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음악줄넘기운동의 BDNF, TNF-α, IL-6 활성 효과 = Effects of music rope-jumping exercise on the activity of BDNF, TNF-α, IL-6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27354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 고신대학교, 2015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17.32 판사항(6)

      • DDC

        613.7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부산

      • 형태사항

        v, 46장 :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고광욱
        참고문헌: 장 33-46

      • 소장기관
        • 고신대학교 문헌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rope-jumping and treadmill-running exercises on the creation and activation of neuronal cells. In order to search for an exercise which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cognitive ability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rope-jumping and treadmill-running exercises on the creation and activation of neuronal cells. In order to search for an exercise which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cognitive ability and creating and activating neuronal cells, we analyzed and compared changes in BDNF, TNF-α and IL-6, respectively, after the acute music rope-jumping exercise and the treadmill-running exercise.

      Methods: This study involves 8 male participants in their 20s without any major phys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disorders. The 8 study participants engaged in the experiment as the rope-jumping experimental group and, after one week, as the treadmill-running experimental group.
      The rope-jumping experimental group and the treadmill-running experimental group respectively participated in a mid intensity of music rope-jumping and treadmill running exercises for 60 minutes, with the wireless heart rate meters attached to their bodie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experimental groups for four times to measure the levels of BDNF, TNF-α and IL-6: one right before the exercise, 60 minutes after the exercise.
      Th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for verification using the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fter both the acute music rope-jumping exercise and the acute treadmill running exercise, all experimental groups showed an increase in BNF and TNF-α. Also, this study found that the acute music rope-jumping exercise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with the acute treadmill running exercise in terms of changes in BDNF and TNF-α; the music rope-jumping exercise was found to lead to an greater increase in BDNF than the acute treadmill running exercise, but showed a delayed growth of TNF-α compared with its counterpart.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both the acute music rope-jumping exercise and the acute treadmill-running exercise were effective in improving BDNF and TNF-α. Especially, the acute music rope-jumping exercise displayed an greater improvement in terms of BDNF than the acute treadmill running exerci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 차례 ⅲ
      • 그림 차례 ⅳ
      • Abstract ⅴ
      • I. 서 론 1
      • II. 이론적 배경 4
      • 표 차례 ⅲ
      • 그림 차례 ⅳ
      • Abstract ⅴ
      • I. 서 론 1
      • II. 이론적 배경 4
      • III. 연구 방법 12
      • IV. 연구 결과 20
      • V. 고 찰 28
      • Ⅵ. 결 론 32
      • 참고문헌 3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Heyward, Vivian H., "체력평가와 운동처방", 한미의학, 서울: 한미의학, 2000

      2 홍두경, "당신의 건강나이는 몇 살입니까?", 보경문화사, 서울; 보경문화사, 1996

      3 김영일, "운동과 뇌신경성장인자(BDNF)에 대한 고찰", 한국사회체육학회,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2(2), 663-674, 2013

      4 최혜원, "Power Walking 프로그램이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17(1), 1-10, 2008

      5 박성태, "The Effect of Exercise Intensities on the Serum IL-2 and IL-6 Concentrations",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3:319-927, 2005

      6 노희태, 조수연, "탈진적 운동이 혈중 BDNF, IGF-1 농도 및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5, 969-978, 2011

      7 김동건, 허공숙, "음악줄넘기 운동이 중학교 여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체육과학 연구, 19(1), 11-19, 2001

      8 Chung, J. S., Ko, S. S.,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Aging Hormone, CRP, and TNF-α in the Elderly", 운동사대회, 62-62, 2012

      9 박난준, "달리기 운동이 여대생의 골밀도와 체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10 김현준,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Serotonin과 체력,에너지소모량, 운동강도의 관계", 대한비만학회, 대한비만학회지, 22(2), 107-113, 2013

