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 기술이전 체계 개선방안 : 경북대학교를 중심으로 = Analysis and Improvement Technology Licensing Systems in the University : Focusing 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71645

      • 저자
      • 발행사항

        대구 :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 기술정책전공 , 2010. 8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대구

      • 형태사항

        vi, 44 p.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p. 44

      • 소장기관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ase of technology licensing transfer, such as patents and/or intellectual rights, from universities to industries has recently increased every year, but it hasn't been actively done yet except a few case in some universities. So far, it has been done only recently for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to enforce the policies of technology licensing, and moreover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have enforced many different sorts of policie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officers in charge of technology licensing to facilitate in universities on doing their projects, since there are not enough practical case-oriented analyses data of the universities' technology licensing projects.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some useful practical information to policy makers and hands-on staffs in charge of technology licensing projects in universities. So, various data related to technology licensing systems, such a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labor forces in the related office, and their activities for 3 years (2006~2008) of other universities in Korea and those of th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s the major source are reviewed, and some ideas are suggested how to improve their activities
      effectively.
      번역하기

      The case of technology licensing transfer, such as patents and/or intellectual rights, from universities to industries has recently increased every year, but it hasn't been actively done yet except a few case in some universities. So far, it has been ...

      The case of technology licensing transfer, such as patents and/or intellectual rights, from universities to industries has recently increased every year, but it hasn't been actively done yet except a few case in some universities. So far, it has been done only recently for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to enforce the policies of technology licensing, and moreover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have enforced many different sorts of policie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officers in charge of technology licensing to facilitate in universities on doing their projects, since there are not enough practical case-oriented analyses data of the universities' technology licensing projects.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some useful practical information to policy makers and hands-on staffs in charge of technology licensing projects in universities. So, various data related to technology licensing systems, such a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labor forces in the related office, and their activities for 3 years (2006~2008) of other universities in Korea and those of th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s the major source are reviewed, and some ideas are suggested how to improve their activities
      effective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학의 지적재산인 신기술이나 특허 등이 산업체로 이전(이하 “기술이전”이라 함)되는 건수는 최근 들어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일부 대학을 제외하고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기술이전에 관한 정부와 대학 자체의 정책이 시행된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그 동안 정부와 대학은 기술이전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으나, 이에 관한 사례 중심의 실증적 분석이 충분치 않아서 업무 담당자들이 기술이전을 촉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학에서 기술이전 업무를 담당하는 정책입안자와 실무자들에게 실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기술이전과 관련된 3년 동안(2006~2008)의 각종 자료들을 재정리하여 경북대학교를 중심으로 기술이전 전담부서의 조직 구조 및 인력, 제도에 대한 실증적 비교 􍾳 분석을 통하여 기술이전 체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대학의 지적재산인 신기술이나 특허 등이 산업체로 이전(이하 “기술이전”이라 함)되는 건수는 최근 들어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일부 대학을 제외하고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

      대학의 지적재산인 신기술이나 특허 등이 산업체로 이전(이하 “기술이전”이라 함)되는 건수는 최근 들어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일부 대학을 제외하고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기술이전에 관한 정부와 대학 자체의 정책이 시행된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그 동안 정부와 대학은 기술이전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으나, 이에 관한 사례 중심의 실증적 분석이 충분치 않아서 업무 담당자들이 기술이전을 촉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학에서 기술이전 업무를 담당하는 정책입안자와 실무자들에게 실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기술이전과 관련된 3년 동안(2006~2008)의 각종 자료들을 재정리하여 경북대학교를 중심으로 기술이전 전담부서의 조직 구조 및 인력, 제도에 대한 실증적 비교 􍾳 분석을 통하여 기술이전 체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Ⅰ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목적1
      •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제 Ⅱ 장 기술이전에 관한 이론적 고찰 4
      • 제 1 절 기술이전의 정의 및 유형 4
      • 제 Ⅰ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목적1
      •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제 Ⅱ 장 기술이전에 관한 이론적 고찰 4
      • 제 1 절 기술이전의 정의 및 유형 4
      • 1. 기술이전의 정의 4
      • 2. 기술이전의 유형 6
      • 제 2 절 기술이전의 추진방식 및 마케팅 8
      • 1. 기술이전의 추진방식 8
      • 2. 기술이전 마케팅 8
      • 제 3 절 대학 기술이전의 특징 10
      • 제 Ⅲ 장 대학의 기술이전 관리 현황 12
      • 1 절 기술이전 전담부서 현황 12
      • 1. 기술이전 전담부서 설치 현황 12
      • 2. 기술이전 전담부서 인원 현황 13
      • 제 2 절 기술이전을 위한 지식재산 현황 18
      • 1. 지식재산 보유 현황 18
      • 2. 특허 출원 및 등록 현황 20
      • 제 3 절 기술이전 실적 현황 24
      • 1. 연도별 국내 대학 기술이전 건수 및 수입액 현황 24
      • 2. 연도별 국내 대학 및 상위 15개 대학 기술이전 실적 평균 현황 25
      • 제 Ⅳ 장 경북대학교 기술이전 관리 현황 및 체계 개선방안 27
      • 제 1 절 경북대학교 기술이전 관리 현황 27
      • 1. 기술이전 전담부서 현황 27
      • 2. 지식재산 관리 현황 29
      • 3. 기술이전 건수 및 수입액 현황 32
      • 제 2 절 경북대학교 기술이전 체계 개선방안 34
      • 1. 문제점 34
      • 2. 개선방안 37
      • 제 Ⅴ 장 결 론 41
      • 참 고 문 헌 4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