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나라 답토양(畓土?)의 실용적분류(?用的分類)에 관(?)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사질답(砂質畓) 분류(分類)에 관(?)하여 = Studies on the Interpretative Classification of Paddy Soils in Korea I :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Sandy Paddy Soi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7532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저위(低位) 생산답중(生産畓中)에서 분포면적(分布面積)이 가장 넓고 개량(改良)의 효과(?果)가 큰 사질답(砂質畓)의 분포상태(分布?態) 및 실용적(?用的) 분류(分類)와 더불어 현재(現在) ...

      저위(低位) 생산답중(生産畓中)에서 분포면적(分布面積)이 가장 넓고 개량(改良)의 효과(?果)가 큰 사질답(砂質畓)의 분포상태(分布?態) 및 실용적(?用的) 분류(分類)와 더불어 현재(現在) 널리 쓰이고 있는 답류형별(畓類型別) 분류체계(分類?系)의 개선(改善)을 위한 사질답(砂質畓) 유형분류(類型分類) 시안(試案)을 시도(試圖)하여 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현재(現在) 이용(利用)되고 있는 기준(基準)에 의(依)한 사질답(砂質畓)의 잠재생산력(?在生産力)은 보통답(普通畓)의 86%이었고 생산력(生産力)의 변이정도(?異程度)가 커서 유형재분류(類型再分類)의 필요성(必要性)이 있었다. 2. 현재(現在) 이용(利用)되고 있는 답유형(畓類型) 구분기준중(?分基準中) "사질답(砂質畓)"은 토성(土性)이 사질(砂質)이더라도 습답(?畓)인 경우(境遇)와 염농도(?濃度)가 높은 경우(境遇)에는 제외(除外)되고 있으므로 "객토대상지(客土?象地)" 추천(推薦)이 복잡(複雜)하고 제염(除?)되거나 배수조건(排水條件) 변화시(?化時)에 유형(類型)을 변경분류(?更分類)해야 하였다. 3. 본(本) 연구(硏究)에서 제안(提案)한 사질답분류(砂質畓分類) 시안(試案)에서는 토성(土性)이 사질(砂質)인 모든 답토양(畓土?)을 포함(包含)시켰으며 수량(收量)에 영향(影響)이 큰 특성(特性)을 기준(基準)하여 개(個)의 아형(?型)(산화용탈형(酸化溶脫型) 사질답(砂質畓); 건답형(乾畓型), 산화환원중간형(酸化還元中間型) 사질답(砂質畓); 반습답형(半?畓型), 환원집적형(還元集積型) 사질답(砂質畓); 습답형(?畓型), 환원염해형(還元?害型), 사질답(砂質畓), 염해형(?害型))으로 재분(再分)하였고 각아형(各?型)은 토성계별(土性系別)로 토양통(土?統)과 연결(連結)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시안(試案)의 분류단계(分類段階)는 형(型)(사질답(砂質畓))-아형(?型)(4개(個))-토성계(土性系)(5등급(等級))-토양통(土壤?)(48개통(個統))으로 되었다. 4. 시안(試案)과 같이 사질습답(砂質?畓)과 사질염해답(砂質?害畓)을 사질답(砂質畓)의 일부(一部)에 포함(包含)시켜 생산력(生産力)의 변이정도(?異程度)를 검정(?定)해 본 결과(結果)는 현행(現行) 체계(?系)에 의(依)한 것보다 개선(改善)되엇다. 5. 전국(全?)의 사질답(砂質畓) 면적(面積)은 409,902ha로서 총(?) 답면적(畓面積)의 32.3%에 해당(該?)되며 시안(試案)대로 분류(分類)하면 38.9%(492,982ha)에 달(達)하였고 절대면적(絶?面積)이 많은 지역(地域)은 경기(京畿)(88,923ha), 전북(全北)(69,717ha), 경북(慶北)(55,390ha) 순(順)이었고 답면적(畓面積) 전체(全?)에 대(?)한 상대적(相?的) 비율(比率)이 높은 지역(地域)은 강원(江原)(58.9%), 경기(京畿)(50.5%), 충북(忠北)(48.5%), 전북(全北)(41.0%)의 순(順)이며 시안(試案)에 의(依)하면 사질답(砂質畓) 면적(面積)은 더욱 높아져서 강원도(江原道)의 경우(境遇)에는 71.4%가 사질질답(砂質質畓)에 해당(該?)되었다. 6. 사질답(砂質畓)은 답토양(畓土?) 적성등급(適性等級)의 3급지(級地)(69.1%)와 4급지(級地)(29.2%)에 대부분(大部分)이 해당(該?)되었으며 3급지중(級地中)에서는 "3사질(砂質)"(53.3%), 4급지중(級地中)에서는 "4경사(傾斜)"(16.0%)에 해당(該?)하는 토양(土?)이 가장 많았다. 토성계(土性系)(Texture family)별(別)로는 사양질계(砂?質系)(Coarse loamy family)가 59.2%로 대부분(大部分)이었고 징사(徵砂) 사양질계(砂?質系)(Coarse silty)인 것도 전체(全?)의 16.1%에 달(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istribution and practical classification of sandy paddy soils, which have the most extensive acreage among low productive paddy soils in Korea and have distinctive improvement effects, were studied to propose a tentative new classification system...

