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교회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신약성서에 나타난 ‘라오스(λα?? 백성)’의 의미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를 설명한다. ‘(하나님의)백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658021
서울 :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5
학위논문(석사) --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 신학과 , 2015. 2
2015
한국어
서울
iii, 72 p. ; 26 cm
지도교수: 최재덕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교회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신약성서에 나타난 ‘라오스(λα?? 백성)’의 의미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를 설명한다. ‘(하나님의)백성’...
본 논문은 교회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신약성서에 나타난 ‘라오스(λα?? 백성)’의 의미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를 설명한다. ‘(하나님의)백성’이라는 주제가 구약의 포괄적인 이미지이며, 성서(구약과 신약) 전체를 관통하는 약속과 성취로서의 교회를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구약성서에서는 히브리어 ‘암’과 ‘고이’가 ‘백성’으로 번역된다. ‘암’이 하나님과 선택받은 민족 간의 관계로 쓰여질 때면 그 의미는 ‘하나님의 백성’이고 그것은 곧 ‘이스라엘’을 지칭한다. 또한 ‘하나님의 백성’은 다윗 왕국이 무너졌음에도 불구하고 열조의 하나님께 순종하는 자는 하나님의 백성이 될 것이라는 비전을 보여주고 있다. 70인역에서 ‘암’은 대부분 헬라어 ‘라오스’로 번역된다.
신약성서의 저자들은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라오스’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을까? 본 연구에서는 하나님의 백성이 구약시대의 아브라함 혈통에서 신약의 교회로 어떻게 연속성을 갖게 되는지가 확인된다. 즉 마태, 마가, 누가, 요한, 그리고 바울이 유대인과 이방인을 포함한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형성되는 하나님의 백성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갖고 있는지 발견된다. ‘라오스’는 더 이상 혈통적 이스라엘을 향해서만 쓰는 용어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형성된 성도들의 무리(교회)를 가리킨다.
나아가 ‘라오스’가 그리스도 공동체(교회)를 가리킬 때 사용되는 본문들에 대한 주석적 연구를 한다(히 4:1-11, 11:23-28; 벧전 2:4-10; 계 21:1-8). 이를 통해서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는 어떤 공동체가 되어야 하는지를 살펴보게 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