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80년대 이후 한국사회 비판적 가족담론의 변화: 비동시성의 동시성 = The Family Discourse Trends of Korea Since 1980s: The Simultaneity of the Non-Simultaneo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644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80년대 중반 이후 한국 가족연구의 변화 경향을, 시대적 배경과 관련하여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론은 문헌연구로서, 가족사회학, 여성학적 가족연구 등 사회과학적 분야를 주요 대상으로, 1차적으로는 단행본을 중심으로 하고, 2차적으로는 학술저널을 검토하였다. 학술저널은 가족연구 전문지이며 투고자의 분야가 비교적 포괄적인 『가족과 문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국 사회에서 비판적 가족론의 흐름은 1980년대 후반의 마르크스주의적 가족론을 거쳐 1990년대 전반기 본격적인 여성주의 가족론으로 진화했으며, 90년대 중반 이래 후기근대적 서구 가족연구의 소개와 함께 근대성의 문제틀이 새롭게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세 가지의 접근은 거의 동시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90년대 거의 십년간을 통해서 상호중첩적인 전개를 보이고 있었다.
      90년대 말 이후로는 이혼률 증가와 출산률 저하에 대한 인구학적 위기담론이 가족해체론으로 연결되면서 비판적 가족연구의 지성사는 정책 담론으로 협소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2000년대 이래 현재까지 신자유주의적 경제위기가 장기화되면서 미혼화, 저출산 등의 가족변화 현상은 대중적인 정책담론의 틀을 넘어서서 후기 근대적인 위험사회의 개인화라는 지구적인 경향, 한국사회의 압축적 근대화의 경험과 관련하여 재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80년대 이래 한국가족 연구의 중층적 경향은 근대와 탈근대의 압축적 근대성, 비동시성의 동시성이라는 용어로 요약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1980년대 중반 이후 한국 가족연구의 변화 경향을, 시대적 배경과 관련하여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론은 문헌연구로서, 가족사회학, 여성학적 가족연구 등 사회과학적 분야를 ...

      이 글은 1980년대 중반 이후 한국 가족연구의 변화 경향을, 시대적 배경과 관련하여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론은 문헌연구로서, 가족사회학, 여성학적 가족연구 등 사회과학적 분야를 주요 대상으로, 1차적으로는 단행본을 중심으로 하고, 2차적으로는 학술저널을 검토하였다. 학술저널은 가족연구 전문지이며 투고자의 분야가 비교적 포괄적인 『가족과 문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국 사회에서 비판적 가족론의 흐름은 1980년대 후반의 마르크스주의적 가족론을 거쳐 1990년대 전반기 본격적인 여성주의 가족론으로 진화했으며, 90년대 중반 이래 후기근대적 서구 가족연구의 소개와 함께 근대성의 문제틀이 새롭게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세 가지의 접근은 거의 동시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90년대 거의 십년간을 통해서 상호중첩적인 전개를 보이고 있었다.
      90년대 말 이후로는 이혼률 증가와 출산률 저하에 대한 인구학적 위기담론이 가족해체론으로 연결되면서 비판적 가족연구의 지성사는 정책 담론으로 협소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2000년대 이래 현재까지 신자유주의적 경제위기가 장기화되면서 미혼화, 저출산 등의 가족변화 현상은 대중적인 정책담론의 틀을 넘어서서 후기 근대적인 위험사회의 개인화라는 지구적인 경향, 한국사회의 압축적 근대화의 경험과 관련하여 재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80년대 이래 한국가족 연구의 중층적 경향은 근대와 탈근대의 압축적 근대성, 비동시성의 동시성이라는 용어로 요약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review of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family theories and the family researches in Korea, focussing on discourses in the field of the family sociology and the feminist study on family from the latter of 1980s to the present. It covers the academic books and journal articles on the issue like family and culture, and also includes the books published outside the academia when those have the meaningful influenc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rends of critical discourses on the family have been developed from the Marxist family perspective through the end of the 1980s to the early 1990s, to the feminist approaches of 1990s, and nearly at the same time have witnessed the introduction of the postmodern perspective on the family.
      Meanwhile since the end of the 1990s the critical theories of the family has been contracted at the sight of the increasing divorce rate and the decreasing birth rate which were regarded as the sign of the family disorganzation, resulting the blooming of the policy-related family studies and withering of the radical perspectives. But continuing instability of the economic situation which has been started by the financial crisis of East Asia from the end of 1990s made it possible to integrate the theory of risk society and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into the field of family study. It meant that the Korean familial researches began to interpret the family experiences of Korea not only through the eyes of Korean tradition such as familism which has easily been labeled as the Korean peculiarity, but also through the perspectives of universal and glocal transformation of intimacy under the high risk society. It is the social situation of Korea under the compressed modernity that has made possible the simultaneity of the non-simultaneous theories in the family study.
      번역하기

