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804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Korean government is planning to host the Seoul-Pyongyang Olympic Games on the strength of the successful hosting of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nd Winter Paralympics. In this situation, thinking about how to manage the records produced in the Olympic Games which requires tremendous budgets and human resources and have great influence such as an increase of the brand value of the host region and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is important.
      Records produced by the organizing committee of the Olympic Games held in Korea are transferred to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which plays a role as both the central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 and permanent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 So far, transferring the records of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to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 only permanent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 in Korea, did not cause any problem. However, the establishment of local archives management agencies in Seoul and Gyungsangnam-Do posed the following question: should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have competence over records of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The following possible problems may be caused when the permanent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 that has competence over records of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is transferred to and is managed under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First, the value of the local records of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records will be undermined. Second, because of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in Daejeon and exorbitant concentration of records, utilization of the records will be difficult. Lastly, the fragmentation of records produced by the Olympic Games may be caused because of the divisional management caused by the emergence of local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s.
      This study, therefore, proposed to transfer the records by designating a responsible permanent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 like a local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 to solve the ongoing problem in records management of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Through this change, records from the Olympic Games including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will be comprehensibly managed and the local governments will be empowered by realizing archival autonomy. In addition, by letting local archives management agencies manage the records of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the expansion of utilization service can be facilitated by linking to records under the jurisdiction and using geographical closeness to the holding area.
      To provide a ground for the previous suggestions, the legislation and standards of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and similar temporary agencies were analyzed, and related papers were compared to derive possible problems that may occur when the records are transferred to the National Archives. The current status of records management of two Olympic Games held in Korea was checked by requesting information disclosure as well. In addition, to justify the transfer of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records to the local archives management agency, research and analysis regarding the relatedness between the Olympic Games and host areas. The regionality of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records was also analyzed by examining the organization of the committee.Through the previous analyses, three reasons that support the transfer of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records to the local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 as a permanent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 in the hosting region were proposed. The transfer will solve the current problems within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records and imbue the residents of the host city a sense of solidarity and belonging. Those effects will thereby strengthen local autonomy; through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Olympic records, a better way of the utilization of the records will be able to be suggested. In addition,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the suggestion will solve the difficultie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regarding the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records that were caused by managing a tremendous amount of records.
      번역하기

      The Korean government is planning to host the Seoul-Pyongyang Olympic Games on the strength of the successful hosting of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nd Winter Paralympics. In this situation, thinking about how to manage the records produced ...

      The Korean government is planning to host the Seoul-Pyongyang Olympic Games on the strength of the successful hosting of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nd Winter Paralympics. In this situation, thinking about how to manage the records produced in the Olympic Games which requires tremendous budgets and human resources and have great influence such as an increase of the brand value of the host region and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is important.
      Records produced by the organizing committee of the Olympic Games held in Korea are transferred to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which plays a role as both the central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 and permanent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 So far, transferring the records of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to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 only permanent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 in Korea, did not cause any problem. However, the establishment of local archives management agencies in Seoul and Gyungsangnam-Do posed the following question: should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have competence over records of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The following possible problems may be caused when the permanent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 that has competence over records of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is transferred to and is managed under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First, the value of the local records of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records will be undermined. Second, because of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in Daejeon and exorbitant concentration of records, utilization of the records will be difficult. Lastly, the fragmentation of records produced by the Olympic Games may be caused because of the divisional management caused by the emergence of local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s.
      This study, therefore, proposed to transfer the records by designating a responsible permanent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 like a local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 to solve the ongoing problem in records management of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Through this change, records from the Olympic Games including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will be comprehensibly managed and the local governments will be empowered by realizing archival autonomy. In addition, by letting local archives management agencies manage the records of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the expansion of utilization service can be facilitated by linking to records under the jurisdiction and using geographical closeness to the holding area.
