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복합유기용제 장기 노출자들의 골수충실도 평가를 위한 자기공명영상의 계량적 활용 = Quantitative Assessment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the Noninvasive Evaluation of Bone Marrow Cellularity in Workers with Long-term Exposure to Solv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6120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 자기공명영상은 골수의 지방세포와 조혈세포간의 분퐁 차이를 신호강도 차이로 구분할 수 있어 골수 충성도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 저자들은 유기용제에 장기간 노출된 조선업체 ...

      목 적 : 자기공명영상은 골수의 지방세포와 조혈세포간의 분퐁 차이를 신호강도 차이로 구분할 수 있어 골수 충성도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 저자들은 유기용제에 장기간 노출된 조선업체 도장공 및 대조군을 대상으로 비참습적인 방법으로 골수 충실도를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기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8녀 8월부터 2000년 1월까지 조선소 도장공 중 1개 대학병원에서 유기용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골수검사 결과 저세포성 골수로 진단 받은 환자 6명(남자 5명, 여자 1명; 평균연령 환자군 46.5세)을 대상으로 말초혈액이 혈액학적 검사, 골수검사 및 요추부 자기공명영상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동일 병원에서 요추부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한 환자 132명(남 67명, 여자 65명, 연령 평균 42.5세, 범위 30-59세)을 선정하였다. 요추부 자기공명영상은 T1 및 T2 강조영상의 시상 단면에서 제 12 흉추부터 제 1 천추사이의 추체에서 각반드시 신호강도를 기록하였다. 기준 부위로는 동일 단면의 척추주위근 및 지방조직의 산호강도를 이용하여 각 부위에서 측정한 신호강도를 나누어 골수 신호강도지표를 구하였다.
      결 과 : 환자군의 골수 충실도는 20.33-33.6 %이었고 혈액검사상 백혈구수는 2,100-7,600/㎣이었다. 환자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각 지표는 제 12흉추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차 감소하였다가 제 4 요추 이후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환자군과 대조군간의 골수 신호강도지표를 비교하였을 때 T1 강조영상에서 척추주위근을 기준으로 한 골수 신호강도지표가 환자군과 대조군간의 차이를 가장 잘 반영하였으며 환자군이 모든 추체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0.05, p<0.01). 대조군의 골수 신호강도지표는 T1 강조영상이 척추주위근을 기준으로 측정하였을 때 여성에서 연령 증가에 따라 모든 측정점에서 골수 신호강도지표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30대와 50대간의 차이는 유의하였다. (p<0.05, p<0.01). 성별에 따른 골수 신호강도지표는 근육을 기준으로 한 골수 신호강도지표에서는 보이지 않았으나 비장을 기준으로 한 골수 신호강도지표는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다변량 선형회귀분석에서 연령 및 성별을 보정하였을 때 T1 강조영상의 근육을 기준으로 한 골수 신호강도지표는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제 1 천추에서 0.364 더 높았다. 제 1 천추의 T1 근육을 기준으로 한 골수 신호강도지표의 연령 성별 평균+1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6명 중 5명이 그 이상이 분포를 보여 두 군간의 차이가 가장 뚜렷하였다.
      결 론 : 저자들은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골수 충실도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였고 정상 참고치를 제시하였다. 골수 신호강도지표는 지방조직 함량, 골밀도함께 칼슘 등의 영향을 동시에 반영하지만 이러한 영향을 적절히 보정할 경우 고위험집단에서 골수 충실도를 평가하는데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보다 좋은 지표의 개발을 위하여 충분한 표본수를 가진 저세포성 골수 환자집단을 대상으로 후속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 To develop a quantitative and noninvasive method of bone marrow cellularity evaluation in solvent exposed painters. Methods : Six painters (mean 46.5 years, 5 males and one female with hypocellular marrow, and 132 controls were examined ...

      Objectives : To develop a quantitative and noninvasive method of bone marrow cellularity evaluation in solvent exposed painters.
      Methods : Six painters (mean 46.5 years, 5 males and one female with hypocellular marrow, and 132 controls were examined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 full examination of the peripheral blood and a bone marrow biopsy was done on each patient. Signal intensities were measured at the vertebral bodies from T12 to S1 on both the T1 and the T2-weighted image (T1WI and T2WI). Signal indices were calculated by dividing the signal indeces of the vertebral bodies by that of the paraspinal muscle and the subcutaneous fat in the same view.
      Results : The Bone marrow cellularities of the cases painters were between 20.3 % and 33.6 %. Signal indices based on the muscle at T1WI were greater in the cases of the painters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s (p<0.05, p<0.01). Signal indices based on the muscle at T1WI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lder women compared with men (p<0.05). After adjusting for age and gender, the signal index of cases at S1 based on muscle of T1WI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s by 0.364. Five of the six cases had a muscle signal index at S1 of T1WI higher than the mean + 1 standard deviation for the same age group and gender.
      Conclusions : MR signal indices are influenced by constitutional factors such as fat content. bone density, and the presence of other pathology. However, after adequate adjustment, it can be used as a useful indicator of bone marrow cellularity in a high-risk popul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