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교사의 관심단계와 활용수준 = Teacher’s ‘Stages of Concerns’ and ‘Levels of Use’ on STEAM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539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교사의 관심단계와 활용수준을 진단하기 위해서 수행되 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활용하여, 융합인재교육에 대...

      이 연구는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교사의 관심단계와 활용수준을 진단하기 위해서 수행되 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활용하여,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 단계와 활용 수준을 확인하고,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선도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과 행동을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선도교사 8명과 일반교사 8명을 각각 선정하였으며, Hall & Hord(2006)의 관심단 계(SoC) 질문지와 활용수준(LoU) 진단지를 참조하여 조사 도구를 개발·적용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심단계 분석 결과, 선도교사는 융합인재교육을 능숙하게 활용하는 전형적인 변용 사용자로 확인되었고, 일반교사는 융합인재교육에 무관심한 비사용자의 특성을 보였다.
      둘째, 활용수준 분석 결과, 선도교사는 일상화, 정교화, 통합, 변용 수준에 해당하는 사용자로 확인되었고, 일반교사는 비사용, 입문, 준비 수준에 해당하는 비사용자로 확인되었다.
      셋째, 선도교사와 일반교사의 특성 차이는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일반교사는 선도교사에 비해 융합인재교육이 본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개인적 관심도가 높고, 구체적이며 실제 적이다. 일반교사는 선도교사에 비해 융합인재교육의 도입 및 STEAM 수업에 대한 부담, 염려, 심리적 저항이 크며 호의적이지 않다. 일반교사는 선도교사에 비해 융합인재교육의 결과로서 학생들의 성취, 반응을 포함한 결과적 관심도가 낮고, 교사 중심의 교육관을 고수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iagnose stages of concerns and levels of use on STEAM Education of in-service teacher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tages of concerns and levels of use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iagnose stages of concerns and levels of use on STEAM Education of in-service teacher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tages of concerns and levels of use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and the perception and behavior of leading group and general group were compar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 leading group teachers and 8 general group teachers.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Hall & Hord(2006) s stages of concerns questionnaire and levels of use interview configura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leading group teachers were traditional renewal users that making full use of STEAM education and general group teachers were non-users that uninterested in STEAM educ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tages of concerns profile.
      Secondly, leading group teachers were STEAM education users corresponding routine, refinement, integration, and renewal levels and general group teachers were STEAM education non-users corresponding nonuse, orientation, and preparation level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tages of levels of use interviews.
      Thirdly, the differences between leading group and general group were as follows. In a personal concern, general group were higher than leading group and their needs were more specific and substantive. In a burden, worry, and psychological resistance, general group were higher than leading group and their attitudes were more unfavorable. In a consequence concern, general group were lower than leading group and their persistences on teacher-initiated class were strong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III. 연구 방법
      • IV. 연구 결과
      • V. 결론 및 제언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III. 연구 방법
      • IV. 연구 결과
      • V. 결론 및 제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