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포스트모던 시대에 거대담론으로 취급당하는 기독교윤리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하나의 제안이다. 특별히 기독교적 책임의 윤리에 초점을 맞추어 현대기독교윤리의 과제에 대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 글은 포스트모던 시대에 거대담론으로 취급당하는 기독교윤리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하나의 제안이다. 특별히 기독교적 책임의 윤리에 초점을 맞추어 현대기독교윤리의 과제에 대하...
이 글은 포스트모던 시대에 거대담론으로 취급당하는 기독교윤리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하나의 제안이다. 특별히 기독교적 책임의 윤리에 초점을 맞추어 현대기독교윤리의 과제에 대하여 논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포스트모던 시대의 윤리상황을 위기인 동시에 기회라는 관점에서 파악하고 다원주의적 세계관이 이끌어가는 현대사회의 윤리적 위기의 원인을 도덕적 반실재론에서 찾았다. 반실재론자들은 도덕이란 자연의 질서를 반영하거나 하나님의 명령으로 간주될 것이 아니라 사회와 그 구조에 의해 발명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물론 이러한 주장들에 대해 실재론적 관점에서 다양한 반론이 시도되었지만,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반실재론의 도전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의 하나로 이른바 해석학적 실재론을 수용한 슈바이커의 책임윤리를 근간으로 삼아 도덕적 책임의 의의와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의 이론은 다원주의적 시대에 무시될 수 없는 인간의 보편적 요구들을 출발점으로 삼아 삶을 위한 통전적 가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이 글에서 제안하는 논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첫째, 포스트 모던의 시대에 기독교윤리를 위한 논의를 더욱 효과적인 것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반실재론의 도전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반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기독교윤리에 있어서 책임의 개념과 의의에 관한 논의가 더욱 심화되고 풍요로워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 글을 이러한 논의의 단초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0.25 | 0.25 | 0.24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0.28 | 0.27 | 0.486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