      This study is a review of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family theories and the family researches in Korea, focussing on discourses in the field of the family sociology and the feminist study on family from the latter of 1980s to the present. It cov...

      This study is a review of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family theories and the family researches in Korea, focussing on discourses in the field of the family sociology and the feminist study on family from the latter of 1980s to the present. It covers the academic books and journal articles on the issue like family and culture, and also includes the books published outside the academia when those have the meaningful influenc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rends of critical discourses on the family have been developed from the Marxist family perspective through the end of the 1980s to the early 1990s, to the feminist approaches of 1990s, and nearly at the same time have witnessed the introduction of the postmodern perspective on the family.
      Meanwhile since the end of the 1990s the critical theories of the family has been contracted at the sight of the increasing divorce rate and the decreasing birth rate which were regarded as the sign of the family disorganzation, resulting the blooming of the policy-related family studies and withering of the radical perspectives. But continuing instability of the economic situation which has been started by the financial crisis of East Asia from the end of 1990s made it possible to integrate the theory of risk society and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into the field of family study. It meant that the Korean familial researches began to interpret the family experiences of Korea not only through the eyes of Korean tradition such as familism which has easily been labeled as the Korean peculiarity, but also through the perspectives of universal and glocal transformation of intimacy under the high risk society. It is the social situation of Korea under the compressed modernity that has made possible the simultaneity of the non-simultaneous theories in the family stud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 Ⅱ. 80년대 중반-90 년대 초반: 계급관점의 가족론이 페미니즘을 수용하다
      • Ⅲ. 90년대: 페미니즘적 가족담론의 본격화, 그리고 탈근대적 관점과의 조우
      • Ⅳ. 90년대 말 IMF 위기 이후 현재: 신자유주의 경제위기와 가족관점의 탈급진화?
      • 국문초록
      • Ⅰ.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 Ⅱ. 80년대 중반-90 년대 초반: 계급관점의 가족론이 페미니즘을 수용하다
      • Ⅲ. 90년대: 페미니즘적 가족담론의 본격화, 그리고 탈근대적 관점과의 조우
      • Ⅳ. 90년대 말 IMF 위기 이후 현재: 신자유주의 경제위기와 가족관점의 탈급진화?
      • Ⅴ. 요약과 결론: 비동시성의 동시성으로서의 비판적 가족연구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혜정, "후기 근대적 위기와 b>봄 국가’적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시론: ‘차가운 근대 cold modern'에서 ’따뜻한 근대 warm modern' 로" 사회과학연구소 37 (37): 71-97, 2006

      2 기든스, 앤소니, "현대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친밀성의 구조변동" 새물결 1996

      3 김혜경, "한국사회 가족가치의 이념적 상위와 복합성: 2004년 ‘건강가정기본법’ 제정이래의 가족관련 법안과 정책의 형성을 중심으로" 2007

