Historical Associ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 1.18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