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도의 문체와 지식인의 글쓰기 : 명대의 팔고취사(八股取士)를 중심으로 = Style of Writing Prescribed by System and Intellectual Writing: Concerning Selection of Officials by Bagu Qushi(八股取士) in Ming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193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명 태조 주원장(朱元璋)은 정권을 공고히 하고 사상을 통제하기 위해 유가의 도통과 정주이학(程朱理學)을 제창하면서 사서(四書) 오경(五經)을 기반으로 한 과거제도 시스템을 구축했다. 성...

      명 태조 주원장(朱元璋)은 정권을 공고히 하고 사상을 통제하기 위해 유가의 도통과 정주이학(程朱理學)을 제창하면서 사서(四書) 오경(五經)을 기반으로 한 과거제도 시스템을 구축했다. 성화(成化) 이후 팔고문의 형식이구체화되면서 팔고취사제(八股取士制)가 실질적으로 시행되었다. 따라서 유학의 경의(經義)는 국가가 정해준 지식의 범주였고, 팔고문은 제도의 문체이자 지식인들의 글쓰기 방식이었다. 이처럼 팔고취사제와 사서오경은 명 청시기 약 500여 년 동안 고대 중국의 취사(取士) 시스템이자 관방 지식의 토대가 되었다. 팔고문은 제도의 문체이자 지식이므로 제도적 문학적 측면에서 ‘제도와 지식인’의 상관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연구 대상 중의 하나이다. 제도적 측면에서는 팔고취사제를 통한 과거시험의 내용과 팔고문 형식을 살펴보고,문학적 측면에서는 팔고문 창작과 문풍 폐단 및 지식인과 제도의 관계 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고에서 제도와 지식(인)의 범주에서 ‘제도-지식인-지식’이란 틀로 분석하고자 하는 이유이다. 본고는 제도와 지식(인)이라는 범주에서 ‘제도[과거제도]-지식인[사인]-지식[팔고문]-문풍’의 틀 위에서 명대 과거제도와 팔고취사제, 지식인의 팔고문 창작, 문풍(文風)의 폐단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주요 내용은 크게 과거제도와 팔고취사제, 팔고문의 특징과 사례, 제도와 문풍의 폐단, 제도와 지식인 상관성 등 네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명대 팔고취사제와 지식의 범주, 지식인의 시문(時文) 창작, 폐단과 원인 및 제도와 지식(인)의 상관성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질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Ming Dynasty, to consolidate political power and control thought, Zhu Yuan Zhang (Taizhu),the Emperor, promoted confucian orthodoxy and Cheng Zhu Li xue (程朱理學), and then workedout Imperial Exam system based on Four Books and Five Classics (...

      In Ming Dynasty, to consolidate political power and control thought, Zhu Yuan Zhang (Taizhu),the Emperor, promoted confucian orthodoxy and Cheng Zhu Li xue (程朱理學), and then workedout Imperial Exam system based on Four Books and Five Classics (四書五經). After the ChengHua (成化) period, the form of Ba Gu Wen (eight-part essays) was embodied and Ba Gu Qu Shi(八股取士制, a system that selects officials according to imperial exam) system was implemented. Accordingly, Confucian classics argumentation (經義) was nationally prescribed as the category ofknowledge for the exam and Ba Gu Wen the writing style, which then became writing style forthe intellectuals. In this way, Ba Gu Qu Shi (八股取士制) and Four Books and Five Classics (四書五經) became the foundation for officials selecting system and officially prescribed knowledge forabout 500 years in Ming and Qing Dynasty in ancient China. Therefore, Ba Gu Wen (八股文) then became official writing style and that of the intellectuals, and study on Ba Gu Wen (八股文) needs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ystem and intellectualsin terms of national system and literature. In the aspect of national system, we should examinethe contents and form of Ba Gu Wen that was adopted for imperial exam (for officials selection)and, in the aspect of literature, we should analyze creation of Ba Gu Wen, negative effects of theliterary spirit,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llectuals and national system. This paper would like to make an analysis on the system of imperial exam, officials selectionsystem according to Ba Gu Wen exam, Ba Gu Wen writing by the intellectuals, negative effectsof such literary spirit, etc. in Ming Dynasty with the frame of ‘national system (imperial examsystem) - intellectuals (members of the literary groups (societies)-knowledge (Ba Gu Wen) -literary spirit’ within the category of national system and knowledge (intellectuals). Main contents should roughly be the system of imperial exam, characteristics and examples ofBa Gu Wen, negative effects of the national system and literary spirit, and relationship betweennational system and intellectuals, which forms four parts. In this process, we should analyze theofficials selection system according to imperial exam, category of knowledge for the exam, BaGu Wen writing by the intellectuals, negative effects and the cause,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system and knowledge (intellectua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과거제도와 팔고취사제 3. 팔고문의 사례 분석 4. 제도와 문풍의 폐단 5. 제도와 지식인의 상관성 6. 결론
      • 1. 서론 2. 과거제도와 팔고취사제 3. 팔고문의 사례 분석 4. 제도와 문풍의 폐단 5. 제도와 지식인의 상관성 6.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學民文化社 1990