      4 김선영, "한국가족학회지의 가족연구 경향 분석" 한국가족학회 20 (20): 143-182, 2008

      5 안호용, "한국가족의 형태분류와 핵가족화의 의미, In 한국의 사회와 역사" 일지사 1991

      6 김금남, "한국 여성운동의 주기별 조직 연대에 관한 연구 : 가족법개정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7 문소정, "한국 사회의 가족 다양화 담론" 한국가족학회 4-17, 2005

      8 함인희, "한국 가족의 위기 : 해체인가, 재구조화인가?" 한국가족학회 14 (14): 7-7, 2002

      9 이재경, "한국 가족은 '위기'인가?: '건강가정' 담론에 대한 비판" 한국여성학회 20 (20): 229-244, 2004

      10 안호용, "한국 가족변화의 사회적 의미"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3 : 89-132, 2000

      1 조혜정, "후기 근대적 위기와 b>봄 국가’적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시론: ‘차가운 근대 cold modern'에서 ’따뜻한 근대 warm modern' 로" 사회과학연구소 37 (37): 71-97, 2006

      2 기든스, 앤소니, "현대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친밀성의 구조변동" 새물결 1996

      3 김혜경, "한국사회 가족가치의 이념적 상위와 복합성: 2004년 ‘건강가정기본법’ 제정이래의 가족관련 법안과 정책의 형성을 중심으로" 2007

      4 김선영, "한국가족학회지의 가족연구 경향 분석" 한국가족학회 20 (20): 143-182, 2008

      5 안호용, "한국가족의 형태분류와 핵가족화의 의미, In 한국의 사회와 역사" 일지사 1991

      6 김금남, "한국 여성운동의 주기별 조직 연대에 관한 연구 : 가족법개정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7 문소정, "한국 사회의 가족 다양화 담론" 한국가족학회 4-17, 2005

      8 함인희, "한국 가족의 위기 : 해체인가, 재구조화인가?" 한국가족학회 14 (14): 7-7, 2002

      9 이재경, "한국 가족은 '위기'인가?: '건강가정' 담론에 대한 비판" 한국여성학회 20 (20): 229-244, 2004

      10 안호용, "한국 가족변화의 사회적 의미"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3 : 89-132, 2000

      11 손승영, "한국 가족과 젠더" 집문당 2011

      12 이효재, "편자서문, In 가족연구의 관점과 쟁점" 까치 1988

      13 쏘온, 배리,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본 가족" 한울 1992

      14 이여봉, "탈근대의 가족들 : 다양성, 아픔, 그리고 희망" 양서원 2006

      15 임상수, "처녀들의 저녁식사"

      16 김혜경, "지구화시대 청년층의 ‘불확실성’과 삶의 ‘전이(transition)’: 개인화와 (재)가족화의 교착" 한국사회학회 2011

      17 김상준, "중층근대성:대안적 근대성 개요" 한국사회학회 41 (41): 242-279, 2007

      18 장윤형, "접속"

      19 강은영, "자발적 비혼 여성에 대한 자전적 생애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20 이현송, "이혼의 인구.사회경제적 결정요인" 9 (9): 69-90, 1997

      21 장정순, "왜 이혼 못하는가" 현민시스템 1994

      22 김원정, "올바른 신분등록제도 설계의 원칙과 가족관계등록법 개선과제: ‘목적별신분등록법제정을위한공동행동’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In 가족관계등록법, 무엇이 문제인가" 2008

      23 한윤형, "열정은 어떻게 노동이 되는가" 웅진지식하우스(웅진닷컴) 2011

      24 이현송, "여성의 개인주의 확대와 가족 변화 -미국 사회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15 (15): 5-5, 2003

      25 한국여성연구소, "여성과 사회 6호"

      26 서러, 섀리. L., "어머니의 신화" 까치 1995

      27 조성희, "실직이후 부부의 이혼가능성" 11 (11): 25-45, 1999

      28 이미경, "신자유주의적 반격하에서 핵가족과 ‘가족의 위기’: 페미니즘적 비판의 쟁점들" 공감 1999

      29 김혜영, "신자유주의와 다양한 가족"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9 (9): 55-94, 2008

