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슈베르트 「Mass in G Major」의 분석·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55730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 음악학과합창지휘 , 2015. 8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81.45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n Analytic Study on the 「Mass in G Major」by Franz Peter Schubert

      • 형태사항

        vi, 79장 : 삽도 ; 30 cm.

      • 일반주기명

        단국대학교 학위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최승식
        참고문헌 : 75-77장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슈베르트(Franz Peter Schubert, 1797-1828)는 낭만주의 시대의 대표적 작곡가 중 한 사람으로 특히 예술 가곡과 합창 음악 등의 성악 작품을 많이 남겼다. 슈베르트의 「Mass in G Major」는 Kyrie, Gloria, Cr...

      슈베르트(Franz Peter Schubert, 1797-1828)는 낭만주의 시대의 대표적 작곡가 중 한 사람으로 특히 예술 가곡과 합창 음악 등의 성악 작품을 많이 남겼다. 슈베르트의 「Mass in G Major」는 Kyrie, Gloria, Credo, Sanctus, Benedictus, Agnus Dei 의 6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Kyrie는 가사의 내용과 음악적인 특징에 따라 A-B-A'-Coda로 구성되며 호모포닉한 합창과 소프라노 독창이 애절한 선율로 가사를 표현한다.
      Gloria는 A-B-A'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호모포닉한 합창과 소프라노와 베이스독창이 서로 대화하는 형태로 주고받는 이중창으로 이루어져 있다.
      Credo는 악상의 변화에 의해 A-B-C-A'로 구분되는데 A부분은 pp로, B부분은 p로, C부분은 f와 ff로 점차 음량이 증대된 후 A'에서 pp로 조용히 마무리 된다. 이 곡은 전례문에 들어 있는 'Et in unam sanctam catholicam et apostolicam ecclesiam(하나뿐인 교회와 거룩한 공회의 사도로부터 내려온 교회를 믿습니다)'라는 가사가 생략되었다.
      Sanctus는 A-B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가사와 합창부분의 음악적 특징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 A부분에서는 호모포닉한 합창이, B부분에서는 폴리포닉한 합창이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Benedictus는 가사의 내용에 따라 A-B의 두 부분으로 구분된다. A부분은 소프라노 독창, 소프라노와 테너의 이중창, 그리고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의 삼중창으로 이루어지고 B부분은 폴리포닉한 합창으로 Sanctus의 ‘Osanna in excelsis’부분이 그대로 반복된다.
      Agnus Dei는 가사의 반복과 조성의 변화에 따라 A-A'-A''의 세 부분으로 구분 되는데, 조성은 e minor - D Major - b minor - A Major - a minor - G Major로 단조와 장조를 교대로 전조하는 방법을 보이고 있다.
      연구자는 슈베르트의 「Mass in G Major」의 분석·연구를 통하여 이 곡이초기 낭만주의 시기의 합창 음악 특징과 함께 슈베르트 특유의 선율과 화성, 전조, 악상의 대비 등을 잘 나타내는 작품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연주자들에게 올바른 연주 기법과 음악적 지식을 제시하여 보다 나은 연주를 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
      •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 II. 이론적 배경 3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
      •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 II. 이론적 배경 3
      • 1. 낭만주의 합창 음악의 특징 3
      • 2. 슈베르트의 생애 및 작품 경향 5
      • 3. 슈베르트의 미사 작품 경향 7
      • III. 슈베르트 「Mass in G Major」의 분석 10
      • 1. 작품 개요 10
      • 2. Kyrie 11
      • 3. Gloria 22
      • 4. Credo 36
      • 5. Sanctus 49
      • 6. Benedictus 57
      • 7. Agnus Dei 65
      • IV. 결론 74
      • 참고문헌 75
      • 영문요약 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