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는 1987년 이후 제조업과 건설부분에 이주노동자가 다량으로 유입되었고, 1990년대 중반부터는 국내 저출산과 고령화를 대비하여 유입된 국제결혼이민여성이 급증하여 이른바 외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5257456
2007
Korean
334.3
학술저널
75-92(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사회는 1987년 이후 제조업과 건설부분에 이주노동자가 다량으로 유입되었고, 1990년대 중반부터는 국내 저출산과 고령화를 대비하여 유입된 국제결혼이민여성이 급증하여 이른바 외국...
한국사회는 1987년 이후 제조업과 건설부분에 이주노동자가 다량으로 유입되었고, 1990년대 중반부터는 국내 저출산과 고령화를 대비하여 유입된 국제결혼이민여성이 급증하여 이른바 외국인 100만 명 시대가 되었다. 그러나 한국사회는 다문화가정과 그 자녀들에게 까지 편견과 차별이 심하며, 다문화자녀들의 학교 부적응, 집단 따돌림, 소외, 성적 부진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야기함으로써 제2의 조승희 사건을 낳지 않을까 우려가 되고 있다. 이에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다문화자녀 즉, 국제결혼가정과 새터민 가정의 아동·청소년의 실태와 과제를 살펴보고 이에 대비한 사회복지실천 개입전략을 모색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