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미세 기포를 이용한 피부 세정 특성 평가 = Evalu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kin Cleansing by Micro Bubb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4368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실험은 피부 위생과 건강의 첫 단계인 피부 세정에 새로운 초미세 기포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계면활성제가 함유된 세정제의 잦은 피부 접촉으로 유발되는 피부 자극 및 건조를 예방할 수 있는 대안적 세정 방법으로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함이다. 마이크로 버블의 세정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자극 표지 물질로 알려진 SLS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세정제를 비교 실험 하였다. 평가 항목은 피부 생리적인 측면을 평가하기 위해 입수 전 후 수분량과, 세정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오염물의 제형을 3가지 파우더(아이새도우), 수용성 착색제(틴트), 오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그리고 피부 병리적인 측면을 평가하기 위해 피부 표면 미생물 제균 능력을 인체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피부 수분량은 마이크로 버블을 적용한 실험군의 수분량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실험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자각 증상에서 SLS 계면활성제를 적용한 오른쪽에 인설과 건조함이 나타났다. 이것은 계면활성제의 친수와 소수에 작용하는 계면 화학적 특성이 작용하였을 것이라 생각된다. 세정 특성 평가를 위한 제형별 오염물 제거능에서는 파우더(아이새도우), 수용성 착색제(틴트), 오일의 3가지 항목에서 파우더와 수용성 착색제는 마이크로 버블의 세정능력이 더 높았으며, 오일은 SLS 세정제가 더 효과적이었다. 마이크로 버블에 적용된 부상특성으로 인해 파우더와 수용성 착색제 제거능이 다소 우수 하였다고 추측된다. 오일의 경우 물에 대한 반발력이 작용하는 특성으로 마이크로 버블의 물리적 특성이 계면활성제의 표면장력을 이기지 못한 결과라고 보여진다. 병리적인 측면을 평가하기 위한 피부 표면 미생물 제거능에서는 평균값의 근소한 차이와 p>.05 으로 SLS 세정제와 마이크로 버블의 제거능력이 유의하지 않았다. 미생물 제거능은 고찰에서 언급한대로 개체 간 작용하는 변수의 정확한 요인 파악에 어려움이 있으며 개체 간 특성이 높게 작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계면활성제와 유사한 세정능력을 보이는 마이크로 버블을 적용한 세정 모델이 향후 피부 미용과 세정으로 인해 유발 가능성을 가진 피부 질환자의 대안적 세정 방법으로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번역하기

      본 실험은 피부 위생과 건강의 첫 단계인 피부 세정에 새로운 초미세 기포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계면활성제가 함유된 세정제의 잦은 피부 접촉으로 유발되는 피부 자극 및 건조를 예방할 ...

      본 실험은 피부 위생과 건강의 첫 단계인 피부 세정에 새로운 초미세 기포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계면활성제가 함유된 세정제의 잦은 피부 접촉으로 유발되는 피부 자극 및 건조를 예방할 수 있는 대안적 세정 방법으로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함이다. 마이크로 버블의 세정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자극 표지 물질로 알려진 SLS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세정제를 비교 실험 하였다. 평가 항목은 피부 생리적인 측면을 평가하기 위해 입수 전 후 수분량과, 세정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오염물의 제형을 3가지 파우더(아이새도우), 수용성 착색제(틴트), 오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그리고 피부 병리적인 측면을 평가하기 위해 피부 표면 미생물 제균 능력을 인체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피부 수분량은 마이크로 버블을 적용한 실험군의 수분량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실험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자각 증상에서 SLS 계면활성제를 적용한 오른쪽에 인설과 건조함이 나타났다. 이것은 계면활성제의 친수와 소수에 작용하는 계면 화학적 특성이 작용하였을 것이라 생각된다. 세정 특성 평가를 위한 제형별 오염물 제거능에서는 파우더(아이새도우), 수용성 착색제(틴트), 오일의 3가지 항목에서 파우더와 수용성 착색제는 마이크로 버블의 세정능력이 더 높았으며, 오일은 SLS 세정제가 더 효과적이었다. 마이크로 버블에 적용된 부상특성으로 인해 파우더와 수용성 착색제 제거능이 다소 우수 하였다고 추측된다. 오일의 경우 물에 대한 반발력이 작용하는 특성으로 마이크로 버블의 물리적 특성이 계면활성제의 표면장력을 이기지 못한 결과라고 보여진다. 병리적인 측면을 평가하기 위한 피부 표면 미생물 제거능에서는 평균값의 근소한 차이와 p>.05 으로 SLS 세정제와 마이크로 버블의 제거능력이 유의하지 않았다. 미생물 제거능은 고찰에서 언급한대로 개체 간 작용하는 변수의 정확한 요인 파악에 어려움이 있으며 개체 간 특성이 높게 작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계면활성제와 유사한 세정능력을 보이는 마이크로 버블을 적용한 세정 모델이 향후 피부 미용과 세정으로 인해 유발 가능성을 가진 피부 질환자의 대안적 세정 방법으로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the experiment where the new ultra micro bubble process applies to the cleansing process which is the first step of the health and sanitation of skin. This experiment is conducted to prove the appropriateness of the application of this alternative cleansing method which is able to protect skin stimulus and dryness caused by the frequent skin contact with cleansing stuff containing a surfactant. In order to grade the cleansing capability of micro bubble, the cleansing stuff containing a SLS surfactant which is known as a stimulus signal matter was comparatively experimented. the items of measurement were as follows. In order to rate the aspect of skin physiology, all the contaminative matte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 powder(eye shadow), a water-soluble colorant(tint) and oil and tested them in order to know the cleansing peculiarity and the amount of moisture before and after they were soaked. And in order to rate the aspect of skin pathology, the capability of elimination of the skin surface germs was tested. Though it were revealed that the test group applied with a micro bubble had more moisture in the amount of skin moisture, this didn't show significant. However, in the subjective symptoms of the subjects in this experiment, the comparative group applied with a SLS surfactant made appealed to such more dryness as was observed with scales. This was assumed to be caused by the surface chemistry characteristics with which a surfactant operates on the hydrophilic property and the hydrophobic property. In the function of eliminating all kinds of contaminative matters, among three items such as a powder (eye shadow), a water-soluble colorant (tint) and oil, micro bubble is more excellent in cleansing powder and a water-soluble colorant, and SLS is more efficient in cleansing oil. It is likely that the characteristic of rising to the surface applied to micro bubble enabled the powder and the water-soluble colorant to be eliminated more effectively. In case of oil, it seems that because of the force of repulsion against water, the physical characteristic of micro bubble could not overcome the surface tension of a surfactant. In the amount of eliminating skin surface germs to rate the aspect of skin pathology, because of little difference of the mean values and p>0.05, the eliminating faculties of SLS cleansing stuff and micro bubble were not meaningful. As mention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germs elimination, it was very difficult to grasp the precise factors of working variables between the individuals, and the characteristics between individuals had great effects. These observation that characteristic of cleansing model of micro bubble which were similar to a surfactant in terms of the faculty suggest that micro bubble generators might be utilized for those having cutaneous disorder caused by cleansing as well as for the field of skin beauty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is is the experiment where the new ultra micro bubble process applies to the cleansing process which is the first step of the health and sanitation of skin. This experiment is conducted to prove the appropriateness of the application of this alterna...

