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주영(金周榮) 소설(小說)에 나타난 이질적(異質的) 타자(他者)로서의 여성(女性)과 (탈(脫))근대성(近代性) -1970年代 소설(小說)을 중심(中心)으로- = The (Post)modernity of Kim Joo-young’s Fiction and Female as Heterogeneous Others -Focus on 1970's novels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동일성’으로서의 근대성에서 벗어나 이질적인 근대성, 즉 ‘차이’로서의 근대성에 주목하여 1970년대 김주영 소설을 다시 읽음으로써 김주영 문학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그 속에...

      본고는 ‘동일성’으로서의 근대성에서 벗어나 이질적인 근대성, 즉 ‘차이’로서의 근대성에 주목하여 1970년대 김주영 소설을 다시 읽음으로써 김주영 문학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김주영의 소설에 등장하는 이질적 타자로서의 여성에 주목하였다.
      민중, 민족, 민주, 자본, 이성 등의 근대적 인식 틀을 벗어나 ‘이질성’, ‘타자성’으로서의 여성에 초점을 맞추어 김주영의 소설을 다시 사유할 경우, 김주영의 소설은 실패, 연민, 현실도피의 차원을 넘어, 부정의 생명력을 지닌 해방과 무위의 서사임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김주영의 글쓰기에 내재되어 있는 ‘어머니’에 대한 억압된 무의식을 발견할 수 있으며, ‘타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기’라는 김주영 문학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 Joo-young’s novels are based on criticism and the sense of resistance to the secular properties of industrialized society in the 1970s. Kim Joo-young is a writer who actively depicts the story of the villagers’ failure to enter the world of ur...

      Kim Joo-young’s novels are based on criticism and the sense of resistance to the secular properties of industrialized society in the 1970s. Kim Joo-young is a writer who actively depicts the story of the villagers’ failure to enter the world of urban people and the growing narrative of the villains against the symbolic order through the techniques of satire and reversal. Kim’s novels have sufficient problem consciousness, but his novels tend to be exclude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modernization discourse in the 1970s.
      This paper will reread Kim Joo-young’s novels in the 1970s, focusing on modernity as ‘difference’, not modernity as ‘identity’. Through this, I will redefine the status of Kim Joo-young literature and explore new possibilities inherent in it. To this end, this paper focused on women as heterogeneous others in Kim's novels.
      As a result of rethinking Kim’s novels, focusing on women as ‘heterogeneity’ and ‘otherness’ beyond the modern recognition frame of people, democracy, capital, and reason, Kim's novel is not a novel of failure, compassion, and escape, but it is a liberation and floating narrative. Furthermore, we can find the suppressed unconsciousness of ‘mother’ inherent in Kim Joo-young’s writing and confirm the value of Kim Joo-young literature called 'Listen to the voices of other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