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수업방식, 교사특성, 수업분위기와 창의성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the Elementary Student's Perceived Class Method, Teacher Characteristics, Class Atmosphere and Creativ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377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맥락 중 학교의 수업환경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초등학교 5학년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맥락 중 학교의 수업환경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초등학교 5학년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교육종단조사 2013(KELS)의 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수업방식과 교사특성이 수업분위기를 매개로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수업방식, 교사특성(교사지원, 교사열의, 성취압력), 수업분위기는 창의성과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설정한 연구모형에 따라 교사의 수업방식과 교사특성은 수업분위기를 매개로 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수업방식은 학생의 창의성에 직접적인 영향만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특성 중 교사지원과 교사열의는 창의성에 정적인 영향을, 성취압력은 창의 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교사의 지원과 열의는 수업분위기를 매개로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및 논의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교사들에게 초등학생들의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실질적인 교수-학습방법, 학급경영, 교실환경 조성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class environment of school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context affects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For the study 7,280 students' data from data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KELS) were selected and anal...

      This study explored the class environment of school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context affects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For the study 7,280 students' data from data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KEL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metho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teachers, teacher characteristics, class atmosphere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Second, the teaching methods of teachers and teacher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model studies were identified affect the creativity of the students mediating a class atmosphere. As a result, the teaching methods of teachers showed that only a direct impact on the creativity of the students. Teachers enthusiasm and teacher support gave a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achievement pressure influenced a negative effect on creativity. In particular, the positiv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ppeared to affect creativity to mediate the class atmospher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formulated several educational suggestions with respect to creative class environ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은현, "한국적 창의성과 창의적 환경에 대한 대학생들의 암묵적 이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4 : 367-390, 2008

      2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종단연구2013(Ⅰ) : 초등학생의 교육경험과 교육성취" 한국교육개발원 2014

      3 임현정,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Ⅲ) : 초등학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4 박병기, "통합창의성이 내재된 다차원 창의적 환경 척도(ICEMCEs)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839-862, 2009

      5 구정화, "초등교사의 수업 창의성이 토론수업 인식 및 실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32 : 61-80, 2001

      6 김청자, "청소년의 환경변인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 16 (16): 159-181, 2008

      7 정옥분, "청소년과 교사가 지각하는 창의성 교육의 실태조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7 (17): 29-53, 2005

      8 장재윤, "창조적 리더" 파인트리 2006

      9 김미숙, "창의적 환경 유형별 초등학생의 창의인성 특성 분석" 한국영재교육학회 13 (13): 205-224, 2014

      10 조선미, "창의적 학교환경에 대한 인식 척도의 타당성 검증 및 집단 차이 연구" 한국영재학회 22 (22): 663-677, 2012

      1 성은현, "한국적 창의성과 창의적 환경에 대한 대학생들의 암묵적 이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4 : 367-390, 2008

      2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종단연구2013(Ⅰ) : 초등학생의 교육경험과 교육성취" 한국교육개발원 2014

      3 임현정,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Ⅲ) : 초등학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4 박병기, "통합창의성이 내재된 다차원 창의적 환경 척도(ICEMCEs)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839-862, 2009

      5 구정화, "초등교사의 수업 창의성이 토론수업 인식 및 실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32 : 61-80, 2001

      6 김청자, "청소년의 환경변인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 16 (16): 159-181, 2008

      7 정옥분, "청소년과 교사가 지각하는 창의성 교육의 실태조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7 (17): 29-53, 2005

      8 장재윤, "창조적 리더" 파인트리 2006

      9 김미숙, "창의적 환경 유형별 초등학생의 창의인성 특성 분석" 한국영재교육학회 13 (13): 205-224, 2014

      10 조선미, "창의적 학교환경에 대한 인식 척도의 타당성 검증 및 집단 차이 연구" 한국영재학회 22 (22): 663-677, 2012

      11 성은현, "창의적 수업환경 질문지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2 (12): 113-131, 2012

      12 성은현, "창의적 사고력과 공간도형지능, 학업성적,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351-372, 2003

      13 민지연, "창의적 교실 분위기와 창의성 및 동기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787-800, 2009

      14 민지연, "창의적 교실 분위기 평가 척도 개발" 한국아동학회 29 (29): 27-42, 2008

      15 성은현, "창의적 가정환경 질문지 개발 및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5 (25): 107-124, 2012

      16 한순미, "창의적 가정 및 학교 환경에 대한 한·미 대학생의 암묵적 개념과 현실 환경"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151-168, 2008

      17 김혜숙, "창의성 진단 측정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13 (13): 269-303, 1999

      18 김선아, "창의성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전문가적 역할" 한국미술교육학회 18 (18): 65-80, 2004

      19 서혜애, "창의성 계발교수학습모형 및 자료개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2

      20 이경화, "창의력 신장을 위한 학교교육에서의 교수-학습 과제" 4 (4): 73-95, 2001

      21 최영아,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분석 연구" 서울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22 장미정, "유아의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 분석"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23 김호, "유아의 내·외적 동기 및 어머니와 교사의 창의성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283-298, 2008

      24 Karnes, Frances A., "영재 교육의 방법과 자료" 대교/한국교육평가센터 2003

      25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26 조연순, "교실수업 상황에서 학생 창의성을 촉진하는 교수․학습 특성 탐색"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609-634, 2011

      27 황신영, "교사피드백이 포함된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연구소 18 (18): 57-71, 2014

      28 최미정, "교사 창의성의 의미와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7 (7): 431-447, 2007

      29 임철일, "공학교육에서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학습환경 설계모형" 한국공학교육학회 14 (14): 3-10, 2011

      30 Lubart, T. I.,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SanDiego 1994

      31 Amabile, T. M.,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 componential conceptualization" 45 : 357-376, 1983

      32 Kim, J., "The relationship of creativity measures to school achievement and to preferred learning and thinking style in a sample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55 : 60-74, 1995

      33 Csikszentmihalyi, M.,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5-339, 1988

      34 Beghetto, R. A., "The Cambridge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7-466, 2010

      35 Brown, M. W., "Teach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1993

      36 Dreyer, A. S., "Parental values, parental control, and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28 : 83-33, 1996

      37 John-Steiner, B., "Notebooks of the Minds:Explorations of Thinking"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38 Kim, K. H., "Learning from each other : Creativity in East Asian and American Education" 17 (17): 337-347, 2005

      39 Williams, S., "Increasing employees’ creativity by training their managers" 33 : 63-68, 2001

      40 Csikszentmihalyi, M.,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3-335, 1999

      41 Kames. S.,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2-430, 1999

      42 Sawyer, R. K., "Group creativity: Music, teather, collaboration" Lawrence Erlbaum 2003

      43 Sarmiento, W. J., "Group creativity in interaction : Collaborative referencing, remembering, and bridging" 24 (24): 492-504, 2008

      44 Sawyer, R. K., "Explaining creativity: The science of human innov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45 Wollam, J., "Equality versus excellence: The South Korean dilemma in gifted education" 14 : 212-217, 1992

      46 Halliwell, S., "Developing teachers professionally: Reflections for initial and In Service trainers" Routledge 67-78, 1993

      47 Sternberg, R., "Defying the crowd: Cultivation creativity in a culture of conformity" Free Press 1995

      48 Urban, K. K., "Creativity: A componential approach" 1995

      49 Amabile, T. M., "Creativity in context" Westview Press 1996

      50 Woodman, R. W., "An interactionist model of creative behavior" 24 : 279-290,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Creativity Education Association -> Korean Society for Creativity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5 1.65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64 2.057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