      1 Heyward, Vivian H., "체력평가와 운동처방", 한미의학, 서울: 한미의학, 2000

      2 홍두경, "당신의 건강나이는 몇 살입니까?", 보경문화사, 서울; 보경문화사, 1996

      3 김영일, "운동과 뇌신경성장인자(BDNF)에 대한 고찰", 한국사회체육학회,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2(2), 663-674, 2013

      4 최혜원, "Power Walking 프로그램이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17(1), 1-10, 2008

      5 박성태, "The Effect of Exercise Intensities on the Serum IL-2 and IL-6 Concentrations",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3:319-927, 2005

      6 노희태, 조수연, "탈진적 운동이 혈중 BDNF, IGF-1 농도 및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5, 969-978, 2011

      7 김동건, 허공숙, "음악줄넘기 운동이 중학교 여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체육과학 연구, 19(1), 11-19, 2001

      8 Chung, J. S., Ko, S. S.,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Aging Hormone, CRP, and TNF-α in the Elderly", 운동사대회, 62-62, 2012

      9 박난준, "달리기 운동이 여대생의 골밀도와 체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10 김현준,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Serotonin과 체력,에너지소모량, 운동강도의 관계", 대한비만학회, 대한비만학회지, 22(2), 107-113, 2013

      11 강태길, "여고생의 음악줄넘기 운동이 체육수업에 대한 태도와 내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2 장명숙, "음악줄넘기 운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기초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원 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4

      13 강현식, 한태경, 이혜실, "일회성 걷기 운동이 비만 중년여성들의 인슐린 저항성과 IL-6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52(4), 513-521, 2013

      14 김철형, "The Effects of an Acute Bout of Integrated Functional Taekwondo Program on BDNF, IGF-1 and NGF. 박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2

      15 곽이섭, 전재영, "복합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인슐린저항성 지표와 C-반응단백, 아디포넥틴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생명과학회지, 17(10), 1419-1425, 2007

      16 강성규, "걷기운동과 제자리 걷기 운동이 비만아동의 혈중지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1

      17 이희혁, 정일규, 신말순, 서진희, 김종오, 김성은, 김보균, 고일규, 김창주, 윤진환, "트레드밀 운동이 외상성 뇌손상 흰쥐 해마에서 신경세포생성 및 BDNF 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운동과학, 17(3), 363-372, 2008

      18 박현정, 황명자, 이청무, "자연과학분야: 규칙적인 한국무용 활동이 여성 노인의 혈중 BDNF 와 코티졸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 한국무용과학회지, 25, 99-109, 2011

      19 권유찬, 김은희, 박진기, 박상갑, "복합운동이 근육감소증 고령여성의 자립생활체력, IL-6, TNF-α와 경동맥 혈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5, 771-781, 2011

      20 정윤철, "스쿼시운동 참가자들의 심리적운동중독이 염증반응 및 근손상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1

      21 편미영, "교육무용과 밴드운동이 초등학생의 신체조성과 BDNF 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대학원, 2010

      22 이희혁, 성윤희, 김승희, 정일규, 신말순, 김보균, 고일규, 김창주, 윤진환, "운동강도가 ICV STZ 투여로 유발된 기억력 손상희쥐에서 해마 신경세포생성과 BDNF 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운동과학, 18, 475-488, 2009

      23 최문정, "공기압을 이용한 통합기능체력운동이 지적장애아동의 체력 및 지적수준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4 양태길, "아동의 신체활동과 비만요인이 뇌세포생성인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경남대학교 대학원", 경남, 2011

      25 이하영, "Diacylglycerol 투여와 유산소 훈련이 비만인의 adipocytokines 와 inflammatory marker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26 한정규, "근력운동프로그램이 카테콜라민, 성장호르몬 및 테스토스테론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대학원", 서울, 2004

      27 서태범, 최연주, 이진석, 윤성진, "심폐체력 수준에 따른 스프린트 인터벌 에르고미터 운동이 혈중 IL-10, IL-6, TNT-α, CRP 및 총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0, 813-822, 2012

      28 이창준, "저항운동이 남자고교생의 학년별 건강관련체력‧성장호르몬 ‧골밀도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부산,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