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 괴롭힘 경험에 따라 공격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또래 괴롭힘 경험과 공격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또래 괴롭힘 경험이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414498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상담심리전공 , 2014. 2
2014
한국어
371.4 판사항(22)
충청북도
xi, 104 p.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김희정
참고문헌 : p.p. 77-8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 괴롭힘 경험에 따라 공격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또래 괴롭힘 경험과 공격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또래 괴롭힘 경험이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 괴롭힘 경험에 따라 공격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또래 괴롭힘 경험과 공격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또래 괴롭힘 경험이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적대적 귀인과 공격행동에 대한 규범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또래 괴롭힘 경험 유형에 따라 전체 공격성 및 공격성 하위 유형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또래 괴롭힘 경험, 공격성, 적대적 귀인, 공격행동에 대한 규범적 신념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또래 괴롭힘 경험과 공격성 관계에서 적대적 귀인, 공격행동에 대한 규범적 신념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 소재 5개 중학교 1~3학년 학생 94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또래 괴롭힘 가해 경험 및 피해 경험, 공격성, 적대적 인지, 공격행동에 대한 규범적 신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후 또래 괴롭힘 경험 정도를 기준으로 전체 대상자의 평균보다 1표준편차 이상 높은 학생들로 집단을 분류하였다. 가해 집단은 가해 경험만 높은 경우로 96명, 피해 집단은 피해 경험만 높은 경우로 62명, 가해-피해 중복 집단은 둘 다 높은 경우로 71명을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 Sobel 검증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해 집단과 가해-피해 중복 집단은 전체 공격성과 반응-외현공격성에서 동질집단, 피해 집단은 이질집단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반응-관계 공격성, 주도-외현 공격성, 주도-관계 공격성에서 가해 집단과 피해 집단은 동질 집단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94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했을 때, 가해 경험과 피해 경험 각각은 적대적 귀인을 부분 매개로 공격성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가해 집단, 피해 집단, 가해-피해 집단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경우, 적대적 귀인은 주요 변인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 94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했을 때, 가해 경험과 피해 경험 각각은 규범적 신념을 부분 매개로 공격성에 영향을 미쳤다. 또래 괴롭힘 집단 유형인 가해 집단, 피해 집단, 가해-피해 중복 집단으로 분류하여 규범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가해 집단의 가해 경험과 공격성 사이에서 규범적 신념은 완전매개효과가 있었으며, 가해-피해 중복 집단에서는 규범적 신념이 피해 경험과 공격성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다.
따라서 공격성 하위 유형에서 가해 집단과 피해 집단이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학교 상황에서 상담시 좀 더 세밀한 관찰이 필요하다. 또한 또래 괴롭힘 경험 유형과 공격성에서 규범적 신념이 매개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담시 공격성을 낮추기 위한 인지적 접근이 필요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