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는 지식정보화시대를 이루며 문화의 경쟁시대로 발전하고 있다. 급변하는 시대적 변화 속에서 우리 문화의 정통성을 지켜내는 것은 미술교육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문화란 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930717
광주 :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미술교육전공 , 2010. 2
2010
한국어
707 판사항(22)
광주
ⅴ, 88 p. : 삽도 ; 26 cm.
전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구용
참고문헌 : p. 77-7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21세기는 지식정보화시대를 이루며 문화의 경쟁시대로 발전하고 있다. 급변하는 시대적 변화 속에서 우리 문화의 정통성을 지켜내는 것은 미술교육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문화란 사...
21세기는 지식정보화시대를 이루며 문화의 경쟁시대로 발전하고 있다. 급변하는 시대적 변화 속에서 우리 문화의 정통성을 지켜내는 것은 미술교육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문화란 사람들이 생활하면서 이룩한 모든 것을 통칭해서 이르는 말이다. 문화는 그 사회 전반에 걸쳐 총체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그것을 함께 공유하고 있는 사회 구성원들 공통의 삶에 양식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문화의 힘은 전통에서 나온다고 할 수 있다. 전통문화는 조상들의 정서, 가치관, 종교관, 사상들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자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 없이 우리 문화의 발전은 이루어지기 힘들다. 창조, 계승의 노력은 문화경쟁력을 기른다 할 수 있지만, 현재 우리의 교육은 무분별하게 받아들이는 서구 문화의 수용과 전통 문화에 대한 무관심으로 정체성의 상실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전통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는데 좋은 대안이 될 것이다. 결국 우리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알고 자긍심을 느끼며 더불어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서로의 차이를 인정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 전통미술교육의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이해, 표현, 감상의 통합과 순환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 아트 프로펠 프로젝트 학습법을 도입하여 효과적인 전통미술교육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트 프로펠은 창작에만 국한하지 않고 작품이 만들어진 문화적인 배경까지 포함하며, 분석과 토론도 병행해야 한다는 현대 예술교육의 흐름에 가장 적합하다. 이에 아동들의 문제해결 능력과 협동학습, 작품에 대한 이해와 반성을 키우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다양한 전통미술 중, 조선시대 생활상을 보여주는 풍속화를 아트 프로펠 프로젝트에 적용하였다. 풍속화는 우리나라 미술사에서 역사적 사실성을 찾아볼 수 있는 장르로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를 가질 수 있으며, 해학과 선조들의 재치가 담겨 있어 학생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접근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 7차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아트 프로펠의 이해, 표현, 감상하기 프로젝트 교수 - 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 지도안을 통한 전통미술교육의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풍속화교육의 새로운 방법으로 우리 전통미술의 우수성을 인식하고 자긍심을 갖도록 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둘째, 풍속화 이해와 감상 교육으로 전통미술을 감상할 수 있는 안목을 높이고 미적 감수성을 함양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이해, 표현, 감상을 통합적이고 단계적으로 지도하므로 창의적이고 비판적 사고를 키울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아트 프로펠 프로젝트 수업법을 활용한 전통미술교육으로 아동들 스스로가 학습에 참여하도록 하는 자발성을 기르고, 문제해결 능력과 협동학습 활동을 기를 수 있다.
전통미술교육의 강화는 아동들에게 민족 정체성을 확립시키고 문화인으로서 자질을 갖추는데 중요하다. 또한 다른 나라 문화를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독창적인 새 문화를 창조하고 발전해 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앞으로 우리 전통미술에 대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하며, 이 연구 지도안이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