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군 병원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programs for the military hospit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489420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강남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99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199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38.8 판사항(4)

      • DDC

        361.7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691 p. : 삽도 ; 27cm

      • 소장기관
        • 나사렛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용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신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일장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남신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헌법 제 37조 병역법 제 3조에 의해, 대한민국 성인 남자들은 모두 국방의 의무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생애의 일정 기간을 군사회에 속하게 된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69만에 달하는 군인이 있다. 그들은 개인의 자발적인 선택에 의해서 군에 입대한 것이 아니고 국가의 헌법에 규정된 의무를 수행하기 위해 그곳에서 근무하고 있다. 연령별로 보아도 19세에서 25세 이하의 젊은 남자가 대부분이어서 아직 정체성이 완성되지 않은 나이이다. 그리고 철저하게 명령을 중시하는 군인 사회는 민간 사회와 매우 다른 체계 속에 있어 그들이 군대에 입대되기 이전의 환경적 요소와는 매우 다르다. 그들이 비자발적으로 군대 내에 있는 것, 정체성이 완성되지 않은 나이인 점, 사회 환경적으로 몹시 다른 환경에 갑자기 처해 있게 된 점 등 이러한 요소들은 군인들에게 적응의 어려움을 갖게 할 것이다.
      장병들은 입대 전 신체검사의 의해 신체적, 정신적 장애자가 제외된 건강한 청년들이지만 많은 스트레스와 비교적 열악한 환경에서의 집단생활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 때문에 각별한 관심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이들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것은 군 전투력을 보존하는 일임과 동시에, 이들이 군 복무 후 사회로 환원되어 사회, 경제 활동의 주역이 될 연령층이라는 측면에서 국가적인 사회 경제 발전의 원동력을 창출하는 것이기도 하다.
      69만 장병의 건강유지·증진 및 질병예방을 통한 전투력 증강을 목표로 하는 군 보건의료사업 및 사회복지사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는 각종 전략과 정책이 수립되어야 하며 이들의 계획 및 평가 단계에서는 과학적이고 다양한 정보와 자료들이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군인의 적응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은 매우 적다. 이는 군인 복지의 미흡함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겠다. 우리 나라의 복지제도는 의료·장애·빈곤의 문제나, 청소년·노년 대상으로 활발히 전개되고 있으나 엄격한 명령체제로 움직이는 69만 명의 군인에 대한 복지 서비스는 잘 알려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전문 사회복지사가 군인을 위해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군 병원 사회복지 프로그램은 군전투력강화의 중요한 저해요소인 군조직성원의 질병의 치료전문직의 하나로서 군의관과 간호장교와 같은 전통적 의료전문직과는 달리 질병의 사회적, 심리적, 경제적 요인에 관심을 두고 이러한 요인의 질병에 대한 영향을 판단·해석하여 환자의 질병치료에 기여하는 새로운 의료전문직이다. 군조직이라는 특수성에 비추어 보면 군 병원의 환자는 인간관계 및 환경의 변화로 인한 적응상의 문제와 역할변화로 인한 정서적 문제를 가질 수 있다. 군 병원 사회복지 프로그램은 이와 같은 군 병원환자의 부적응문제와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여 환자의 사회적 기능의 향상과 전투력의 극대화에 조력할 수 있는 전문적인 사회학적, 심리학적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환자인 군인으로서의 효능성의 향상과 나아가서 군 병원환자의 안녕과 복지의 증진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군 병원내에서의 전문사회복지사업의 필요성은 매우 높다고 말할 수 있다. 연구자는 본 연구조사를 통해 군 사회복지 프로그램이 환자의 환경 변화, 퇴원 후 자대생활에의 적응, 그리고 치료과정에 대한 그들의 신뢰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군 병원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실시는 마땅히 필요한 일이며, 이를 제도적으로 확립시키기 위하여서는, 군의무병과의 지휘관들과 민간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전문가들과의 빈번한 의사교환과 학술교류 등을 통하여 군 병원 내에서의 전문사회복지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널리 인식시켜 직능화조치와 편제화된 군 병원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실제로 활용시켜야 하겠다. 그리고, 포괄적인 의료지원과 함께 퇴원지원계획, 위기개입 서비스, 교도 상담, 알콜 및 약물 중독자 재활 및 가족 지원 서비스 등을 군 병원 사회복지 프로그램에 적극 발전시켜 나아가야 할 과제가 우리 군의 명제이다.
      우리나라 군 병원에 이러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확립시킬 때 군 조직 성원의 복지증진은 물론 군전투력의 강화와 보전, 군의 사기증진과 작전수행에 커다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이것은 군의 인적 자원의 능률화와 군의 현대화 목표에도 크게 연관된다고 볼 수 있다.
      번역하기