      The distribution and practical classification of sandy paddy soils, which have the most extensive acreage among low productive paddy soils in Korea and have distinctive improvement effects, were studied to propose a tentative new classification system of sandy textured paddy soils as a means of improving the "Paddy Soil Type Classification" scheme us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otential productivity of sandy textured paddy soils was about 86% of normal paddy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relatively high indicating that the properties of soils included were not sufficiently homogeneous. 2. As the poorly drained and halomorphic (> 16 mmhos/cm of E.C. at $25^{\circ}C$) sandy soils are not included in the "Sandy Soil" type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Soil Type Classification", the recommendation of "adding clay earth" become complicated, and the soil type have to change when the salts washed away or due to ground water table fluctuations. 3. Coarse textured soils were entirely included in the "Sandy Soils" in the tentative criteria of sandy soil classification proposed, and the sandy soils were subdivided into 4 subtypes that is "Oxidized leaching sandy paddy", Red-ox. intergrading sandy paddy", "Reduced accumulating sandy paddy" and "Reduced halomorphic sandy paddy". The system of sandy soil classification proposed were consisted of following categories; Type (Sandy paddy)-Sub-type (4)-Texture family (5)-Soil series (48). 4. The variation of productivities according to the proposed scheme was more homogenized than that of the present device. 5. The total extent of sandy paddy soils was 409, 902 ha (32.3% of total paddy) according to the present classification system, but the extent reached 492,983 ha (38.9%) by the proposed system. The provinces of Gyeong-gi (88.923ha), Jeon-bug (69.717 ha), Gyeong-bug (55.390 ha) have extensive acreage of sandy paddy soils, and the provinces that had high ratio of sandy paddy soils were Gang-weon (58.9%), Gyeong-gi (50.5%), Chung-bug (48.5%), Jeon-bug (41.0%) etc. The ratio was increased by the proposed scheme, e.g. 71.4% in the case of Gang-weon prov. 6. According to the suitability group of paddy soils, the sandy soils mostly belong to 3 class (69.1%) and 4 class (29.2%). Coarse loamy textural family (59.2%) and coarse silty (16.1 %) soils were dominantly distributed. 7. The "Red-ox. intergrading subtype" of sandy paddy pertinent to 49.6% (245,012 ha) while the "Oxidized leaching sub-type" reaches to 33.5% (64,890 ha) and the remained 16.9% (83,081ha) belong to "Reduced accumulating sub-type (14.0%) and "Reduced halomorphic sub-type (2.9%)" according to the proposed schem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