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과학 5∼6학년군 탐구단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 Study of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nquiry Unit in Fifth- and Sixth-Grade Science Textbo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793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5∼6학년군 탐구단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관해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있는 초등학교에서 5∼6학년군 탐구단...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5∼6학년군 탐구단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관해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있는 초등학교에서 5∼6학년군 탐구단원을 지도한 5, 6학년 초등학교 교사 108명을 대상으로 의견을 조사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5∼6학년군 탐구단원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5∼6학년군 탐구단원을 지도한 후 교사들은 이 단원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이었고, 통합과학 탐구기능을 기르는데도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다. 또한 이 단원을 지도 한 후 다른 단원을 지도할 때에도 학생들의 탐구학습에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5∼6학년군 탐구단원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현행 5∼6학년군 탐구단원의 탐구 주제가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탐구주제의 어려움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단원의 차시분량에도 현행대로 유지하는 것에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으며, 탐구활동에도 학생들이 대체로 흥미로워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그러나 단원을 지도할 때 어려워하는 교사도 32.4%가 있었다. 단원의 지도에서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을 그대로 지도한다는 응답이 47.2%, 재구성하여 가르친다는 응답은 40.7%로 비슷하였다. 교과서에 제시된 실험방법, 사진, 삽화 자료에 대한 효과와 추가로 읽기 자료 등을 제시할 필요성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nquiry unit in fifth- and sixth-grade science textbook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this study, 108 fifth- and sixth-grade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gi provin...

      This study investigate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nquiry unit in fifth- and sixth-grade science textbook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this study, 108 fifth- and sixth-grade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In this study, first,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the inquiry unit were investigated.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this unit was indicated, and it was recognized that it effectively developed integrated science inquiry skills. After completing the unit, the teachers recognized its effectiveness for promoting student inquiry-learning for other units. Second, the teachers’ opinions on the guidance of the inquiry unit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were investigated. The inquiry unit’s topic was considered appropriate, although negative opinions on the difficulties of the inquiry topic were also presented. Overall, teachers supported maintaining the size of the unit, and it was reported that the students were generally interested in the inquiry activities. However, 32.4% of the respondents had difficulty teaching a unit. Additionally, 47.2% answered that they taught the contents presented in the textbook as is, and 40.7% indicated that they taught by restructuring, marking a similar rate. In addition, they responded positively to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al methods, photos, and illustration materials presented in the textbook, as well as the need to present additional reading materia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