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수학학습능력의 역동적 평가도구의 타당화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61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역동적 평가를 통하여 유아의 현재 수학능력뿐 아니라 역동적 평가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학습에 대한 잠재력을 측정함으로써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면서 개별 유아에게 ...

      본 연구는 역동적 평가를 통하여 유아의 현재 수학능력뿐 아니라 역동적 평가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학습에 대한 잠재력을 측정함으로써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면서 개별 유아에게 적절한 교육방법이나 내용 선정에 도움을 주는 양적, 질적 교수-학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아수학학습능력의 역동적 평가도구를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본 유아수학학습잠재력의 역동적 평가도구의 문항 양호도(문항 통과율, 문항변별도)와 검사 양호도(신뢰도, 타당도)를 알아본 결과 유아의 수학학습 능력 및 잠재력을 측정하는 역동적 평가도구로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수학학습능력의 역동적 평가 과정에서 나타난 연령 간 발달경향을 알아본 결과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 교수효과를 살펴본 결과 역동적 평가과정의 교수단계인 훈련검사와 전이검사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단서를 제공받은 집단의 유아들의 수학능력이 유의미하게 증가함으로써 교수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nd develop a dynamic assessment tool for the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of preschoolers by applying tasks about four areas of mathematics including number counting, pattern, geometry and measurement in a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nd develop a dynamic assessment tool for the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of preschoolers by applying tasks about four areas of mathematics including number counting, pattern, geometry and measurement in an effort to evaluate the current mathematical ability and learning potentiality of preschoolers.
      The selected research tasks were as follows: First, examine the item adequacy of the dynamic assessment tool for pre-school children’s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developed in this study. Second, investigate the test adequacy of the dynamic preschool assessment tool for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Third, validate the dynamic preschool assessment tool for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The final draft consisted of three segments: pretest/posttest with 26 items, training test with 13 and transfer test with 13. When the assessment tool was checked in terms of item adequacy and test adequacy, it was turned out to be one of appropriate dynamic assessment too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제언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혜진, "패턴과제를 이용한유아수학 학습잠재력 평가도구개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451-477, 2007

      2 최혜진,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패턴인식능력에 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223-240, 2007

      3 고은미, "유아측정능력에 대한 역동적평가도구 개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265-288, 2008

      4 양승희, "유아의 측정능력과 수학적 개념 및 문제해결 능력의 관계에 관한 연구" 5 (5): 103-122, 2001

      5 황해익, "유아의 수학학습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 도구 개발" 한국교육평가학회 21 (21): 201-226, 2008

      6 황해익, "유아의 수학적 태도 및 능력 수준에 따른 수학학습능력의 역동적 평가과정에서의 차이"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141-158, 2011

      7 송연숙, "유아의 수세기 지식과 산수 문장제 해결 능력 및 전략에 대한 연구" 9 : 111-132, 1999

      8 황해익, "유아의 기하학습잠재력 측정을 위한 역동적 평가도구 개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1 (11): 137-160, 2007

      9 최혜진, "유아수학학습능력의 역동적 평가 결과의 활용방안 모색: 개별유아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5-31, 2006

      10 나귀옥, "유아수학교육에 있어서 수학적 과정에 대한 연구" 12 : 21-41, 2004

      1 최혜진, "패턴과제를 이용한유아수학 학습잠재력 평가도구개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451-477, 2007

      2 최혜진,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패턴인식능력에 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223-240, 2007

      3 고은미, "유아측정능력에 대한 역동적평가도구 개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265-288, 2008

      4 양승희, "유아의 측정능력과 수학적 개념 및 문제해결 능력의 관계에 관한 연구" 5 (5): 103-122, 2001

      5 황해익, "유아의 수학학습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 도구 개발" 한국교육평가학회 21 (21): 201-226, 2008

      6 황해익, "유아의 수학적 태도 및 능력 수준에 따른 수학학습능력의 역동적 평가과정에서의 차이"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141-158, 2011

      7 송연숙, "유아의 수세기 지식과 산수 문장제 해결 능력 및 전략에 대한 연구" 9 : 111-132, 1999

      8 황해익, "유아의 기하학습잠재력 측정을 위한 역동적 평가도구 개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1 (11): 137-160, 2007

      9 최혜진, "유아수학학습능력의 역동적 평가 결과의 활용방안 모색: 개별유아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5-31, 2006

      10 나귀옥, "유아수학교육에 있어서 수학적 과정에 대한 연구" 12 : 21-41, 2004

      11 권영례, "유아수학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2003

      12 황해익, "유아그림수학능력검사" 양서원 2007

      13 황해익, "유아교육평가의 이해" 정민사 2009

      14 황해익, "유아 수학학습능력의 역동적 평가에 대한 교수효과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217-236, 2008

      15 홍혜경, "유아 수학능력검사 도구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377-400, 2006

      16 홍혜경, "유아 수학능력 발달과 교육" 양서원 2004

      17 백순근, "역동적 평가를 활용한 수업이 유아의 수개념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145-162, 2004

      18 최진승, "역동적 평가를 통한 유아의 근접 발달대와 학습 잠재력에 관한 연구" 11 (11): 21-47, 1998

      19 김윤숙, "역동적 평가를 통한 실제적 지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205-222, 2009

      20 유순정, "역동적 평가가 유아의 근접발달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21 남미경, "만 4, 5세 유아의 기하학습잠재력과 역동적 평가의 교수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119-139, 2007

      22 김정환, "ZPD 수준 판별 도구의 구안 및 타당화" 한국교육평가학회 20 (20): 75-98, 2007

      23 전윤식, "Vygotsky의 ZPD개념에 입각한 아동의 잠재능력과 교수효과성 측정" 30 (30): 151-175, 1992

      24 Feuerstein, R., "The dynamic assessment of retarded performers: The learning potential assessment device; theory, instruments and techniques" University Park Press 1979

      25 Bryant, N. R, "Preschool children's learning and transfer of matrices problems: Potential for improvement" 1983

      26 Lidz, C. S, "Practitioner's guide to dynamic assessment" Guilford Press 1991

      27 Gamlin, P. J, "Issues in dynamic assessment instruction" 1 (1): 13-25, 1989

      28 Lidz, C. S, "Introduction to dynamic assessment, In Dynamic assessment: Prevailing models and application" Elsevier Science Inc 2000

      29 Minick, N, "Implication of Vygotsky's theories for dynamic assessment, In Dynamic assessment: An interactional approach to evaluating learning potential" Guilford Press 116-140, 1987

      30 Tzuriel, D, "Dynamic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Kluwer Academic/Pleum Publishers 2000

      31 McAfee, O, "Assessing and guid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nd learning" Allyn and Bacon 2002

      32 양유선, "4-5세 유아의 수 보존 능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