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평가를 위한 정지신호 과제의 적용 = Application of Stop-Signal Task for Evaluation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958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및 방법 : ADHD환아에 있어 뇌의 전두엽의 기능인 실행기능 중 특히 억제기능을 가장 잘 측정하는 것으로 알려진 정지신호과제를 사용하여 실제로 정지신호를 ADHD환아에게 적용하...

      연구목적 및 방법 :
      ADHD환아에 있어 뇌의 전두엽의 기능인 실행기능 중 특히 억제기능을 가장 잘 측정하는 것으로 알려진 정지신호과제를 사용하여 실제로 정지신호를 ADHD환아에게 적용하였을 때 정상 아동과 비교하였을 때 ADHD의 전두엽의 실행기능 중 억제 기능의 이상을 실질적으로 반영하는 검사인지, 증상의 정도와 수행결과는 어떤 연관성을 보이는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연속수행 검사와는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과잉행동의 유무와 수행의 연관성은 어떠한지 그리고 부가적으로 정지신호과제의 ADHD진단에 있어서의 판별력은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전두엽의 기능을 반영하는지와 임상에서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ADHD군 40명과 대조군 18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 과 :
      대조군과 ADHD군의 비교에서는 정지신호과제의 수행 성적은 상대적 종결속도의 Z점수(ZRFT)와 블록당 평균 지연시간(mean delay×block), 그리고 일차 반응시간(primary-RT)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ADHD군과 대조군의 연속수행검사(CPT)의 수행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는 변인은 없었다.
      또한 두 검사간의 상관성에 있어서는 정지신호반응시간(SSRT)와 CPT의 정반응시간이 그리고 primary-RT와 일차반응시간의 표준 편차(primary-SD)가 CPT의 민감도와 정반응시간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정지신호과제 수행과 한국형 주의력결핍 장애 평가 척도 - 가정판(ADDES-HV)과의 상관도에서는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낸 것은 없었다.
      나이와 지능에 따른 정지신호과제의 경향분석에서 유의하게 경향성을 나타낸 것은 지에 따른 차이에서는 primary-SD였으며 나이에 따른 차이에서는 SSRT였다(p<0.05). 여기에서 지능과 primary-SD와의 관계는 지능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다 어느 정도에서 더 이상 감소하지 않았으며, 나이와 정지신호반응시간과의 관계는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시간이 짧아지다가 어느 정도에서 더 이상 감소하지 않는 추세를 보였다.
      정지신호과제의 판별력 검증에서 mean delay×block과 primary-RT가 가장 높은 판별력(각각 75%)을 나타냈으며 그 외 억제율(P-inhibit)은 63.89%, SSRT는 58%, ZRFT는 67%, primary-SD는 58%의 판별력을 보였다.
      ADDH 환아를 대상으로 과잉행동이 있는 군과 없는 군으로 나누어 수행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여기에서는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변인은 없었다.
      결 론 :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정지신호과제가 국내에서 사용된다면 향후 임상에서의 ADHD의 선별검사로서 뿐만 아니라 연구에 있어서도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and Method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vailabilities of stop-signal task as a screening test for ADHD and as a research tool. Stop-signal task was applied to 40 ADHD patients and 18 normal children. Followings are the resul...

      Objectives and Method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vailabilities of stop-signal task as a screening test for ADHD and as a research tool. Stop-signal task was applied to 40 ADHD patients and 18 normal children.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DHD group and control group in ZRFT, mean delay×block and primary-RT of stop-signal task performance(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ults of continuous performance test.
      SSRT of stop-signal task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hit reaction time of continuous performance test, and primary-RT and primary-SD with attentiveness and hit reaction time of continuous performance 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cores of ADDES-HV and stop-signal
      task performance.
      In change of primary-SD according to intelligence, primary-SD decreased as
      intelligence increased but made plateau after IQ 110, and in change of SSRT according to age, SSRT decreased as intelligence increased but made plateau after 10 year-old.
      In discriminant ability, mean delay×block and primary-RT showed highest discriminant ability(each 75%). In addition P-inhibit showed 63.89%, SSRT showed 58%, ZRFT showed 67%, and primary-SD showed 58% in discriminant abil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op-signal task performance between ADHD with hyperactivity and ADHD without hyperactivity.
      Conclusions : In this point of view, stop-signal task was proved to be useful research tool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s well as useful screening test too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서론
      • 연구대상 및 방법
      • 1. 연구대상
      • 2. 방법
      • 국문초록
      • 서론
      • 연구대상 및 방법
      • 1. 연구대상
      • 2. 방법
      • 3. 통계분석
      • 결과
      • 1. 연구대상
      • 2. ADHD군과 대조군의 정지신호과제와 CPT 수행성적
      • 3. ADHD의 증상의 정도와 정지신호과제 수행과의 상관도
      • 4. 과잉행동 유무에 따른 정지신호과제의 수행의 결과
      • 5. 정지신호과제의 판별력 검증
      • 고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