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관찰기록척도(K-COR-Ⅱ) 타당화 연구 = A Study for Validation of the Preschool Child Observation Record (COR) for Korean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571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Preschool Child Observation Record-Ⅱdeveloped by High/Scope for Korean preschool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255 children aged three to six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and their head teachers. Theywere observed for at least two months and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ChildObservation Record-Ⅱ(K-COR-II). K-COR-II consisted of six categories and 32 itemswhich had five-level-rubrics. The results from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dentifiedone dimension of the scale, there was no evidence of discriminant validity even after facevalidity was examined. The concurren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of the revisedscale were relatively high. Also, the mea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roups withregard to item discrimin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t was concluded thatK-COR-II can be used a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to various aspects of preschoolchildren's develop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Preschool Child Observation Record-Ⅱdeveloped by High/Scope for Korean preschool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255 children aged three to six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and their head teachers. 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Preschool Child Observation Record-Ⅱdeveloped by High/Scope for Korean preschool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255 children aged three to six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and their head teachers. Theywere observed for at least two months and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ChildObservation Record-Ⅱ(K-COR-II). K-COR-II consisted of six categories and 32 itemswhich had five-level-rubrics. The results from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dentifiedone dimension of the scale, there was no evidence of discriminant validity even after facevalidity was examined. The concurren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of the revisedscale were relatively high. Also, the mea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roups withregard to item discrimin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t was concluded thatK-COR-II can be used a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to various aspects of preschoolchildren's develop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범선화, "중학교 가정교과 수행평가를 위한 루브릭(rubric) 개발 -실험·실습법에 적용-"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 (20): 85-105, 2008

      2 김경철, "유치원 기관평가의 이해와 실무: 유치원 평가 A 부터 Z까지" 학지사 2009

      3 황해익, "유아교육평가의 이해" 정민사 2009

      4 Wortham, S. C., "유아교육과 평가" 정민사 2010

      5 위영희, "유아교육개론" 오래출판사 2011

      6 신은미,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유아 주도성의 의미"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465-492, 2011

      7 한국어린이육영회, "유아관찰척도" 한국어린이육영회 1997

      8 변윤희, "유아 창의성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연구: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271-301, 2005

      9 제주도교육청, "영유아 언어 인지 사회 정서 발달 평가 도구" 제주도교육청 2008

      10 이은해, "아동발달의 평가 및 측정" 교문사 1995

      1 범선화, "중학교 가정교과 수행평가를 위한 루브릭(rubric) 개발 -실험·실습법에 적용-"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 (20): 85-105, 2008

      2 김경철, "유치원 기관평가의 이해와 실무: 유치원 평가 A 부터 Z까지" 학지사 2009

      3 황해익, "유아교육평가의 이해" 정민사 2009

      4 Wortham, S. C., "유아교육과 평가" 정민사 2010

      5 위영희, "유아교육개론" 오래출판사 2011

      6 신은미,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유아 주도성의 의미"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465-492, 2011

      7 한국어린이육영회, "유아관찰척도" 한국어린이육영회 1997

      8 변윤희, "유아 창의성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연구: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271-301, 2005

      9 제주도교육청, "영유아 언어 인지 사회 정서 발달 평가 도구" 제주도교육청 2008

      10 이은해, "아동발달의 평가 및 측정" 교문사 1995

      11 조성연,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신정 2008

      12 김용석, "사회복지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척도의 개발과 평가"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1 (11): 127-160, 2009

      13 안은숙, "복지보육과 연계한 지역사회 서비스개발을 위한 욕구도 조사" 2 (2): 17-40, 2006

      14 한국보육진흥원, "보육교사 전문성 제고를 위한 표준보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한국보육진흥원 2010

      15 김선영, "보 육" 한국아동학회 30 (30): 267-279, 2009

      16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의 개념과 이해" 한나래 2012

      17 이미화, "「5세 누리과정」운영에 따른 유아평가 연구: 평가척도 개발" 육아정책연구소 2012

      18 Goodrich-Andrade, H., "Using rubrics to promote thinking and learning" 57 (57): 13-18, 2000

      19 Goodrich, H., "Understanding rubrics" 54 (54): 14-17, 1996

      20 Goodrich-Andrade, H.,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rubrics on learning to write" 4 (4): 2001

      21 High/Scope Educational Research Foundation., "Preschool Child Observation Record (COR) kit" High/Scope Press 1992

      22 High/Scope Educational Research Foundation., "Preschool Child Observation Record (COR) kit" High/Scope Press 2003

      23 Follari, L. M.,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Defining best practices, In Foundation and best practi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entice Hall 104-124, 2007

      24 김정미, "K-CDI 아동발달검사 표준화 연구" 한국아동학회 27 (27): 39-53, 2006

      25 Fabrigar, L. R., "Evaluating the use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psychological research" 4 (4): 272-299, 1999

      26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curriculum, assessment, and program evaluation: Building an effective, accountable system in programs for children birth through age 8"

      27 High/Scope Educational Research Foundation., "Child Development Observation (COR) information for decision makers" High/Scope Press 2005

      28 Ireton, H., "Child Development Inventory Manual" Behavior Science Systems 1992

      29 Marzano, R. J., "Assessing student outcomes: Performance assessment using the Dimensions of Learning model"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3

      30 Herman, J. L., "A practical guide to alternative assessment"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 1.7 1.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1.87 2.161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