      2 왕카이푸(王凱符), "팔고문이란 무엇인가" 글항아리 2015

      3 거자오광(葛兆光), "중국사상사" 일빛 2015

      4 진정(金諍), "중국과거문화사" 동아시아 2003

      5 백광준, "변화의 시대, 변화의 글쓰기 - 明代 隆慶, 萬曆 年間의 八股文" 한국중국어문학회 45 : 33-49, 2005

      6 황지영, "명청 출판과 조선 전파" 시간의 물레 2012

      7 백광준, "명대 과거시험 참고서 출판과 출판시장의 발전" 한국중국어문학회 54 : 93-111, 2008

      8 張濤, "論明末科舉文風的文學效應" 2 : 145-150, 2007

      9 朱子彥, "論復社與晩明科擧" 3 : 141-147, 2009

      10 詞源編輯部, "詞源" 商務印書館 1987

      1 "論語" 學民文化社 1990

      2 왕카이푸(王凱符), "팔고문이란 무엇인가" 글항아리 2015

      3 거자오광(葛兆光), "중국사상사" 일빛 2015

      4 진정(金諍), "중국과거문화사" 동아시아 2003

      5 백광준, "변화의 시대, 변화의 글쓰기 - 明代 隆慶, 萬曆 年間의 八股文" 한국중국어문학회 45 : 33-49, 2005

      6 황지영, "명청 출판과 조선 전파" 시간의 물레 2012

      7 백광준, "명대 과거시험 참고서 출판과 출판시장의 발전" 한국중국어문학회 54 : 93-111, 2008

      8 張濤, "論明末科舉文風的文學效應" 2 : 145-150, 2007

      9 朱子彥, "論復社與晩明科擧" 3 : 141-147, 2009

      10 詞源編輯部, "詞源" 商務印書館 1987

      11 高明揚, "科舉八股文專題研究" 浙江大學 2005

      12 張濤, "科擧與實學 : 明末文社興起的形上依據" 1 : 84-89, 2007

      13 王道成, "科擧史話" 中華書局 1997

      14 金諍, "科擧制度與中國文化" 上海人民出版社 1990

      15 吳晗, "皇權與神權" 天津人民出版社 1988

      16 商衍鎏, "清代科舉考試述錄" 三聯書店 1956

      17 陽達, "清代科舉取士與文人結社" 2 : 95-99, 2015

      18 金春嵐, "明清八股文程式研究" 華東師範大學 2013

      19 王興亮, "明末科舉制下的選文與文社之爭" 3 : 100-102, 2014

      20 何宗美, "明末淸初文人結社硏究" 南開大學出版社 2003

      21 張廷玉, "明史 選擧志" 中華書局 1997

      22 당윤희, "明代의 古文과 時文에 대한 一考 ― 唐宋八大家 古文選集을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역학회 (35) : 127-150, 2014

      23 李玉栓, "明代科擧與文人結社" 3 : 77-85, 2016

      24 陽達, "明代文社與科舉文化" 5 : 94-98, 2010

      25 何宗美, "明代文人結社與文學流派硏究" 人民出版社 2015

      26 李玉栓, "明代文人結社考" 中華書局 2013

      27 李玉栓, "明代文人結社硏究" 復旦大學出版社 2020

      28 顧炎武, "日知錄" 上海古籍出版社. 1985

      29 顧炎武, "日知錄" 安徽文學出版社 2007

      30 張濤, "文學內律 : 明末文社興起的眞實動因" 1 : 168-171, 2007

      31 何宗美, "文人結社與明代文學的演進(上 下)" 人民出版社 2011

      32 高曉敏, "復社社團文學硏究" 南京大學 2014

      33 王恩俊, "復社硏究" 東北師範大學 2007

      34 陶福履, "常談" 中華書局 1985

      35 脱脱, "宋史" 中華書局 1985

      36 歐陽光, "宋元詩社硏究叢稿" 廣東高等敎育出版社 1996

      37 "孟子" 學民文化社 1992

      38 "大學" 學民文化社 2008

      39 四庫禁毀書叢刊編纂委員會, "四庫禁毀書叢刊" 北京出版社 1997

      40 四庫全書存目叢書編纂委員會, "四庫全書存目叢書" 中華書局 1997

      41 楊愼, "升庵全集" 商務印書館 1937

      42 李調元, "制義科瑣記" 中華書局 1985

      43 陳維昭, "八股文與情思的翅膀" 3 : 42-49, 2020

      44 王凱符, "八股文槪說" 中國和平出版社 1991

      45 王凱符, "八股文概說" 中華書局 2002

      46 박영희, "八股文 論議 속의 ‘雅’와 ‘俗’" 중국어문학회 (14) : 304-323, 2003

      47 吳承學, "八股史題" 2 : 27-36, 2004

      48 "中庸" 學民文化社 2008

      49 劉海峰, "中國科舉史" 東方出版中心 2004

      50 柏樺, "中國官制史" 東方出版中心 2006

      51 郭英德, "中國古代文學史通論" 北京師範大學出版社 2017

      52 쉬지린(許紀霖), "20세기 중국의 지식인을 말하다1" 도서출판 길 2011

      53 박영순, "1920년대 국학연구와 학술관념의 변화 ― 북경대학연구소 國學門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연구회 (63) : 419-443,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