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백제 사비기 1탑1금당식 사찰의 조영 양상과 변화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작성되었다. 1탑1금당식 사찰은 유적의 입지, 출토 유물, 문헌기록을 통해 볼 때 백제 사비기 사찰의 전형으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백제 사비기 1탑1금당식 사찰의 조영 양상과 변화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작성되었다. 1탑1금당식 사찰은 유적의 입지, 출토 유물, 문헌기록을 통해 볼 때 백제 사비기 사찰의 전형으로 ...
본고는 백제 사비기 1탑1금당식 사찰의 조영 양상과 변화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작성되었다. 1탑1금당식 사찰은 유적의 입지, 출토 유물, 문헌기록을 통해 볼 때 백제 사비기 사찰의 전형으로 판단되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가람배치와 목탑 심초부조성방식의 변화가 간취된다.
1탑1금당식 사찰의 가람배치는 평평한 대지의 중심축선상에 탑, 금당, 강당을 차례로 배치하는 것을 기본 구조로하여 그 양옆으로 동·서 회랑 및 동·서 건물, 동·서부속건물, 북회랑이 배치되는 특징을 가진다. 사비천도 전후에 동·서 회랑 북편에 동·서건물, 강당 양옆에 동·서부속건물이 배치되다가 7세기 경 동·서부속건물이북회랑으로 대체되며 7세기 전반에는 미륵사와 같이 탑과 금당을 배치하는 공간을여러 개 두는 형태로 변화한다.
목탑의 심초석은 지하에서 지상으로 그 설치 위치가 변화하면서 심주입주 및사리매납에도 변화가 생기는데, 지하식 심초석이 채용된 6세기 중엽경에는 사리감등 별도의 사리장치를 심초석 상면에 심주와 나란히 배치하는 형태이며, 6세기 후엽에는 반지하식 또는 지상식 심초석이 채용되면서 심초석과 유사한 별도의 사리장치석을 지하에 따로 매납하고 남단에 사리공을 마련하는 과도기적 양상이 나타난다. 또한 별도의 심초석 없이 사리매납과 심주입주가 지하에서 이루어지는 양상도 확인된다. 7세기 이후에는 지상에 시설된 심초석 중앙에 사리공을 마련하는 형태로 정형화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龍井里寺址" 1993
2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陵寺-부여 능산리사지 제10차 발굴조사 보고서" 2008
3 국립부여박물관, "陵寺-부여 능산리사지 6∼8차 발굴조사 보고서" 2007
4 국립부여박물관, "陵寺" 2000
5 정자영, "한국 고대 목탑의 기단 및 심초부 축조기법에 관한 고찰" 국립문화재연구소 (40) : 105-135, 2007
6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한․중․일 고대사지 비교연구(2)-금당지편" 2010
7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한․중․일 고대사지 비교연구(1)-목탑지편" 2009
8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익산 제석사지 제2차 발굴조사 현장설명회자료" 2009
9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익산 제석사지 제1차 발굴조사 약보고" 2008
10 원광대학교박물관, "익산 왕궁리 전 와요지(제석사지폐기장)" 2006
1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龍井里寺址" 1993
2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陵寺-부여 능산리사지 제10차 발굴조사 보고서" 2008
3 국립부여박물관, "陵寺-부여 능산리사지 6∼8차 발굴조사 보고서" 2007
4 국립부여박물관, "陵寺" 2000
5 정자영, "한국 고대 목탑의 기단 및 심초부 축조기법에 관한 고찰" 국립문화재연구소 (40) : 105-135, 2007
6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한․중․일 고대사지 비교연구(2)-금당지편" 2010
7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한․중․일 고대사지 비교연구(1)-목탑지편" 2009
8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익산 제석사지 제2차 발굴조사 현장설명회자료" 2009
9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익산 제석사지 제1차 발굴조사 약보고" 2008
10 원광대학교박물관, "익산 왕궁리 전 와요지(제석사지폐기장)" 2006
11 소재윤, "웅진 사비기 百濟 수막새에 대한 編年 硏究-금강유역을 中心으로" 호남고고학회 23 : 5-34, 2006
12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부여 정림사지 제9차 발굴조사 현장설명회자료" 2009
13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부여 정림사지 제8차 발굴조사 약보고" 2008
