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러시아어에서의 일치 연구 = 동종 접속 주어와 술어의 일치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185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и를 비롯해 다양한 대등 접속사로 연결된 명사구가 주어로 사용된 문장에서 술어가 복수로 사용되는가 아니면 동종 접속 주어 중 인접 성분에 단수로 일치되는가의 문제를 생성문법적 틀 안에서 다루고 있다. 어순, 접속사의 의미적 특성, 술어의 통사적 의미적 특성, 주어의 의미적 특성 등이 주요 변수가 된다.
      비능격 동사 술어가 사용되거나, 활성체 주어가 행위성을 나타내는 술어(일반적으로 타동사 포함)와 사용되는 경우, 대등 접속사로 연결된 명사 간에 문법적 성의 형태적 충돌 때문에 단수가 사용되지 못하는 경우, 접속사의 형태 의미적 특성상 복수의 자질이 투사되는 경우 등에는 일반적으로 복수가 사용된다.
      비대격 동사 술어 또는 존재 술어가 사용되고 술어가 주어에 전치되는 경우, 접속사(보통 선별 접속사)의 의미적 특성상 접속 주어의 한 쪽 명사만이 행위에 참여하는 경우, 대등 접속사로 연결된 명사 간 의미적 유사성이 있을 때, 대조비교 접속사의 경우 명사 간의 성의 형태적 충돌이 일어나지 않을 때, 반복 접속사의 경우 각각 명사의 개별성이 강조될 때에는 단수가 사용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и를 비롯해 다양한 대등 접속사로 연결된 명사구가 주어로 사용된 문장에서 술어가 복수로 사용되는가 아니면 동종 접속 주어 중 인접 성분에 단수로 일치되는가의 문제를 생성...

      본 논문은 и를 비롯해 다양한 대등 접속사로 연결된 명사구가 주어로 사용된 문장에서 술어가 복수로 사용되는가 아니면 동종 접속 주어 중 인접 성분에 단수로 일치되는가의 문제를 생성문법적 틀 안에서 다루고 있다. 어순, 접속사의 의미적 특성, 술어의 통사적 의미적 특성, 주어의 의미적 특성 등이 주요 변수가 된다.
      비능격 동사 술어가 사용되거나, 활성체 주어가 행위성을 나타내는 술어(일반적으로 타동사 포함)와 사용되는 경우, 대등 접속사로 연결된 명사 간에 문법적 성의 형태적 충돌 때문에 단수가 사용되지 못하는 경우, 접속사의 형태 의미적 특성상 복수의 자질이 투사되는 경우 등에는 일반적으로 복수가 사용된다.
      비대격 동사 술어 또는 존재 술어가 사용되고 술어가 주어에 전치되는 경우, 접속사(보통 선별 접속사)의 의미적 특성상 접속 주어의 한 쪽 명사만이 행위에 참여하는 경우, 대등 접속사로 연결된 명사 간 의미적 유사성이 있을 때, 대조비교 접속사의 경우 명사 간의 성의 형태적 충돌이 일어나지 않을 때, 반복 접속사의 경우 각각 명사의 개별성이 강조될 때에는 단수가 사용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provides a new analysis on the subject-verb agreement phenomenon in coordinate structures. In general, the verb agrees with the conjunct subject in plural, however, first conjunct or second conjunct agreement is also possible, in which the verb agrees in number, gender and person with the first or second conjunct of the coordinate subject. The, so-called, ‘partial agreement’ depends on the word order,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conjunction, the syntactic and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verb and the subject, etc..
      The internal syntactic structure of the coordinate NP structure connected by various coordinate conjunctions: single conjunctions (и, или), repetitive conjunctions (и .. и, или .. или), pair conjunctions (не только .., но и, не .., а), the zero conjunctions, and commas, is as follows.
      〈그림 삽입〉
      In the above structure the combined plural feature from the both NP1 and NP2 is percolated upward to the NP in the following cases:
      1. When an unergative verb is used; 2. when animate subject is used with the agentive predicate including transitive verbs in general; 3. when morphological conflict in gender between the two NPs occurs; 4. when the plural feature of the conjunction with the morphologic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is percolated.
      In the above structure the singular feature of one of the NPs at the bottom is percolated upward to the NP in the following cases:
      1. When an unaccusative verb or existential predicate is used preverbally; 2. when either one of the NPs participates in the action denoted by the verb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junction; 3. when each NP has the semantic similiarity between them; 4. when morphological conflict in gender between the two NPs doesn't occur in case of the ‘comparison’ conjunction; 5. when the individuality of each NP is emphasized in case of the repetitive conjunction.
      The following are the syntactic structures of the sentences which include the coordinate NP.
      〈그림 삽입〉
      번역하기

      This article provides a new analysis on the subject-verb agreement phenomenon in coordinate structures. In general, the verb agrees with the conjunct subject in plural, however, first conjunct or second conjunct agreement is also possible, in which th...

      This article provides a new analysis on the subject-verb agreement phenomenon in coordinate structures. In general, the verb agrees with the conjunct subject in plural, however, first conjunct or second conjunct agreement is also possible, in which the verb agrees in number, gender and person with the first or second conjunct of the coordinate subject. The, so-called, ‘partial agreement’ depends on the word order,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conjunction, the syntactic and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verb and the subject, etc..
      The internal syntactic structure of the coordinate NP structure connected by various coordinate conjunctions: single conjunctions (и, или), repetitive conjunctions (и .. и, или .. или), pair conjunctions (не только .., но и, не .., а), the zero conjunctions, and commas, is as follows.
      〈그림 삽입〉
      In the above structure the combined plural feature from the both NP1 and NP2 is percolated upward to the NP in the following cases:
      1. When an unergative verb is used; 2. when animate subject is used with the agentive predicate including transitive verbs in general; 3. when morphological conflict in gender between the two NPs occurs; 4. when the plural feature of the conjunction with the morphologic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is percolated.
      In the above structure the singular feature of one of the NPs at the bottom is percolated upward to the NP in the following cases:
      1. When an unaccusative verb or existential predicate is used preverbally; 2. when either one of the NPs participates in the action denoted by the verb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junction; 3. when each NP has the semantic similiarity between them; 4. when morphological conflict in gender between the two NPs doesn't occur in case of the ‘comparison’ conjunction; 5. when the individuality of each NP is emphasized in case of the repetitive conjunction.
      The following are the syntactic structures of the sentences which include the coordinate NP.
      〈그림 삽입〉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접속 주어와 술어의 일치
      • Ⅲ. 기존 연구
      • 5. 맺는 말
      • 국문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접속 주어와 술어의 일치
      • Ⅲ. 기존 연구
      • 5. 맺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