海雲崔致遠(857∼?)은 9세기 바닷길을 통한 羅唐간의 문화교류를 대표하는 인물일 뿐만 아니라 한국 漢文學의 비조로 추앙받는 인물이다. 때문에 최치원에 대한 연구는 문학, 철학, 역사 등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61899
2015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03-235(33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海雲崔致遠(857∼?)은 9세기 바닷길을 통한 羅唐간의 문화교류를 대표하는 인물일 뿐만 아니라 한국 漢文學의 비조로 추앙받는 인물이다. 때문에 최치원에 대한 연구는 문학, 철학, 역사 등 ...
海雲崔致遠(857∼?)은 9세기 바닷길을 통한 羅唐간의 문화교류를 대표하는 인물일 뿐만 아니라 한국 漢文學의 비조로 추앙받는 인물이다. 때문에 최치원에 대한 연구는 문학, 철학, 역사 등 다양한 방면에서 진행되어 많은 성과물을 내고 있다. 하지만 그의 행적을 해양실크로드와 연관시켜 진행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다행히 최치원은 『桂苑筆耕集』卷20에 수록한 七言絶句15수와 七言律詩15수가 884년 10월 양주를 떠나 다음해 3월 신라의 왕도 경주에 도착하기까지 귀국길에 창작한 것임을 밝히고 있다.
본문에서는 최치원 선생의 『桂苑筆耕集』 뿐만 아니라 『孤雲集』?등에 수록된 작품 중, 귀국시기에 지어진 시를 분석하여 그가 이용한 황해항로를 살펴보고 시에 드러난 최치원의 심경을 살펴보았다. 먼저 황해항로의 西端揚州에서 중국 동해안에 이르는 大運河길을 통해 귀국을 즈음한 최치원의 복잡한 심경과 함께 강남지역의 사회상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항해에 필요한 순풍을 기다리기 위해 한겨울을 바닷가에서 보냈던 최치원의 시를 통해 항해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종교와 삶을 유추하였다. 마지막 장에서는 황해항로에 대해 고찰하고 慶州의 모습을 통해 바닷길을 통한 문화교류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경제적인 측면이 강조된 남양해양실크로드와 달리 신라와 당을 연결하는 황해해로의 특징은 문화교류에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oi Chi Won(857∼?), also known by his pen names as Haeun and Goun, is not only a person who represents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two dynasties, the Silla-Tang (羅唐) through the Sea Route in the ninth century, but also one of the most rev...
Choi Chi Won(857∼?), also known by his pen names as Haeun and Goun, is not only a person who represents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two dynasties, the Silla-Tang (羅唐) through the Sea Route in the ninth century, but also one of the most revered figures as the progenitor of Sino-Korean literature (漢文學) in Korea. For this reason, the studies on Choi Chi Won are being carried out and have achieved a number of products in various fields, such as literature, philosophy, and history. There is, however, only few works conducted on his deeds in connection with the Maritime Silk Road. Fortunately, Choi Chi Won expressed that the poems in his twenty-volume work, 『桂苑筆耕集』Gyewon Pilgyeonjip : Plowing the Gassia Grove with a Writing Brush were composed during the return voyage from the time he left Yangzh?u (?州) in October of the year 884 to the time he arrived at Gyeongju, the capital of the Silla Dynasty in March of the next year. Those poems are fifteen verses written in quatrain with seven chinese characters in each line (七言絶句) and the other fifteen poems which includes eight-line verse with seven-chinese characters each (七言律詩).
This thesis explores the Yellow Sea Route that Choi Chi Won made a voyage on and how his mind was expressed in his poems by analyzing his poetry written during the homecoming. The analysis includes 『孤雲集』 The collection of Goun’s poetical work as well as 『桂苑筆耕集』Gyewon Pilgyeonjip, in the body. At first, it aims to read Choi’s complicated emotions around the time when he returned back home through the Grand Canal on the Yellow Sea Route from the western end of Yangzh?u linking to the eastern coast of China. It also endeavors to dissect social aspects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Yangtze River. Furthermore, religions and the lives of the people engaged in navigation will be analogized through Choi’s poetry which was composed on the seaside as he waited for a tailwind to continue his voyage. In the last chapter, the modality of the cultural exchange through the Maritime Silk Road is explored by contemplating the Yellow Sea Route and Gyeongju. From this work, it is assured that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Yellow Sea Route, connecting the Silla and Tang Dynasties, is the cultural exchang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South Sea-Maritime Silk Road in which economic aspects are emphasiz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문경, "한중문화교류와 남방해로" 국학자료원 1997
2 조영록, "한중문화교류와 남방해로" 국학자료원 1997
3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9권 통일신라" 탐구당 1996
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권" 지식산업사 2009
5 "최치원 연구총서 4권 고운 최치원의 시문학"
6 "최치원 연구총서 3권 고운 최치원의 역사관"
7 "최치원 연구총서 2권 고운 최치원의 철학 종교사상"
8 "최치원 연구총서 1권 고운 최치원의 종합적 조명"
9 손보기, "장보고와 청해진" 혜안 1996
10 "고운국제교류사업회"
1 김문경, "한중문화교류와 남방해로" 국학자료원 1997
2 조영록, "한중문화교류와 남방해로" 국학자료원 1997
3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9권 통일신라" 탐구당 1996
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권" 지식산업사 2009
5 "최치원 연구총서 4권 고운 최치원의 시문학"
6 "최치원 연구총서 3권 고운 최치원의 역사관"
7 "최치원 연구총서 2권 고운 최치원의 철학 종교사상"
8 "최치원 연구총서 1권 고운 최치원의 종합적 조명"
9 손보기, "장보고와 청해진" 혜안 1996
10 "고운국제교류사업회"
11 이기동, "韓國史市民講座35권" 일조각 2004
12 金宗直, "靑丘風雅"
13 司馬光, "資治通鑑"
14 김동준, "歸國期 崔致遠 漢詩의 自負와 壯心에 대하여 桂苑筆耕 卷20에 수록된 漢詩 30수에 대한 독해" 진단학회 (112) : 265-290, 2011
15 崔致遠, "桂苑筆耕集" 한국고전번역원 2010
16 徐居正, "東文選"
17 安鼎福, "東史綱目"
18 서성, "晩唐 七言律詩와 新羅 漢詩" 중국어문연구회 (37) : 49-72, 2008
19 전기웅, "新羅의 멸망과 景文王家" 혜안 2010
20 권덕영, "新羅遣唐使의 羅唐間往復航路에 대한 考察" 149 : 1996
21 무함마드 깐수, "新羅西域交流史" 단국대학교출판부 1994
22 歐陽脩, "新唐書"
23 김문경, "張保皐시대의 해상활동과 교역" 장보고와 청해진 1996
24 崔致遠, "孤雲集" 한국고전번역원 2009
25 崔致遠, "孤雲崔致遠詩集" 민속원 1997
26 "全唐詩"
27 圓仁, "入唐求法巡禮行記" 중심 2001
28 元稹, "元稹集"
29 龔纓晏, "中國"海上絲綢之路"硏究百年回顧" 浙江大學出版社 2011
30 一然, "三國遺事"
31 金富軾, "三國史記"
32 정수일, ""해상실크로드의 개념검토"" 2014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5 | 0.62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