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방 후 한의학의 재건과 한의사제도의 성립 =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License System for Oriental Medical Practitioner in Korea, 1945~5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473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민의료법 논의과정에서 한의학은 논쟁의 중심에 있었다. 보건부가 제헌국회에 제출한 ``의사 및 치과의사법``은 한의사를 배제하였다. 보건부는 한의학이 경험의학이고, 따라서 과학적 의...

      국민의료법 논의과정에서 한의학은 논쟁의 중심에 있었다. 보건부가 제헌국회에 제출한 ``의사 및 치과의사법``은 한의사를 배제하였다. 보건부는 한의학이 경험의학이고, 따라서 과학적 의학으로 평가하기 어렵다는 입장이었다. 보건부안이 법률로 채택될 경우 한의학은 사라질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한의학을 지지하는 여론에 힘입어 보건부안은 폐기되었고, 대신에 문교사회위원회가 자체적으로 입안한 ``의사 및 의업(醫業)법``이 상정되었다. 한의사들은 이 안이 한의사를 포함하고 있는 점에서는 평가를 하였지만, 자신들을 서양의사와 동등한 의료인으로 인정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불만을 토로하였다. 제2대 국회로 이월된 의료법 논의에서 한의학의 과학성 여부는 다시 토론의 핵심이 되었다. 비판자들에게 한의학은 서양의학의 기초 분야를 포함하지 않은 비과학적 의학이었다. 하지만 반대 의견 역시 강했다. 수천 년을 이어진 한의학의 역사가 거론되었고, 일제의 탄압 대상이었던 만큼 민족 부활의 상징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한의학의 실용성도 지목되었다. 한약은 국가와 국민 경제에 이익이 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한의학에 가장 우호적인 요인은 부족한 의료현실이었다. 서양의사들이 대도시를 중심으로 개업하고 있고, 한의사들이 농촌지역의 주요 의료인력으로 활동하고 있는 현실은 한의학에 우호적인 여론을 낳는 배경이 되었다. 무의촌 해결이 가장 중요한 의료문제로 대두되는 상황에서, 더욱이 국회의원들이 자신의 지역 이해를 대변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한의학 배제는 추진하기 힘든 시도였다. 결국 제2대 국회는 1951년 의사와 치과의사를 제1종, 한의사를 제2종, 보건원, 조산원, 간호원을 제3종 의료업자로 나눈 국민의료법을 통과시켰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National Medical Act, at the heart of the debate was Oriental Medicine. "The Medical Doctor and Dentist Law" 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to the National Assembly denied the professional legitimacy of Oriental me...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National Medical Act, at the heart of the debate was Oriental Medicine. "The Medical Doctor and Dentist Law" 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to the National Assembly denied the professional legitimacy of Oriental medical practitioners. The Department of Health was critical of Oriental Medicine, believing it to be empirical medicine; thus, Oriental Medicine struggled to be seen as scientific medicine. Had the plan of the Department of Health been adopted, Oriental Medicine would have disappeared. However, the plan of the Department of Health failed due to public opinion supporting Oriental Medicine, and instead of the plan, the Educational Affairs and Society subcommittee submitted "the Medical Doctor and the Medical Profession Law," which they had drafted autonomously. Oriental medical practitioners welcomed the latter plan because it included them, but they also complained that it did not recognize them as health care providers on par with Western medical practitioners. In the debate over the National Medical Act, which progressed on to the second National Assembly, at the heart of the discussion was whether or not Oriental Medicine was scientific. For critics, Oriental Medicine was unscientific medicine that did not include the basics of Western medical science. However, opposing views were also strong. Supporters of Oriental Medicine drew attention to its thousands-year-old history, some suggesting that because Oriental Medicine had been an object of oppression under Japanese rule, it had to be developed as the symbol of national resurrection. The practicality of Oriental Medicine was also mentioned, as herbal medicine could serve to the benefit of the national economy. However, the poor medical service environment was the most favorable factor for the continuation of Oriental Medicine. The reality that Western medical practitioners were practicing medicine in big cities like Seoul, leaving Oriental medical practitioners to treat people as the main medical human resources in agricultural districts, made public opinion to be in favor of Oriental Medicine. As decreasing the number of doctorless villages was emerging as the most urgent medical issue, and moreover as most congressmen had to represent the interests of the electorate, it was impossible to eliminate Oriental Medicine. Ultimately, the second National Assembly passed the National Medical Act in 1951, which presented Western medical practitioners and dentists with a Type 1 license; Oriental medical practitioners with Type 2; and health nurses, midwives and nurses with Type 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윤재, "해방 후 한의학의 재건과 과학화 논의" 한국역사연구회 (79) : 305-326, 2011

      2 신동원, "해방 이후 북한 한의학의 변천, 1945-1960" 한국과학사학회 25 (25): 147-176, 2003

      3 박윤재, "한국 근대의학의 기원" 혜안 2005

      4 신동원, "조선총독부의 한의학 정책- 1930년대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대한의사학회 12 (12): 2-128, 2003

      5 정근식, "일제하 서양 의료 체계의 헤게모니 형성과 동서 의학 논쟁" 50 : 1996

      6 이유복, "의과대학교육, In 한국현대의학사" 대한의학회 1988

      7 이꽃메, "식민지시기 일반인의 한의학 인식과 의약 이용, In 한의학, 식민지를 앓다" 아카넷 222-231, 2008

      8 대한한의사협회, "대한한의사협회 사십년사" 1989

      9 대한의학협회, "대한의학협회85년사" 1993

      1 박윤재, "해방 후 한의학의 재건과 과학화 논의" 한국역사연구회 (79) : 305-326, 2011

      2 신동원, "해방 이후 북한 한의학의 변천, 1945-1960" 한국과학사학회 25 (25): 147-176, 2003

      3 박윤재, "한국 근대의학의 기원" 혜안 2005

      4 신동원, "조선총독부의 한의학 정책- 1930년대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대한의사학회 12 (12): 2-128, 2003

      5 정근식, "일제하 서양 의료 체계의 헤게모니 형성과 동서 의학 논쟁" 50 : 1996

      6 이유복, "의과대학교육, In 한국현대의학사" 대한의학회 1988

      7 이꽃메, "식민지시기 일반인의 한의학 인식과 의약 이용, In 한의학, 식민지를 앓다" 아카넷 222-231, 2008

      8 대한한의사협회, "대한한의사협회 사십년사" 1989

      9 대한의학협회, "대한의학협회85년사"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DONG BANG HAK CHI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3 1.2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0.97 2.15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