      우리나라 헌법 제 37조 병역법 제 3조에 의해, 대한민국 성인 남자들은 모두 국방의 의무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생애의 일정 기간을 군사회에 속하게 된다. 현재 우리나라에...

      우리나라 헌법 제 37조 병역법 제 3조에 의해, 대한민국 성인 남자들은 모두 국방의 의무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생애의 일정 기간을 군사회에 속하게 된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69만에 달하는 군인이 있다. 그들은 개인의 자발적인 선택에 의해서 군에 입대한 것이 아니고 국가의 헌법에 규정된 의무를 수행하기 위해 그곳에서 근무하고 있다. 연령별로 보아도 19세에서 25세 이하의 젊은 남자가 대부분이어서 아직 정체성이 완성되지 않은 나이이다. 그리고 철저하게 명령을 중시하는 군인 사회는 민간 사회와 매우 다른 체계 속에 있어 그들이 군대에 입대되기 이전의 환경적 요소와는 매우 다르다. 그들이 비자발적으로 군대 내에 있는 것, 정체성이 완성되지 않은 나이인 점, 사회 환경적으로 몹시 다른 환경에 갑자기 처해 있게 된 점 등 이러한 요소들은 군인들에게 적응의 어려움을 갖게 할 것이다.
      장병들은 입대 전 신체검사의 의해 신체적, 정신적 장애자가 제외된 건강한 청년들이지만 많은 스트레스와 비교적 열악한 환경에서의 집단생활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 때문에 각별한 관심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이들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것은 군 전투력을 보존하는 일임과 동시에, 이들이 군 복무 후 사회로 환원되어 사회, 경제 활동의 주역이 될 연령층이라는 측면에서 국가적인 사회 경제 발전의 원동력을 창출하는 것이기도 하다.
      69만 장병의 건강유지·증진 및 질병예방을 통한 전투력 증강을 목표로 하는 군 보건의료사업 및 사회복지사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는 각종 전략과 정책이 수립되어야 하며 이들의 계획 및 평가 단계에서는 과학적이고 다양한 정보와 자료들이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군인의 적응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은 매우 적다. 이는 군인 복지의 미흡함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겠다. 우리 나라의 복지제도는 의료·장애·빈곤의 문제나, 청소년·노년 대상으로 활발히 전개되고 있으나 엄격한 명령체제로 움직이는 69만 명의 군인에 대한 복지 서비스는 잘 알려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전문 사회복지사가 군인을 위해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군 병원 사회복지 프로그램은 군전투력강화의 중요한 저해요소인 군조직성원의 질병의 치료전문직의 하나로서 군의관과 간호장교와 같은 전통적 의료전문직과는 달리 질병의 사회적, 심리적, 경제적 요인에 관심을 두고 이러한 요인의 질병에 대한 영향을 판단·해석하여 환자의 질병치료에 기여하는 새로운 의료전문직이다. 군조직이라는 특수성에 비추어 보면 군 병원의 환자는 인간관계 및 환경의 변화로 인한 적응상의 문제와 역할변화로 인한 정서적 문제를 가질 수 있다. 군 병원 사회복지 프로그램은 이와 같은 군 병원환자의 부적응문제와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여 환자의 사회적 기능의 향상과 전투력의 극대화에 조력할 수 있는 전문적인 사회학적, 심리학적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환자인 군인으로서의 효능성의 향상과 나아가서 군 병원환자의 안녕과 복지의 증진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군 병원내에서의 전문사회복지사업의 필요성은 매우 높다고 말할 수 있다. 연구자는 본 연구조사를 통해 군 사회복지 프로그램이 환자의 환경 변화, 퇴원 후 자대생활에의 적응, 그리고 치료과정에 대한 그들의 신뢰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군 병원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실시는 마땅히 필요한 일이며, 이를 제도적으로 확립시키기 위하여서는, 군의무병과의 지휘관들과 민간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전문가들과의 빈번한 의사교환과 학술교류 등을 통하여 군 병원 내에서의 전문사회복지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널리 인식시켜 직능화조치와 편제화된 군 병원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실제로 활용시켜야 하겠다. 그리고, 포괄적인 의료지원과 함께 퇴원지원계획, 위기개입 서비스, 교도 상담, 알콜 및 약물 중독자 재활 및 가족 지원 서비스 등을 군 병원 사회복지 프로그램에 적극 발전시켜 나아가야 할 과제가 우리 군의 명제이다.
      우리나라 군 병원에 이러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확립시킬 때 군 조직 성원의 복지증진은 물론 군전투력의 강화와 보전, 군의 사기증진과 작전수행에 커다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이것은 군의 인적 자원의 능률화와 군의 현대화 목표에도 크게 연관된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the military service law Art. 3 of Korean constitution Art. 5, all of Korean adults are obligated to serve the military, and they spend some portions of their lives in the military to carry out the duty.
      So far, it has been known that approximately 690,000 soldiers have been serving the military in Korea. And those soldiers have not joined the military with volunteering choice of individual; rather, they have been joining the service to perform their obligation specified in the constitution. Most of them are young men and aged 19 to 25 year s old, In terms of value system, some of them are not shaped or matured completely. In addition, in regard to living environment, the military society, which respects and emphasizes a line of command,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ordinary society that they belong to before joining the military. It is believed that the factors, involuntary choice, premature ages, and different environment will probably make them difficult to adjust themselves to a new environment.
