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다문화 가정과 일반 가정의 부모 문해행동과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 간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955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parents’ literacy behaviors and children’s emergent literacy skills as well as their relationship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with four- to six-year-old children.
      Fifty-one children and their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fifty-one children and their mothers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Seoul or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ents’ literacy behaviors were measured using the Parent’s Literacy Behavior Rating Scale (PLBRS; Kim, Lee, & Yoo, 2014). Children’s vocabulary of emergent literacy was measured using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Kim, Hong, Kim, Chang, & Lee, 2009). Children’s Korean alphabet knowledge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alphabet knowledge test (Choi, 2007) and writing skills were measured using the Writing Development Test(Kim, Lee, & Yoo, 2013). The mothers enrolled in this study were instructed to fill out the PLBRS at home and submit them to the institution, while the vocabulary, Korean alphabet knowledge, and writing skills test were administered by well-trained testers on each child at the institution.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tests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literacy behaviors between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mothers.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performed literacy behaviors(e.g., helping to read books and environment prints, helping to write) for their children less frequently than did those of non-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mergent literacy skills between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children. Compared to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d smaller vocabulary, lower Korean alphabet knowledge scores for the principles of consonant addition and alphabet composition, and lower writing scores.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literacy behavior and children’s vocabulary in both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and parents’ literacy behavior was associated with children’s knowledge about principles of alphabet composition and writing skills in non-multicultural famili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arents’ literacy behaviors, such as providing opportunities to their children to read books and environmental prints and to write were associated with children‘s emergent literacy skills in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s parents’ literacy behaviors and children’s emergent literacy skills as well as their relationship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with four- to six-year-old children. Fifty-one children and their ...

      This study investigates parents’ literacy behaviors and children’s emergent literacy skills as well as their relationship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with four- to six-year-old children.
      Fifty-one children and their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fifty-one children and their mothers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Seoul or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ents’ literacy behaviors were measured using the Parent’s Literacy Behavior Rating Scale (PLBRS; Kim, Lee, & Yoo, 2014). Children’s vocabulary of emergent literacy was measured using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Kim, Hong, Kim, Chang, & Lee, 2009). Children’s Korean alphabet knowledge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alphabet knowledge test (Choi, 2007) and writing skills were measured using the Writing Development Test(Kim, Lee, & Yoo, 2013). The mothers enrolled in this study were instructed to fill out the PLBRS at home and submit them to the institution, while the vocabulary, Korean alphabet knowledge, and writing skills test were administered by well-trained testers on each child at the institution.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tests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literacy behaviors between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mothers.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performed literacy behaviors(e.g., helping to read books and environment prints, helping to write) for their children less frequently than did those of non-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mergent literacy skills between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children. Compared to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d smaller vocabulary, lower Korean alphabet knowledge scores for the principles of consonant addition and alphabet composition, and lower writing scores.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literacy behavior and children’s vocabulary in both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and parents’ literacy behavior was associated with children’s knowledge about principles of alphabet composition and writing skills in non-multicultural famili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arents’ literacy behaviors, such as providing opportunities to their children to read books and environmental prints and to write were associated with children‘s emergent literacy skills in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만 4∼6세 유아를 자녀로 둔 다문화 가정과 일반 가정 부모의 문해행동과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을 알아보고, 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경기도에 거주하는 다문화 가정 유아 51명과 일반 가정 유아 51명 및 그 어머니였다. 부모 문해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김명순, 이민주와 유정은(2014)이 개발한 부모 문해행동 평정척도(Parent’s Literacy Behavior Rating Scale [PLBRS])와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 중 어휘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김영태, 홍경훈, 김경희, 장혜성, 이주연, 2009)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모 지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모 지식 검사(최나야, 2007)를 사용하고 쓰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쓰기 발달 검사(김명순, 이민주, 유정은, 2013)를 사용하였다. 부모 문해행동 설문지는 어머니가 각 가정에서 작성하도록 한 후 기관에서 회수하였으며 어휘력 검사, 자모 지식 검사와 쓰기 능력 검사는 연구자가 기관을 방문하여 유아에게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이후 수집된 자료로 t 검증을 하고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과 일반 가정의 부모 문해행동은 차이가 있었다. 다문화 가정 부모는 일반 가정 부모보다 유아를 위한 책 읽기 지원, 환경 인쇄물 지원, 쓰기 지원과 같은 문해행동을 더 적게 하였다.
      둘째, 다문화 가정과 일반 가정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은 차이가 있었다. 다문화 가정 유아는 일반 가정 유아보다 어휘력이 낮고, 자음 가획 및 자모 합성 원리와 관련한 자모 지식 점수가 낮았으며, 쓰기 능력 점수도 낮았다.
      셋째, 다문화 가정과 일반 가정 모두 부모가 가정에서 문해행동에 대한 지원을 많이 할수록 유아의 수용 및 표현 어휘력 점수가 높았다. 일반 가정의 경우 부모의 문해 지원 행동이 많을수록 유아의 자모 합성 원리에 관한 자모 지식, 유아의 쓰기 능력 점수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다문화 가정과 일반 가정 부모가 유아에게 책, 환경 인쇄물, 쓰기와 관련된 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부모 문해행동은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과 관련이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만 4∼6세 유아를 자녀로 둔 다문화 가정과 일반 가정 부모의 문해행동과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을 알아보고, 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경기도에 거주...

      본 연구는 만 4∼6세 유아를 자녀로 둔 다문화 가정과 일반 가정 부모의 문해행동과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을 알아보고, 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경기도에 거주하는 다문화 가정 유아 51명과 일반 가정 유아 51명 및 그 어머니였다. 부모 문해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김명순, 이민주와 유정은(2014)이 개발한 부모 문해행동 평정척도(Parent’s Literacy Behavior Rating Scale [PLBRS])와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 중 어휘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김영태, 홍경훈, 김경희, 장혜성, 이주연, 2009)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모 지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모 지식 검사(최나야, 2007)를 사용하고 쓰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쓰기 발달 검사(김명순, 이민주, 유정은, 2013)를 사용하였다. 부모 문해행동 설문지는 어머니가 각 가정에서 작성하도록 한 후 기관에서 회수하였으며 어휘력 검사, 자모 지식 검사와 쓰기 능력 검사는 연구자가 기관을 방문하여 유아에게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이후 수집된 자료로 t 검증을 하고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과 일반 가정의 부모 문해행동은 차이가 있었다. 다문화 가정 부모는 일반 가정 부모보다 유아를 위한 책 읽기 지원, 환경 인쇄물 지원, 쓰기 지원과 같은 문해행동을 더 적게 하였다.
      둘째, 다문화 가정과 일반 가정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은 차이가 있었다. 다문화 가정 유아는 일반 가정 유아보다 어휘력이 낮고, 자음 가획 및 자모 합성 원리와 관련한 자모 지식 점수가 낮았으며, 쓰기 능력 점수도 낮았다.
      셋째, 다문화 가정과 일반 가정 모두 부모가 가정에서 문해행동에 대한 지원을 많이 할수록 유아의 수용 및 표현 어휘력 점수가 높았다. 일반 가정의 경우 부모의 문해 지원 행동이 많을수록 유아의 자모 합성 원리에 관한 자모 지식, 유아의 쓰기 능력 점수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다문화 가정과 일반 가정 부모가 유아에게 책, 환경 인쇄물, 쓰기와 관련된 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부모 문해행동은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과 관련이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