      To provide a ground for the previous suggestions, the legislation and standards of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and similar temporary agencies were analyzed, and related papers were compared to derive possible problems that may occur when the records are transferred to the National Archives. The current status of records management of two Olympic Games held in Korea was checked by requesting information disclosure as well. In addition, to justify the transfer of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records to the local archives management agency, research and analysis regarding the relatedness between the Olympic Games and host areas. The regionality of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records was also analyzed by examining the organization of the committee.Through the previous analyses, three reasons that support the transfer of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records to the local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 as a permanent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 in the hosting region were proposed. The transfer will solve the current problems within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records and imbue the residents of the host city a sense of solidarity and belonging. Those effects will thereby strengthen local autonomy; through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Olympic records, a better way of the utilization of the records will be able to be suggested. In addition,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the suggestion will solve the difficultie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regarding the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records that were caused by managing a tremendous amount of recor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정부에서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의 성공적인 개최에 힘입어 서울·평양올림픽을 추진 중이다. 막대한 예산과 인력이 필요 되며, 개최지역의 브랜드 가치 상승, 인프라 구축 등 막대한 영향력을 미치는 올림픽에서 생산된 기록물, 특히 올림픽의 개최를 진두지휘하는 올림픽 조직위원회의 기록물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가는 중요한 문제이다.
      국내에서 개최된 올림픽의 조직위원회가 생산한 기록물들은 중앙기록물관리기관과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역할을 같이하는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되어 관리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국내에서 유일한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인 국가기록원으로 올림픽 조직위원회의 기록물을 이관하는 것이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이 서울과 경남에 설립됨에 따라 올림픽 조직위원회의 기록물을 국가기록원이 관할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의 관할 영구기록물기관이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되어 관리되었을 때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이 가지고 있는 지방기록으로서의 가치가 훼손된다. 둘째, 대전에 있는 국가기록원의 지리적 특성과 과도한 기록물 집중화로 인하여 기록물 활용이 쉽지 않다. 마지막으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등장으로 올림픽 기록물이 분할관리에 따른 파편화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올림픽 조직위원회의 기록물관리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관할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을 지방기록물관리기관으로 지정하여 기록물을 이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런 변화를 통하여 올림픽 조직위원회를 포함한 올림픽 기록물의 통합적인 관리를 실현할 수 있으며, 기록자치를 실현하여 지방자치의 강화를 모색할 수 있다. 더불어,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이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을 관리함으로 관할 기록물과 연계와 개최지역과 가까운 지리적인 위치를 이용한 활용서비스의 확대를 모색할 수 있다.
      앞선 제안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올림픽 조직위원회와 유사 한시기관의 법령과 표준을 분석하고 관련 논문을 비교하여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되었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국내에서 개최된 두 차례의 올림픽의 기록물관리 현황을 정보공개를 청구하여 확인하였다. 더불어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을 개최지역으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으로 이관하는 방안의 당위성을 위하여 올림픽과 개최지역의 상관성에 대한 올림픽 조직위원회의 조직구성과 논문을 분석하여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이 로컬리티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올림픽조직위원회 기록물이 가지고 있는 로컬리티, 활용의 어려움, 기록물 파편화의 위험성 등 현행체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의 관할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을 지방기록물관리기관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방안을 통해 현행 체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지방기록물관리기관으로 이관을 통하여 개최도시의 주민들이 연대감, 소속감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방자치를 강화할 수 있으며, 올림픽 기록물의 통합관리를 통하여 보다 수준 높은 활용의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국가기록원 역시 막대한 양의 기록물을 관리함으로써 발생하였던 기록물의 활용 및 관리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제안이라고 생각한다.
      번역하기

      정부에서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의 성공적인 개최에 힘입어 서울·평양올림픽을 추진 중이다. 막대한 예산과 인력이 필요 되며, 개최지역의 브랜드 가치 상승, 인프...

