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목적은 신약성서에 나타난 평화의 개념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이 주제와 관련하여 더 갚은 신학적이며 윤리적인 논의를 위한 하나의 징검돌을 놓는 데 있다. 이 글에서는 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09646
2010
Korean
231
학술저널
25-46(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신약성서에 나타난 평화의 개념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이 주제와 관련하여 더 갚은 신학적이며 윤리적인 논의를 위한 하나의 징검돌을 놓는 데 있다. 이 글에서는 신...
이 글의 목적은 신약성서에 나타난 평화의 개념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이 주제와 관련하여 더 갚은 신학적이며 윤리적인 논의를 위한 하나의 징검돌을 놓는 데 있다. 이 글에서는 신약성서에 사용된 ‘평화’ 언어 및 그 동족어들의 평화 개념과 관련하여 사용된 헬라어 ‘에이레네’따p끼VTl) 및 그 ‘동족어들’ (cognate words) 의 번역을 통해 나타난 의미를 다룬다. 신약성서에 사용된 ‘에이레네’ 및 그 동족어들의 의미를 분단국가의 현실과 여러 교단과 교파로 나뀐 한국 교회의 상황 속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를 간략하게 언급한다. 신약성서에서 ‘평화’는 항상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이해되며,그리스도가 평화의 근거로 제시되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은 신약성서의 평화의 개념을 이해함에 있어서 핵심을 이루고 있다. 예수께서 선물로 주신 평화는 값비싼 대가를 치르고 주신 것이다. 예수께서 주시는 평화는 이 땅에서 이루어지는 사회 경제적, 정치적, 군사적 평화가 아니기에 세상의 평화와 질적으로 다른 영적 평화이다. 신약성서는 하나님이 그리스도를 통하여 제공하신 평화에 근거하여 모든 하나님의 자녀들에게 평화의 실천을 윤리적인 삶의 지침으로 강조한다. 신약성서에서 하나님의 자녀들은 ‘화평하게 하는 자’로서 다른 사람들과 화평을 이루는 ‘평화의 아들’(눅 10:6) 이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선약성서에서 언급된 ‘평화’는 기독론 및 구원론과 관련하여 앞으로 계속 논의되어야 할 중요한 주제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