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형 유급병가지원 제도를 위한 논리모형 설계와 초기 평가 결과 = Logic Modelbased Evaluation of the Seoul-Type Paid Sick Leave Policy: An Early Apprais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15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 세 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한국 최초의 공적 상병수당제도인 서울형 유급병가지원 제도의 논리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토대로 제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첫째, 제도는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 세 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한국 최초의 공적 상병수당제도인 서울형 유급병가지원 제도의 논리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토대로 제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첫째, 제도는 질병으로 인한 소득공백에 대한 소득보장 문제를 해결하는가? 둘째, 적기치료, 질병완화 및 합병증 예방, 생계유지, 미충족의료 해소, 경제활동 복귀, 노동생산력 향상 등의 변화를 가져오는가? 셋째, 사회보장 사각지대 노동자에게 서비스가 전달되는가? 제도의 논리모형은 설계, 투입, 활동, 산출 결과, 효과의 다섯 단계, 17개의 평가지표로 구성된다. 설문조사, 초점집단 인터뷰, 행정자료 등을 활용하여 복합사회중재방법론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제도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가 높았고, 소득보장 및 건강증진과 예방 등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특히 소득 및 교육 수준이 낮고 출근주의를 경험한 이용자에서 질병을 조기 발견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낮은 접근성은 제도의 한계로 나타났다. 엄격한 자격 조건과 복잡한 신청 절차, 실무자의 양적·질적 부족이 원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자격 조건 완화, 서류 간소화, 신청 창구의 다원화, 실무자의 양적 확대 및 전문성 강화 등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유일의 공적 상병수당제도의 초기 효과를 평가한 첫 번째 연구로, 제도의 평가틀을 구성하고 인과적 논리에 따른 개선지점의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eoul City Government has adopted the Seoul-Type Paid Sick Leave Policy (hereinafter Seoul Sick Leave) in 2019, which is the first publically-funded sickness benefit program adopted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Seoul Sick Leave protects the preca...

      The Seoul City Government has adopted the Seoul-Type Paid Sick Leave Policy (hereinafter Seoul Sick Leave) in 2019, which is the first publically-funded sickness benefit program adopted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Seoul Sick Leave protects the precariously employed and the dependent self-employed without paid leave for their income loss due to hospitalizations. The study aims to apply a logic model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delivery process of a new social security program for workers without the sickness leave. The logic model for the Seoul Paid Sick Leave consists of design, inputs, activities, outputs, and outcomes, and 17 indicators.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with complex social intervention methods using questionnaire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 and by analyzing of administrative data of Seoul. All candidates, whether they were beneficiaries or not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The program were expected to help precarious workers maintain their livelihood and access medical service in right time. However, the application rate was low, which might be due to the low accessibility of the program’s strict eligibility criteria and limited popular recogn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accessibility of the program to better serve its target popul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evaluate the initial effect of the only public sickness benefit system in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태, "한국의 상병수당 ‘부재’ 현황과 상병수당 도입을 위한 제언" 388 : 1-12, 2020

      2 정현우, "한국 상병수당제도 및 전달체계 설계연구: 주요 선진국과의 제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건행정학회 29 (29): 112-129, 2019

      3 이석민, "프로그램 논리모형(Logic Models)의 적용과 사용에 관한 연구 - “간접흡연제로! 서울 평가지표 개발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18 (18): 211-242, 2011

      4 김복규, "프로그램 논리모형 설계 및 평가: 농촌활력화사업을 대상으로" 서울행정학회 19 (19): 97-122, 2008

      5 강지원, "캐나다의 성과관리제도와 평가: 사회보장제도를 중심으로" 1-5, 2017

      6 강동욱, "질병 또는 장애가 중고령자의 경제상태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207-235, 2010

      7 김종호, "지각된 의료서비스 품질이 환자만족 및 후속행동에 미치는영향" 한국마케팅관리학회 9 (9): 1-19, 2004

      8 노화준, "정책평가론: 프로그램성과와 정책혁신의 효과 평가" 법문사 2008

      9 김상기, "의료는 산업인가, 복지인가?"

      10 이재훈, "유급병가휴가와 상병수당 도입의 필요성" (259) : 11-15, 2020

      1 김기태, "한국의 상병수당 ‘부재’ 현황과 상병수당 도입을 위한 제언" 388 : 1-12, 2020

      2 정현우, "한국 상병수당제도 및 전달체계 설계연구: 주요 선진국과의 제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건행정학회 29 (29): 112-129, 2019

      3 이석민, "프로그램 논리모형(Logic Models)의 적용과 사용에 관한 연구 - “간접흡연제로! 서울 평가지표 개발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18 (18): 211-242, 2011

      4 김복규, "프로그램 논리모형 설계 및 평가: 농촌활력화사업을 대상으로" 서울행정학회 19 (19): 97-122, 2008

      5 강지원, "캐나다의 성과관리제도와 평가: 사회보장제도를 중심으로" 1-5, 2017

      6 강동욱, "질병 또는 장애가 중고령자의 경제상태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207-235, 2010

      7 김종호, "지각된 의료서비스 품질이 환자만족 및 후속행동에 미치는영향" 한국마케팅관리학회 9 (9): 1-19, 2004

      8 노화준, "정책평가론: 프로그램성과와 정책혁신의 효과 평가" 법문사 2008

      9 김상기, "의료는 산업인가, 복지인가?"