      30 조은,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가족 정치의 지형: 계급과 젠더의 경합" 한국여성학회 24 (24): 5-37, 2008

      31 경순, "쇼킹 패밀리"

      32 조희연, "서장, In 사회를 보는 새로운 눈" 한울출판사 2008

      33 김희자, "서구의 가족법·가족정책의 변화와 포스트모던 가족 모형" 비판사회학회 (78) : 194-222, 2008

      34 또 하나의 문화, "새로 쓰는 성 이야기" 또 하나의 문화 출판사 1991

      35 또 하나의 문화, "새로 쓰는 사랑 이야기" 또하나의 문화 출판사 1991

      36 또 하나의 문화, "새로 쓰는 결혼이야기, 1, 2권" 또 하나의 문화 출판사 1996

      37 학술단체협의회, "사회주의개혁과 한반도" 한울 1990

      38 마경희, "사회권으로서 돌봄의 제도화를 위한 대안적 패러다임 모색" 한국여성연구소 16 : 35-66, 2005

      39 벡, 울리히, "사랑은 지독한 (그러나 너무나 정상적인) 혼란" 새물결 1997

      40 김혜영, "비혼 1인가구의 가족의식 및 생활실태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41 조경숙, "불분명한 ‘적’과의 길고 긴 투쟁:70년대 후반 학번의 여성(?)답게 살기" 6 : 25-36, 1995

      42 김혜경, "보살핌노동의 정책화를 둘러싼 여성주의적 쟁점: "경제적보상(payments for care)"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0 (20): 75-104, 2004

      43 이동원, "변화하는 사회, 다양한 가족" 양서원 2001

      44 임상수, "바람난 가족"

      45 이효재, "민족분단과 가족문제, In 분단시대의 사회학" 한길사 1985

      46 임인숙, "미국학계의 가족변화 논쟁" 11 (11): 23-46, 1999

      47 심영희, "모성의 담론과 현실" 나남 1999

      48 지민, "두 개의 선"

      49 이연주, "동거와 한국가족: 전국조사에서 나타난 동거자의 특성" 한국인구학회 31 (31): 77-100, 2008

      50 박부진, "대학생의 인터넷 이용특성과 가족생활의 변화" 12 (12): 99-126, 2000

      51 김승권, "다양한 가족의 출현과 사회적 지원체계 구축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52 변화순, "다양한 가족 출현에 따른 쟁점과 가족관련법의 방향정립에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03

      53 조한혜정, "다시, 마을이다" 또 하나의 문화 출판사 2007

      54 김혜경, "노인돌봄 (중간제목- 노인돌봄의경험과 윤리: 좋은 돌봄을 위하여)" 양서원 2011

      55 김혜련, "남자의 결혼, 여자의 이혼" 또하나의 문화 1995

      56 박경숙, "남녀 결혼시기 연장의 주요요인: 계층혼, 성역할 분리규범, 경제조정의 우발적 결합" 한국인구학회 28 (28): 33-62, 2005

      57 김혜영, "기로에 선 가족정책,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여성학회 28 (28): 63-94, 2012

      58 조은, "근대가족의 변모와 여성문제"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59 김소라, "고학력 비혼여성의 독신문화에 관한 연구 : 새로운 생애단계의 사회적 구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60 안병철, "경제위기와 가족: 경제, 가족, 가부장제, 정신건강, 그리고 가족해체" 미래인력연구센터 2001

      61 박혜경, "경제위기시 가족주의 담론의 재구성과 성평등 담론의 한계" 한국여성학회 27 (27): 71-106, 2011

      62 임인숙, "경제위기가 가족해체 고려에 미치는 영향" 12 (12): 1-23, 2000

      63 조주현, "결혼이데올로기" 1993

      64 김혜경, "건강가정기본법’의 제・개정을 둘러싼 담론에 대한 연구" 16 : 67-102, 2005

      65 김인숙, "건강가정기본법 제정과정에 나타난 가족 및 가족정책 담론"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253-280, 2007