      정부에서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의 성공적인 개최에 힘입어 서울·평양올림픽을 추진 중이다. 막대한 예산과 인력이 필요 되며, 개최지역의 브랜드 가치 상승, 인프라 구축 등 막대한 영향력을 미치는 올림픽에서 생산된 기록물, 특히 올림픽의 개최를 진두지휘하는 올림픽 조직위원회의 기록물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가는 중요한 문제이다.
      국내에서 개최된 올림픽의 조직위원회가 생산한 기록물들은 중앙기록물관리기관과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역할을 같이하는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되어 관리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국내에서 유일한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인 국가기록원으로 올림픽 조직위원회의 기록물을 이관하는 것이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이 서울과 경남에 설립됨에 따라 올림픽 조직위원회의 기록물을 국가기록원이 관할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의 관할 영구기록물기관이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되어 관리되었을 때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이 가지고 있는 지방기록으로서의 가치가 훼손된다. 둘째, 대전에 있는 국가기록원의 지리적 특성과 과도한 기록물 집중화로 인하여 기록물 활용이 쉽지 않다. 마지막으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등장으로 올림픽 기록물이 분할관리에 따른 파편화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올림픽 조직위원회의 기록물관리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관할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을 지방기록물관리기관으로 지정하여 기록물을 이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런 변화를 통하여 올림픽 조직위원회를 포함한 올림픽 기록물의 통합적인 관리를 실현할 수 있으며, 기록자치를 실현하여 지방자치의 강화를 모색할 수 있다. 더불어,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이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을 관리함으로 관할 기록물과 연계와 개최지역과 가까운 지리적인 위치를 이용한 활용서비스의 확대를 모색할 수 있다.
      앞선 제안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올림픽 조직위원회와 유사 한시기관의 법령과 표준을 분석하고 관련 논문을 비교하여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되었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국내에서 개최된 두 차례의 올림픽의 기록물관리 현황을 정보공개를 청구하여 확인하였다. 더불어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을 개최지역으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으로 이관하는 방안의 당위성을 위하여 올림픽과 개최지역의 상관성에 대한 올림픽 조직위원회의 조직구성과 논문을 분석하여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이 로컬리티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올림픽조직위원회 기록물이 가지고 있는 로컬리티, 활용의 어려움, 기록물 파편화의 위험성 등 현행체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의 관할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을 지방기록물관리기관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방안을 통해 현행 체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지방기록물관리기관으로 이관을 통하여 개최도시의 주민들이 연대감, 소속감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방자치를 강화할 수 있으며, 올림픽 기록물의 통합관리를 통하여 보다 수준 높은 활용의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국가기록원 역시 막대한 양의 기록물을 관리함으로써 발생하였던 기록물의 활용 및 관리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제안이라고 생각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제2절 선행연구 검토 7
      • 제3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1
      • 제2장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관리 환경분석 13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제2절 선행연구 검토 7
      • 제3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1
      • 제2장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관리 환경분석 13
      • 제1절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의 이해 13
      • 1. 올림픽 기록물의 분류 13
      • 2. 국내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관리의 역사 16
      • 제2절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 관리 근거 24
      • 1.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관리 법률분석 24
      • 2.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관리 표준분석 28
      • 3. 유사기관 기록물관리 분석 32
      • 제3장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관리 방안 38
      • 제1절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관리 현황 38
      • 1.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기록물관리 현황분석 38
      • 2. 평창동계올림픽대회및패럴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관리 현황분석 43
      • 제2절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관리 개선방안 51
      • 1.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의 지역정체성 51
      • 2.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 관할 영구관리기록물관리기관 지정방안 64
      • 제4장 올림픽 조직위원회 기록물의 활용방안 76
      • 제1절 올림픽 통합기록물 활용방안 76
      • 1.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를 이용한 기록물 수집 및 활용방안 76
      • 2. 올림픽 기념관의 상설전시 82
      • 3. 교육 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 83
      • 제5장 결론 85
      • 참고문헌 88
      • abstract 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