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일·북한학 분야에서 고등학교 도덕과 교과 지식의 현황과 발전 방안 = The Present State and Development Plan on the Subject Knowledge of High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in The Area of Unification and North Korean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7374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nowledge is classified into three level knowledge of disciplinary knowledge, subject knowledge and school knowledge. The disciplinary knowledge is the knowledge of study and educationin in the area of a science to shape a subject. The subject knowled...

      Knowledge is classified into three level knowledge of disciplinary knowledge, subject knowledge and school knowledge. The disciplinary knowledge is the knowledge of study and educationin in the area of a science to shape a subject. The subject knowledge is knowledge, skill, value and attitude to necessarily teach and learn in a subject. The school knowledge is the contents to teach and learn as regular subject school. The subject knowledge is constructed on disciplinary knowledge in the case of founding on deepening a science.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 knowledge is constructed on the consensus of the subject community in the case of founding on the demand of nation and society. The moral subject has had more problems owing to being designed according to the way of the latter. The subject knowledge has not reflected the change of disciplinary knowledge. It has not met the demand of learners. It is useful to know the change of subject knowledge in the moral subject in order to investigate such problems. It is possible to know the change of subject knowledge through studying the change of contents in the curriculum of moral subject. And it is possible to know the change of subject knowledge through exploring the change of contents in the text book. This paper has the goal to grasp the change of subject knowledge and grope for a reform measure in the area of North Korea/Unification Education. The first task in order to attain this goal is to examine the change of contents in the area of North Korea/Unifica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curriculum. The second task is to explore the change of contents in the text book according to the change of curriculum. This study set limits to the analysis of high school textbook in the area of morla subject.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is paper groped for the development plan on the subject knowledge in the area of North Korea/Unification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돈희, "학교 통일교육 자료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6

      2 김형기, "통일코리아를 바라보다" 2008

      3 오기성, "통일사회로의 발돋움 그 성공을 위하여" 양서원 2007

      4 조민, "통일문화와 민족공동체" 민족통일연구원 2 (2): 1993

      5 통일교육원, "통일교육지침서 일반용" 통일부 2010

      6 "통일교육지원법, 2009.10.19.(개정)"

      7 한만길, "통일교육의 이론과 실천" 교육과학사 2001

      8 문용린, "통일교육의 새로운 전개 방향" 한국교육개발원 1988

      9 박찬석, "통일교육론" 백의 2000

      10 이경원, "윤리학과 도덕교육." 인간사랑 2000

      1 이돈희, "학교 통일교육 자료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6

      2 김형기, "통일코리아를 바라보다" 2008

      3 오기성, "통일사회로의 발돋움 그 성공을 위하여" 양서원 2007

      4 조민, "통일문화와 민족공동체" 민족통일연구원 2 (2): 1993

      5 통일교육원, "통일교육지침서 일반용" 통일부 2010

      6 "통일교육지원법, 2009.10.19.(개정)"

      7 한만길, "통일교육의 이론과 실천" 교육과학사 2001

      8 문용린, "통일교육의 새로운 전개 방향" 한국교육개발원 1988

      9 박찬석, "통일교육론" 백의 2000

      10 이경원, "윤리학과 도덕교육." 인간사랑 2000

      11 김기석, "새로운 윤리" 수문각 출판사 1953

      12 서강식, "도덕과 교육원론" 인간사랑 2008

      1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도덕과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14 서울대학교 시범대학 국정도서 편찬 위원회, "도덕" (주)지학사 출판사 2009

      15 이범웅, "넥스트" 인간사랑 2007

      16 유영옥, "남북교육론" 학문사 2002

      17 문교부, "국민윤리"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75

      18 서울대학교 국민윤리 1종 도서 연구 개발 위원회, "국민윤리"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94

      19 한국교육개발원, "국민윤리"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84

      20 한국교육개발원, "국민윤리"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79

      2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과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교과 지식의 재구조화 방안 연구에 대한 연구 계획서" 2010

      22 문교부, "고등 도덕 Ⅱ"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59

      23 통일교육원, "2009 통일교육지침서(학교용)" 통일 교육원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2-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KCI등재
      2014-02-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Ethics Studies -> Journal of Ethic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12-2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국민윤리학회 -> 한국윤리학회 KCI등재
      2006-12-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민윤리연구 -> 윤리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Ethics Studie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578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