      10 이재훈, "유급병가휴가와 상병수당 도입의 필요성" (259) : 11-15, 2020

      11 이승윤, "아픈 노동자는 왜 가난해지는가? - 아픈 노동자의 빈곤화과정과 소득보장제의 경험" 한국사회정책학회 24 (24): 113-150, 2017

      12 정혜주, "시립병원비급여분석 및 보장성 강화 전략수립: 서울형 유급병가와 혁신적 의료보장정책을 중심으로" 서울특별시 공공보건의료재단 2018

      13 서울특별시, "서울형 유급병가지원 사업 지침"

      14 서울특별시, "서울형 유급병가지원 사업 지침"

      15 서울특별시, "서울형 유급병가지원 사업 지침"

      16 정재철, "서울형 유급병가지원 개선방안 모색" 서울특별시 공공보건의료재단 2020

      17 서울특별시, "서울형 유급병가지원 2020년도 예산안"

      18 임승지, "상병수당제도 도입연구 I: 기초연구" 국민건강보험 2019

      19 최인덕, "상병수당제도 도입방안 연구 - 제도설계와 재정소요를" 한국사회보장학회 23 (23): 221-247, 2007

      20 정형준, "상병수당 도입의 필요성" (222) : 10-17, 2017

      21 신기철, "상병소득보장제도 충실화 방안 연구 (급여소득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7 (27): 133-156, 2011

      22 강신욱, "사회보장정책평가의방향과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23 신기철, "보장성 강화와 상병수당 도입 필요성" 13 (13): 7-13, 2019

      24 김남순, "보건의료정책평가 모형 연구 (I)-현황 분석과 우선순위 설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25 박성재, "논리모델을 이용한 도서관 성과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26 (26): 269-287, 2015

      26 홍민기, "노동패널 표본이탈과 불평등 지표" 한국조사연구학회 15 (15): 95-122, 2014

      27 문종열, "금강산관광사업 논리모형과 특성 그리고 정책적 함의" 한국정부학회 19 (19): 405-428, 2007

      28 손민성, "국민건강보험 맞춤형 코호트 DB를 이용한 한국의 상병수당 및 유급병가를 위한 소요재정추계"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5 (25): 1-28, 2019

      29 이도형, "국가연구개발사업 유형별 성과평가 논리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0

      30 이명화, "과학기술 정책평가 모형 탐색"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7

      31 서민지, "건보 17조 흑자 금융상품 투자? “의료비 인하에 써라”"

      32 손영래,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 방향" 12 (12): 7-18, 2018

      33 김수진,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에 따른 가구 의료비 부담 변화와 시사점" 2020 (2020): 38-52, 2020

      34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간접흡연제로! 서울 평가지표 개발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0

      35 최은택, "‘기준비급여’ 우선 급여화…다음은 국민부담 고려"

      36 Rennekamp, R. A., "What progress, program evaluation? Reflections on a quarter-century of Extension evaluation practice" 47 (47): 2009

      37 McIntyre, D., "What are the economic consequences for households of illness and of paying for health care in low-and middle-income country contexts?" 62 (62): 858-865, 2006

      38 Clapham, K., "Using a logic model to evaluate the Kids Together early education inclus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additional needs" 61 : 96-105, 2017

      39 Savaya, R., "The logic model: A tool for incorporating theory i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ograms" 29 (29): 85-103, 2005

      40 Bickman, L., "The functions of program theory" 1987 (1987): 5-18, 1987

      41 Lager, K. E., "Secondary prevention of stroke following Transient Ischaemic Attack: a mixed methods study" University of Leicester 2013

      42 Drago, R., "San Francisco’s Paid Sick Leave Ordinance: Outcomes for Employers and Employees" Institute for Women’s Policy Research

      43 Bhuyan, S. S., "Paid sick leave is associated with fewer ED visits among US private sector working adults" 34 (34): 784-789, 2016

      44 DeRigne, L., "Paid sick leave and preventive health care service use among US working adults" 99 : 58-62, 2017

      45 Milli, J., "Paid sick days benefit employer, workers, and the economy" Institute for Women’s Policy Research 2016

      46 National Partnership for Women & Families, "Paid family and medical leave: Good for business"

      47 Appelbaum, E., "No Big Deal: The Impact of New York City’s Paid Sick Days Law on Employers" Center for Economic and Policy Research 2016

      48 Shahsavari, H., "Medical Research Council framework for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omplex interventions: a comprehensive guidance" 9 : 2020

      49 Rieth, L., "Integrated disability management: Taking a coordinated approach to managing employee disabilities" 43 (43): 270-275, 1995

      50 Renger, R., "From theory to practice: Lessons learned in the application of the ATM approach to developing logic models" 29 (29): 106-119, 2006

      51 Scheil-Adlung, X., "Evidence on paid sick leave: Observations in times of crisis" 45 (45): 313-321, 2010

      52 Wholey, J. S., "Evaluability Assessment: Developing Program Theory" 33 : 77-92, 1987

      53 Craig, P., "Developing and evaluating complex interventions: the new Medical Research Council guidance"

      54 Asfaw, A.,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access to paid sick leave and children’s access to and use of healthcare services" 60 (60): 276-284, 2017

      55 Renger, R., "A three-step approach to teaching logic models" 23 (23): 493-503, 2002

      56 Wren, J., "A Guide to Developing Public Health Programmes:A Generic Programme Logic Model"

      57 이현옥, "4대 중증질환 보장성 정책이 환자의 의료이용과 재난적 의료비에 미친 영향 -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이분석을 활용하여 -" 한국사회복지학회 70 (70): 89-116, 2018

      58 김윤, "4대 중증질환 보장성 강화정책의 평가" 대한의사협회 57 (57): 198-203,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5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사회연구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SCOPUS 등재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9 1.79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6 2.16 2.49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