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소득과 자산의 양극화 및 격차 실태와 정책적 함의 = Polarization and Gaps in Income and Assets: Policy Implic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112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주택가격 상승 등으로 부동산 정책이 주요한 사회정책으로 대두되고 국민들의 자산 격차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소득의 관점에서 바라보았던 양극화 현상...

      최근 주택가격 상승 등으로 부동산 정책이 주요한 사회정책으로 대두되고 국민들의 자산 격차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소득의 관점에서 바라보았던 양극화 현상을 자산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소득 양극화 분석 틀을 토대로 자산 양극화 현상에 대해 분석하는 한편 분배 및 격차 현황 등도 함께 들여다보았다. 분석 결과 소득 양극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완화되는 모습을 나타냈는데 특히 가처분소득에서는 크게 완화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물론 시장소득 격차는 여전히 나타나고 있으므로 소득 관점에서는 양극화보다는 격차에 좀 더 초점을 두고 살펴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자산의 관점에서는 자산 지니계수, 자산 5분위 배율 등의 지표들이 소득과 달리 총자산, 순자산 모두에서 최근 몇 년간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분위별 자산구성비를 통해 자산 양극화 및 격차 발생 구조를 파악해 보았으며, 이에 대한 정책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real estate policy has emerged as a major social policy due to the recent rise in housing prices and the general public's interest in the wealth gap is increasing, this study examines the polarization phenomenon, which had previously been observed ...

      As real estate policy has emerged as a major social policy due to the recent rise in housing prices and the general public's interest in the wealth gap is increasing, this study examines the polarization phenomenon, which had previously been observed mostly in terms of income, from the perspective of assets. Since it is difficult to define what asset polarization is, we attempted to analyze the phenomenon of asset polarization based on the framework of analyzing income polarization, and also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distribution and disparity. Our analysis of the indicators showed that income polarization has decreased over time, especially in disposable income. To be sure, the disparities that still remain in market income require further examination from an income perspective that focuses more on gaps than on polarization. In contrast to income, indicators such as the asset Gini coefficient and the asset quintile ratio have increased in recent years in both total and net assets. We attempted to better understand the structure of asset polarization and gap using the asset composition ratio by quintile and drew some policy implication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