      Although they are young and healthy men who passed the physical and mental examinations, and handicapped men are excluded before joining the military, they become the subject of special interest and concern because they are exposed to a variety of problems that might be caused by stress and deteriorated living environment in a group life. Therefore,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ir healthy conditions are the same as keeping the military combat strengths ; at the same time, in terms of their ages and lives which will play a key role in the society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military, it will become a main driving force of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s of n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different kinds of strategies and policies to execute military medical and social welfare program effectively that aim at improving the combat powers through maintaining and improving healthy condition of and preventing diseases from 690,000 soldiers. In phase of planning and evaluating the strategies and policies, a variety of scientific information and material are essential.
      Nevertheless, there are very few programs that help soldiers get adapted to a new circumstance. In other words, it can be translated as a lack of enough welfare programs. Although the social welfare system of Korea aiming at medical, handicapped, and poor youth and the senior, has been spreading out vigorously, the social welfare services for 690,000 soldiers who are controlled by strict lines of commands have not been known well. Professional social worker s, in particular, are not provided yet for those soldiers.
      A social welfare program in the military hospital is one of professional fields that prevent and cure emotional disorders, a factor that hampers reinforcement of fighting power of soldiers. Social welfare program is a new job of psycho- social treatment that contributes to curing difficulties which related to the problems of socio- economic and emotional problem of the military environment. The patient s in the military hospital could face emotional problems that are caused by problem of adaptation and changing roles from changes of human relations and environments.
      The social welfare programs in the military hospital possess capabilities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that can help to maximize and reinforce social function and fighting powers of patients by solving adaptation and emotional problems. Therefore, it is highly necessary to have professional social welfare work services in the military hospita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erceived that if the military hospital carries the social welfare programs, the speed of solder's adaptation to a new environment and military base, and the level of trust in curing process would be turned out to be much higher.
      Therefore, implementation of social welfare programs in the military hospital is absolutely necessary. In order to secure the programs systematically, there should be frequent exchanges of academic knowledge and technologies between the military surgeons and private doctors ; consequently, by making the necessity of the programs perceived widely, the social welfare programs of the military hospitals, functioned and formed, should be utilized. Furthermore, the allowing the social workers of the military to perform jobs of extensive medical supports, plans of discharges, counseling services, rehabilitation of alcoholics, and services of family supports will be an assignment that leads to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welfare programs in the military.
      When securing these social welfare programs in the military hospital, it is believed that they would contribute to reinforcement and preservation of combat power, elevating fighting spirit, and execution of operation. In the aspects of efficiency of human resourc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welfare of military staffs, they are directly related to the ultimate goal of the modernization of the military.
      번역하기

      According to the military service law Art. 3 of Korean constitution Art. 5, all of Korean adults are obligated to serve the military, and they spend some portions of their lives in the military to carry out the duty. So far, it has been known that ap...