      This is the experiment where the new ultra micro bubble process applies to the cleansing process which is the first step of the health and sanitation of skin. This experiment is conducted to prove the appropriateness of the application of this alternative cleansing method which is able to protect skin stimulus and dryness caused by the frequent skin contact with cleansing stuff containing a surfactant. In order to grade the cleansing capability of micro bubble, the cleansing stuff containing a SLS surfactant which is known as a stimulus signal matter was comparatively experimented. the items of measurement were as follows. In order to rate the aspect of skin physiology, all the contaminative matte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 powder(eye shadow), a water-soluble colorant(tint) and oil and tested them in order to know the cleansing peculiarity and the amount of moisture before and after they were soaked. And in order to rate the aspect of skin pathology, the capability of elimination of the skin surface germs was tested. Though it were revealed that the test group applied with a micro bubble had more moisture in the amount of skin moisture, this didn't show significant. However, in the subjective symptoms of the subjects in this experiment, the comparative group applied with a SLS surfactant made appealed to such more dryness as was observed with scales. This was assumed to be caused by the surface chemistry characteristics with which a surfactant operates on the hydrophilic property and the hydrophobic property. In the function of eliminating all kinds of contaminative matters, among three items such as a powder (eye shadow), a water-soluble colorant (tint) and oil, micro bubble is more excellent in cleansing powder and a water-soluble colorant, and SLS is more efficient in cleansing oil. It is likely that the characteristic of rising to the surface applied to micro bubble enabled the powder and the water-soluble colorant to be eliminated more effectively. In case of oil, it seems that because of the force of repulsion against water, the physical characteristic of micro bubble could not overcome the surface tension of a surfactant. In the amount of eliminating skin surface germs to rate the aspect of skin pathology, because of little difference of the mean values and p>0.05, the eliminating faculties of SLS cleansing stuff and micro bubble were not meaningful. As mention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germs elimination, it was very difficult to grasp the precise factors of working variables between the individuals, and the characteristics between individuals had great effects. These observation that characteristic of cleansing model of micro bubble which were similar to a surfactant in terms of the faculty suggest that micro bubble generators might be utilized for those having cutaneous disorder caused by cleansing as well as for the field of skin beauty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이론적 배경 = 2
      • 2-1. 피부 건성화 = 2
      • 2-2. 계면활성제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염 = 4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이론적 배경 = 2
      • 2-1. 피부 건성화 = 2
      • 2-2. 계면활성제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염 = 4
      • 2-3. 마이크로 버블의 원리 = 6
      • 2-4. 피부 오염물의 유형 = 7
      • Ⅱ. 연구 방법 = 9
      • 1. 연구 대상 = 9
      • 2. 실험 설계 = 9
      • 2-1. 피부 수분함유량 측정 = 12
      • 2-2. 이미지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오염물질 제거능 평가 = 13
      • 2-3. 피부 표면 미생물 제균 능력 = 14
      • 3. 분석 방법 = 14
      • Ⅲ. 결과 = 15
      • 1. 마이크로 버블과 SLS 세정제를 적용한 세정 전 후 피부 수분량 비교 = 15
      • 2. 마이크로 버블과 SLS 세정제를 적용한 세정 전 후 제형별 오염 물질 제거능 비교 = 18
      • 2-1. 아이새도우 제거능 비교 = 18
      • 2-2. 틴트 제거능 비교 = 22
      • 2-3. 오일 제거능 비교 = 25
      • 3. 마이크로 버블과 SLS 세정제를 적용한 세정 전 후 피부 표면 미생물 제거능 비교 = 27
      • Ⅳ. 고찰 = 28
      • Ⅴ. 결론 = 31
      • 참고문헌 = 33
      • Abstract = 3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