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독립선언서」는 암울하던 일제강점기에 민족대표 33인이 발의하고, 전국적으로 온 국민이 참여하여 우리나라 독립을 국내외에 알린 문서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 민족에게는 보편적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304020
오용섭 (인천대학교)
2017
Korean
Independence Manifesto ; March 1st Independence Manifesto ; the Decl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 Bo-seong-sa ; Choi nam-seon ; Lee jong-il ; Jang hyo-gun ; Oh se-chang ; Lee gyu-hun ; 독립선언서 ; 3․1독립선언서 ; 보성사 ; 최남선 ; 이종일 ; 장효근 ; 오세창 ; 이규흔
KCI등재
학술저널
197-216(20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3․1독립선언서」는 암울하던 일제강점기에 민족대표 33인이 발의하고, 전국적으로 온 국민이 참여하여 우리나라 독립을 국내외에 알린 문서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 민족에게는 보편적인 ...
「3․1독립선언서」는 암울하던 일제강점기에 민족대표 33인이 발의하고, 전국적으로 온 국민이 참여하여 우리나라 독립을 국내외에 알린 문서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 민족에게는 보편적인 가치를 주는 문화유산이자 기록물이라고 하겠다. 그 중에서 두 점이 2016년 10월에 등록문화재가 되었고, 2015년 12월에 지정된 국가지정기록물 제12호에도 독립기념관 소장의 두 점이 포함되어 있다.
이제 「3․1독립선언서」는 국가가 나서 보호하여 후세에 물려주어야 하는 우리의 문화재이자 기록물이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근자에 국가의 문화재이자 기록물로 인정받게 된 「3․1독립선언서」 원본, 판본, 조판, 전본, 인쇄일, 인쇄매수 등에 대해 서지적으로 살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인쇄대감" 대한인쇄공업협동조합연합회 1969
2 "한국민족운동사료" 한국인문과학원 1998
3 김병조, "한국독립운동사략 상" 아세아문화사 1977
4 "한국독립운동사 정보시스템"
5 최남선, "조선역사" 동명사 1946
6 최남선, "조선독립운동소사" 동명사 1946
7 최남선, "조선독립운동사" 동명사 1946
8 최남선, "조선독립운동사" 경인문화사 2013
9 北岳山人, "조선독립운동사" 조선출판문화주식회사 1946
10 "장효근일기 완역주" (347-349) : 1978
1 "한국인쇄대감" 대한인쇄공업협동조합연합회 1969
2 "한국민족운동사료" 한국인문과학원 1998
3 김병조, "한국독립운동사략 상" 아세아문화사 1977
4 "한국독립운동사 정보시스템"
5 최남선, "조선역사" 동명사 1946
6 최남선, "조선독립운동소사" 동명사 1946
7 최남선, "조선독립운동사" 동명사 1946
8 최남선, "조선독립운동사" 경인문화사 2013
9 北岳山人, "조선독립운동사" 조선출판문화주식회사 1946
10 "장효근일기 완역주" (347-349) : 1978
11 "장효근일기" 성신여자사범대학 국사교육과 1 : 1976
12 이현희, "의암 손병희와 3․1운동" 동학학회 (17) : 289-324, 2009
13 김용호, "옥파이종일연구" 교학사 1984
14 "옥파이종일선생논설집 권3" 교학사 1984
15 옥파문화재단 옥파기념사업회, "옥파이종일선생논설집 권1-4" 교학사 1984
16 옥파기념사업회, "옥파 이종일의 사상과 민족독립운동" 1995
17 김창수, "옥파 이종일의 민족독립운동" 1995
18 이태선, "옥파 이종일 선생이야기" 창작시대사 2009
19 박춘석, "옥파 이종일" 태안향토문화연구소 2008
20 환희, "연기법의 생활"
21 고춘섭, "수양산인 정재용 전기" 빛과 글 2008
22 "서울항일독립운동사" 서울특별시 2009
23 "서울 독립운동의 역사현장" 서울특별시 2008
24 이병헌, "삼일운동비사" 시사시보사출판국 1959
25 조선과학자동맹, "삼일운동과 조선해방 기념논집" 청년사 1946
26 "삼․일 독립선언서: 3.1운동 60주년기념" 삼일동지회 1979
27 "묵암비망록"
28 "묵암비망록" 보성사 16 : 1978
29 "묵암 이종일선생 비망록(4)" 천도교중앙총부 출판부 19 : 1982
30 임형진, "묵암 이종일과 3.1운동" (8) : 2009
31 "독립운동사 : 2, 3․1운동사․상" 동 독립유공자 사업기금 운용위원회 1972
32 "독립운동관련판결문"
33 "독립선언서" 삼일동지회 1971
34 "독립기념관 전시품도록" 독립기념관 2002
35 안상교, "대한독립선언서 총람" 복지문화사 1996
36 최남선, "내가 쓴 독립선언서" 2 (2): 1955
37 유병민, "내 삼일운동의 기록" 1 (1): 1946
38 려증동, "기미독립선언문의 잘못에 대하여" 10 (10): 1992
39 오수열, "기미년삼월일일「독립선언서」인쇄경위" 1986
40 "극비한국독립운동사료총서" 한국출판문화원 1989
41 이정은, "국가기록물이 된 3.1운동 독립선언서" (34) : 2016
42 "고양 북한산 3․1운동 암각문 (고양시 향토문화재 제32호)"
43 이동국, "葦滄 吳世昌" 예술의 전당 1996
44 朴慶植, "朝鮮三․一 独立運動" 平凡社 1976
45 日本新聞協會工務委員會, "新聞印刷" 日本新聞協會 1964
46 김소진, "3ㆍ1독립선언서 33人에 대한 인적 분석" 7 : 1993
47 박걸순, "3‧1獨立宣言書 公約三章 기초자에 대한 재론" 한국근현대사학회 (46) : 175-204, 2008
48 이정은, "3․1독립선언서 ‘異本’ 연구" 2016
49 이현희, "3․1 운동사론" 동방도서 1979
50 홍일식, "3․1 독립선언서 연구" 3 : 1989
51 金素眞, "1910년대의 독립선언서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52 묵암기념사업회, "(묵암 이종일선생)警世의 위업과 생애" 묵암기념사업회 1979
17세기 실록형지안에 수록된 일반서책 목록에 관한 연구
조선에서 양명학 관련 문헌의 수용 양상 - 16세기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3-2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ibliography | ![]() |
2019-03-1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5-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서지학회 -> 한국서지학회영문명 :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7 | 0.47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2 | 1.107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