14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부여 정림사지 정비복원 고증기본조사 백제 불교사 및 고고학연구 용역 결과 보고서" 2009
15 윤무병, "부여 정림사지 연지 발굴조사 보고서" 충남대학교박물관 1987
16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부여 왕흥사지 발굴조사(제4차)약보고" 2004
17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부여 왕흥사지 발굴조사(제2차)약보고" 2002
18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백제폐사지" 2008
19 정자영, "백제의 심초 및 사리봉안" 국립문화재연구소 41 (41): 109-125, 2008
20 문명대, "백제불상의 형식과 내용, in 百濟의 彫刻과 美術" 1991
21 국립부여박물관, "백제목간, in 소장품조사자료집" 2008
22 국립부여박물관, "백제가람에 담긴 불교문화, in 국립부여박물관 특별전 도록" 2009
23 김성남, "백제 사비왕궁의 확대와 변모 과정 시론, in 백제의 왕궁" 2007
24 국립문화재연구소, "미륵사지석탑 해체 복원 보고서" 2004
25 國立文化財硏究所, "미륵사지석탑 사리장엄" 2009
26 金正基, "韓國古代伽藍의 實態와 考察, in 蕉雨黃壽永博士古稀紀念美術史學論叢" 1988
27 윤무병, "金剛寺" 國立博物館 1969
28 忠南大學校博物館, "聖住寺" 1998
29 圓光大學校馬韓·百濟硏究所, "益山帝釋寺址試掘調査報告書" 1994
30 李炳鎬, "百濟泗沘都城의 經營과 區劃" 서울대학교대학원 2001
31 梁銀景, "百濟泗沘期佛敎寺刹에 대한 연구" 2009
32 北野耕平, "百濟時代寺院址の分布と立地, in 百濟文化と飛鳥文化" 吉川弘文館 1978
33 김길식, "百濟始祖仇台廟와 陵山里寺址 -`仇台廟에서 廟寺로" 한국고고학회 (69) : 44-93, 2008
34 淸水昭博, "百濟「大通寺式」수막새의 성립과 전개-中國 南朝系 造瓦技術의 전파-" 백제연구소 38 : 57-83, 2003
35 조원창, "百濟 木塔址 編年과 軸基部 築造技法에 관한 硏究" 한국건축역사학회 17 (17): 65-82, 2008
36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王興寺址Ⅲ-木塔址金堂址發掘調査報告書" 2009
37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王興寺址Ⅲ-木塔址金堂址發掘調査報告書" 2009
38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王興寺址Ⅱ" 2007
39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王興寺Ⅰ" 2002
40 박순발, "熊津遷都背景과 泗沘都城造成過程, in 백제도성의 변천과 연구상의 문제점"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2
41 박순발, "泗沘都城硏究現況과 課題, in 百濟泗沘時期文化의 再照明" 2005
42 藤島亥次郞, "朝鮮建築史論, in 朝鮮の建築" 日本建築學會 1931
43 佐川正敏, "日本木塔基壇의 構築技術復原과 心礎設置形式의 변천에 관한 연구" 백제연구소 (44) : 261-286, 2006
44 箱崎和久, "日本古代寺院におけゐ木塔柱配置と立体復元" 東北學院 大學學術硏究會 (40) : 2006
45 忠淸南道, "扶餘臨江寺址" 2007
46 朝鮮古蹟硏究會, "扶餘軍守里廢寺址發掘調査, in 昭和十一年度古蹟調査報告" 1937
47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扶餘軍守里寺址" 2010
48 忠南大學校博物館, "扶餘官北里百濟遺蹟發掘報告(Ⅱ)" 1999
49 이병호, "扶餘 陵山里寺址 伽藍中心部의 變遷 過程" 한국사연구회 (143) : 35-76, 2008
50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扶蘇山城-廢寺址發掘調査報告" 1996
51 國立文化財硏究所, "彌勒寺址石塔" 2003
52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彌勒寺Ⅱ" 1996
53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彌勒寺Ⅰ" 1989
54 윤무병, "定林寺" 충남대학교박물관․충청남도 1981
55 金聖雨, "三金堂形式의 起源" 4 (4): 1988
56 목정배, "三國時代의 佛敎" 동국대학교출판부 1989
57 김성우, "一塔一金堂形式의 展開" 5 (5): 1989
58 圓光大學校馬韓·百濟硏究所, "(彌勒寺址) 東塔址및西塔調査報告書" 1974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5-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A Laboratory of Korean Studies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 | 0.3 | 0.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6 | 0.38 | 0.553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