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무현 정부의 지방분권정책 평가 = An Empirical Analysis of Government Size in Kim DJ Gover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500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paper attempts to evaluate the decentralization policy of the President Rho's regime in terms of its project plans, institutions, and implement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present regime exceeds previous regimes in that its policies are basically more comprehensive and progressive.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spective projects, however, is disappointing not to mention the imbalance in the distribution of decentralization projects and inefficiency of the propeller institution. This necessitates a reinforced governmental effor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nned projects. Very serious is that the present regime pursues decentralization policy and regional balance policy separately, notwithstanding the fact that those two are conflictual--the former strengthens local autonomy but the latter reinforces centralization. A remedy should be found in reconciliating the two conflictual policies by linking their parallel projects and institutions.
      번역하기

      This paper attempts to evaluate the decentralization policy of the President Rho's regime in terms of its project plans, institutions, and implement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present regime exceeds previous regimes in that its policies are basical...

      This paper attempts to evaluate the decentralization policy of the President Rho's regime in terms of its project plans, institutions, and implement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present regime exceeds previous regimes in that its policies are basically more comprehensive and progressive.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spective projects, however, is disappointing not to mention the imbalance in the distribution of decentralization projects and inefficiency of the propeller institution. This necessitates a reinforced governmental effor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nned projects. Very serious is that the present regime pursues decentralization policy and regional balance policy separately, notwithstanding the fact that those two are conflictual--the former strengthens local autonomy but the latter reinforces centralization. A remedy should be found in reconciliating the two conflictual policies by linking their parallel projects and institu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논문은 노무현 정부의 분권정책(지방자치정책)을 추진과제, 기구 및 추진성과로 나누어 개괄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전반적으로 볼 때, 추진과제의 기획 또는 선정은 과제의 포괄성, 전향성 등에 있어서는 역대 어느 정부보다 긍정적으로 평가되지만, 추진과제의 불균형성, 추진체계의 비효율성 등과 함께 계획의 실천이 미흡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는 향후 분권과제의 실천을 위한 정책노력이 배가될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균형발전정책을 분권정책과 연계하여 논할 때 이같은 유보적 평가조차 내리기 어렵게 된다. 분권정책과 균형발전정책의 병렬추진은 정책목표가 상충하는 정책을 병렬 추진한다는 계획상의 한계, 균형발전을 별도로 추진하는 만큼 분권의지를 침해하게 된다는 점에서 치유하기 어려운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양 정책의 병렬적 추진은 실천 이전에 계획부터 근본적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균형발전정책의 실천노력 강화가 오히려 문제가 된다. 이에 대한 치유책은 양 정책을 병렬적으로 추진하여 불필요한 부작용을 증폭시키기보다는 통합적인 시각에서 정책과제와 추진기구의 유기적 연계를 찾는 것으로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노무현 정부의 분권정책(지방자치정책)을 추진과제, 기구 및 추진성과로 나누어 개괄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전반적으로 볼 때, 추진과제의 기획 또는 선정은 과제의 포괄성, 전향...

      본 논문은 노무현 정부의 분권정책(지방자치정책)을 추진과제, 기구 및 추진성과로 나누어 개괄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전반적으로 볼 때, 추진과제의 기획 또는 선정은 과제의 포괄성, 전향성 등에 있어서는 역대 어느 정부보다 긍정적으로 평가되지만, 추진과제의 불균형성, 추진체계의 비효율성 등과 함께 계획의 실천이 미흡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는 향후 분권과제의 실천을 위한 정책노력이 배가될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균형발전정책을 분권정책과 연계하여 논할 때 이같은 유보적 평가조차 내리기 어렵게 된다. 분권정책과 균형발전정책의 병렬추진은 정책목표가 상충하는 정책을 병렬 추진한다는 계획상의 한계, 균형발전을 별도로 추진하는 만큼 분권의지를 침해하게 된다는 점에서 치유하기 어려운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양 정책의 병렬적 추진은 실천 이전에 계획부터 근본적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균형발전정책의 실천노력 강화가 오히려 문제가 된다. 이에 대한 치유책은 양 정책을 병렬적으로 추진하여 불필요한 부작용을 증폭시키기보다는 통합적인 시각에서 정책과제와 추진기구의 유기적 연계를 찾는 것으로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영평, "참여정부의 지방분권정책 평가와 시민사회의 과제" 3-26, 2003

      2 오재일, "참여정부의 분권화 정책과 지역사회의 대응" 한국행정학회 2003

      3 권해수, "참여정부 행정개혁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6 (16): 35-56, 2005

      4 최진혁, "참여정부 지방분권화 정책(지방분권 로드맵)의 발전적 비평" 한국행정학회 참여정부 지방분화 정책 : 2003

      5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참여정부 지방분권의 비젼과 추진방향 제5회 국정과제회의 보고자료"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3

      6 소영진, "참여와 분권을 위한 정부조직과 운영 노무현 정부의 분권혁신추진방향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행정학회 2004

      7 소진광, "지방자치와 지역발전" 박영사 2005

      8 이창균, "지방분권과 로칼미니멈론 새로운 지방분권사상의 모색" 121-137, 1995

      9 임승빈, "지방분권과 국토균형간의 조화" 한국정책학회소식 2003

      10 김순은, "지방분권 개혁의 단계별 제도적 이슈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서울행정학회 2004

      1 전영평, "참여정부의 지방분권정책 평가와 시민사회의 과제" 3-26, 2003

      2 오재일, "참여정부의 분권화 정책과 지역사회의 대응" 한국행정학회 2003

      3 권해수, "참여정부 행정개혁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6 (16): 35-56, 2005

      4 최진혁, "참여정부 지방분권화 정책(지방분권 로드맵)의 발전적 비평" 한국행정학회 참여정부 지방분화 정책 : 2003

      5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참여정부 지방분권의 비젼과 추진방향 제5회 국정과제회의 보고자료"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3

      6 소영진, "참여와 분권을 위한 정부조직과 운영 노무현 정부의 분권혁신추진방향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행정학회 2004

      7 소진광, "지방자치와 지역발전" 박영사 2005

      8 이창균, "지방분권과 로칼미니멈론 새로운 지방분권사상의 모색" 121-137, 1995

      9 임승빈, "지방분권과 국토균형간의 조화" 한국정책학회소식 2003

      10 김순은, "지방분권 개혁의 단계별 제도적 이슈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서울행정학회 2004

      11 심익섭, "정부혁신 지방분권위원회의 성과와 과제" 대한지방행정공제회 2004

      12 이승종, "분권과 균형발전" 17 (17): 73-100, 2003

      13 김천영, "노무현정부의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 정책방향 제고 추진체계를 중심으로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정부정책의 신뢰와 책임성" 한국행정학회 2003

      14 곽채기, "국가경쟁력과 국가균형발전 지방분권의 상충성 및 해결방안" 한국행정학회 2003

      15 염명배, "「지방분권」및 「국가균형발전」과 지방재정- 국세· 지방세 재분배문제를 중심으로 -" 한국재정학회 18 (18): 23-48, 2004

      16 Gur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17 Beberly Hills, "The decline of urban politics Poltical theory of the crisis of the local state" 1987

      18 양영철, "3대 특별법 제정과 국토와 균형발전 지방분권특별법 제정과 분권적 국가발전 전략 국토연구원" 2004

      19 이종원, "2004 지방행정을 결산한다 참여정부 지방분권에 대한 평가" 대한지방행정공제회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32 1.3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