      According to the military service law Art. 3 of Korean constitution Art. 5, all of Korean adults are obligated to serve the military, and they spend some portions of their lives in the military to carry out the duty.
      So far, it has been known that approximately 690,000 soldiers have been serving the military in Korea. And those soldiers have not joined the military with volunteering choice of individual; rather, they have been joining the service to perform their obligation specified in the constitution. Most of them are young men and aged 19 to 25 year s old, In terms of value system, some of them are not shaped or matured completely. In addition, in regard to living environment, the military society, which respects and emphasizes a line of command,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ordinary society that they belong to before joining the military. It is believed that the factors, involuntary choice, premature ages, and different environment will probably make them difficult to adjust themselves to a new environment.
      Although they are young and healthy men who passed the physical and mental examinations, and handicapped men are excluded before joining the military, they become the subject of special interest and concern because they are exposed to a variety of problems that might be caused by stress and deteriorated living environment in a group life. Therefore,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ir healthy conditions are the same as keeping the military combat strengths ; at the same time, in terms of their ages and lives which will play a key role in the society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military, it will become a main driving force of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s of n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different kinds of strategies and policies to execute military medical and social welfare program effectively that aim at improving the combat powers through maintaining and improving healthy condition of and preventing diseases from 690,000 soldiers. In phase of planning and evaluating the strategies and policies, a variety of scientific information and material are essential.
      Nevertheless, there are very few programs that help soldiers get adapted to a new circumstance. In other words, it can be translated as a lack of enough welfare programs. Although the social welfare system of Korea aiming at medical, handicapped, and poor youth and the senior, has been spreading out vigorously, the social welfare services for 690,000 soldiers who are controlled by strict lines of commands have not been known well. Professional social worker s, in particular, are not provided yet for those soldiers.
      A social welfare program in the military hospital is one of professional fields that prevent and cure emotional disorders, a factor that hampers reinforcement of fighting power of soldiers. Social welfare program is a new job of psycho- social treatment that contributes to curing difficulties which related to the problems of socio- economic and emotional problem of the military environment. The patient s in the military hospital could face emotional problems that are caused by problem of adaptation and changing roles from changes of human relations and environments.
      The social welfare programs in the military hospital possess capabilities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that can help to maximize and reinforce social function and fighting powers of patients by solving adaptation and emotional problems. Therefore, it is highly necessary to have professional social welfare work services in the military hospita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erceived that if the military hospital carries the social welfare programs, the speed of solder's adaptation to a new environment and military base, and the level of trust in curing process would be turned out to be much higher.
      Therefore, implementation of social welfare programs in the military hospital is absolutely necessary. In order to secure the programs systematically, there should be frequent exchanges of academic knowledge and technologies between the military surgeons and private doctors ; consequently, by making the necessity of the programs perceived widely, the social welfare programs of the military hospitals, functioned and formed, should be utilized. Furthermore, the allowing the social workers of the military to perform jobs of extensive medical supports, plans of discharges, counseling services, rehabilitation of alcoholics, and services of family supports will be an assignment that leads to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welfare programs in the military.
      When securing these social welfare programs in the military hospital, it is believed that they would contribute to reinforcement and preservation of combat power, elevating fighting spirit, and execution of operation. In the aspects of efficiency of human resourc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welfare of military staffs, they are directly related to the ultimate goal of the modernization of the milita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요약 = vi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방법 및 한계 = 5
      • 목차
      • 국문요약 = vi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방법 및 한계 = 5
      • II. 군 병원 사회사업의 이론적 배경 = 6
      • 1. 군 병원 사회사업의 개념 = 6
      • 2. 군 병원 사회사업의 역사 = 8
      • 3. 군 병원 사회사업의 필요성과 발전과정 = 17
      • 4. 군인의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 21
      • 5. 기존의 복지제도 = 21
      • III. 군 병원 입원 환자 및 기간 장병의 사회복지 프로그램 욕구 = 28
      • 1. 조사 연구 방법 = 28
      • 2. 조사 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 32
      • 3. 군 사회복지 프로그램 욕구 = 38
      • IV. 군인의 정신 건강 문제와 군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선방향 = 50
      • V. 결론 = 53
      • 참고문헌 = 55
      • 부록 = 59
      • 영문초록 = 6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