      66 강희경, "건강가정'담론의 불건강성" 비판사회학회 (65) : 155-178, 2005

      67 장경섭, "가족・생애・정치경제: 압축적 근대성의 미시적 기초" 창비 2009

      68 김현옥, "가족주의 의식의 구성과 변화 - 한국사회에서의 연령집단별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가족학회 14 (14): 1-1, 2002

      69 양옥경, "가족주의 가치관에 따른 한국인의 복지의식 연구: 서울지역 기혼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1 : 229-256, 2002

      70 함인희, "가족제도의 다원화와 미완의 양성평등" 2 : 5-35, 2008

      71 윤홍식, "가족정책 방향 및 가족지원기본법(안)의 주요내용" 2004

      72 장경섭, "가족이념의 우발적 다원성: 압축적 근대성과 한국가족" 24 (24): 161-202, 2001

      73 김태용, "가족의 탄생"

      74 이재경, "가족의 이름으로: 한국 근대가족과 페미니즘" 또하나의 문화 출판사 2003

      75 박선영, "가족의 다양화에 따른 관련 법제 정비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76 기틴스, 다이아나, "가족은 없다" 일신사 1997

      77 바렛, 미셸, "가족은 반사회적인가" 여성사 1993

      78 이효재, "가족연구의 관점과 쟁점" 까치 1988

      79 金惠英, "韓國 家族文化의 階級別 特性에 關한 經驗的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6

      80 玉先花, "現代 韓國人의 家族主義價値에 대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9

      81 배은경, "‘경제 위기’와 한국 여성 ─ 여성의 생애전망과 젠더/계급의 교차 ─" 한국여성연구소 9 (9): 39-82, 2009

      82 김혜경, "‘개인화’와 ‘위험’ ―경제위기 이후 청년층 ‘성인기 이행’의 불확실성과 여성내부의 계층화―" 한국여성연구소 12 (12): 35-72, 2012

      83 Beck, U, "Varieties of Second Modernity: the Cosmopolitan Turn in Social and Political Theory and Research" 61 (61): 409-443, 2010

      84 Ochiai, Emiko, "Unsustainable Societies: The Failure of Familialism in East Asia’s Compressed Modernity" 36 : 219-245, 2011

      85 Chang, K. S., "The Stranded Individualizer Under Compressed Modernity: South Korean Women in Individualization Without Individualism" 61 (61): 539-564, 2010

      86 Gauthier, A. H., "The State and the Family" Oxford U. P 1996

      87 Chang, K. S., "The Second Modern Condition? Compressed Modernity as Internalized Reflexive Cosmopolitization" 61 (61): 444-464, 2010

      88 Gross, N, "The Detradtionalization of Intimacy Reconsidered" 23 (23): 386-311, 2005

      89 Yang, Y., "The Chinese path to individualization" 61 (61): 489-512, 2010

      90 Kim, H. K., "Life Courses of the Young under the ‘IMF Economic Crisis’: Failure of Patrilineal Familism and Individualization of Women" 한국사회 학회 2012

      91 Suzuki, M, "Individualizing Japan: Searching for its origin in first modernity" 61 (61): 515-538, 2010

      92 Beck, U., "Individualization: Institutionalized individualism and its social and political consequences" Sage 2002

      93 Skolonick, A., "Family in Transition" Allyn and Bacon 2007

      94 Cheal, David, "Family and the State of Theory" Univ of Toronto 1991

      95 학술단체협의회, "80년대 한국 인문사회과학의 현단계와 전망" 역사비평사 1988

      96 방송통신위원회, "2011년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

      97 문소정, "1990년대 이후 한국 가족연구의 동향: 페미니즘/포스트 모던 페미니즘의 쟁점을 중심으로" 13 (13): 39-63, 2003

      98 심경미, "'비혼' 여성에 관한 연구 : 30대 중반 이후 40대 여성의 경험을 통해 본 비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41 1.78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