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중문화사전, 김기란, 최기호, 현실문화연구, , 2009
2. “질병 체험과 서사.”, 황임경, 의철학연구 10: 3-28, , 2010
3. “통증을 강요하는 사회”, 김관욱, 인물과사상 232: 158-172, , 2017
4. “생명윤리에서의 서사의 역할과 의의”, 황임경, 생명윤리 12(1): 1-18, , 2011
5. 한국 여성의 우울증과 만성통증 연구, 정최경희, 보건복지부, , 2015
6. “만성통증환자의 생활경험에 관한 연구”, 허혜경, 한국간호학회지 27(1): 13-25, , 1997
7. “사회학 방법론으로서의 생애사 재구성”, 이희영, 한국사회학 39(3): 120-148, , 2005
8. “비판적 의료인문학과 거꾸로 의학교육.”, 강신익, 의철학연구 25: 87-119, , 2018
9. “의료에서 덕과 실천의 매개로서의 서사”, 김진경, 한국의료윤리학회회 지 14(1): 1-11, , 2011
10. “구술사와 서사의학의 만남, 그 시론적 탐색”, 황임경, 김호연, 의사학 22(2): 357-388, , 2013
1. 대중문화사전, 김기란, 최기호, 현실문화연구, , 2009
2. “질병 체험과 서사.”, 황임경, 의철학연구 10: 3-28, , 2010
3. “통증을 강요하는 사회”, 김관욱, 인물과사상 232: 158-172, , 2017
4. “생명윤리에서의 서사의 역할과 의의”, 황임경, 생명윤리 12(1): 1-18, , 2011
5. 한국 여성의 우울증과 만성통증 연구, 정최경희, 보건복지부, , 2015
6. “만성통증환자의 생활경험에 관한 연구”, 허혜경, 한국간호학회지 27(1): 13-25, , 1997
7. “사회학 방법론으로서의 생애사 재구성”, 이희영, 한국사회학 39(3): 120-148, , 2005
8. “비판적 의료인문학과 거꾸로 의학교육.”, 강신익, 의철학연구 25: 87-119, , 2018
9. “의료에서 덕과 실천의 매개로서의 서사”, 김진경, 한국의료윤리학회회 지 14(1): 1-11, , 2011
10. “구술사와 서사의학의 만남, 그 시론적 탐색”, 황임경, 김호연, 의사학 22(2): 357-388, , 2013
11. “노인 관절염 환자의 보완 대체요법 이용 실태”, 박경숙, 류마티스건 강학회지 10(2): 142-155, , 2003
12. “젠더와 건강: 성인지적 보건정책을 위한 시론”, 정진주, 천희란, 보건행 정학회지 18(2): 130-156, , 2008
13. “시와 의학교육의 만남에 대한 인문의학적 고찰”, 김성리, 코기토 79: 348-374, , 2016
14. “의료인문학교육에서 질병체험서사의 활용방안”, 황임경, Korean J Med Edu 25(2): 81-88, , 2013
15. “질병서사와 치유에 관한 생명-사회-인문학 가설”, 강신익, 의철학연구 20: 35-63, , 2015
16. [2013]. The rejected body: Feminist philosophical reflections on disability, Wendell, S., Psychology Press. 강진영, 김은정, 황지성 역. 거부당한 몸. 그 린비, , 1996
17. 신장이식 수혜 청소년의 질병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김수미, 서울 대학교 간호학과 박사학위논문(미간행), , 2016
18. “마취통증의학분야 연구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2007-2011”, 박미연, 서은경,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2.8: 147-151, , 2012
19.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산업화 시기 한국 어머니의 모성 경험”, 배은경, 페미니즘 연구 8(1): 69-123, , 2008
20. “병원에서의 반말 사용과 여성노인환자의 주체성: 돌봄의 젠더 정치”, 이현정, 비교문화연구 24(2): 397-430, , 2018
21. “문학장르의 경계와 지평: 몸 중심적 사유로서의 서사와 서사중 심의학”, 최혜실, 현대문학이론연구 44: 21-46, , 2011
22. “비교불가문화연구의 인류학: 생의학과 한의학, 인식과 실천의 분지 읽기”, 김태우, 비교문화연구 22(2): 195-223, , 2016
23. “한국 여성노인의 생애이야기 속에 나타난 요실금에 대한 서사 분석 연구”, 이봉숙,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미간행), , 2007
24. “사회분석 범주로서의 ‘젠더’ 개념과 페미니스트 문화 연구: 개 념사적 접근”, 배은경, 페미니즘연구 4(1): 55-100, , 2004
25. “인류학적 현지로서의 한의학: 동아시아의학 연구주제와 인류학 적 한의학연구의 가능성”, 김태우, 비교문화연구 20(2): 139-175, , 2014
26. “근골격계 통증에 따른 양ㆍ한방 의료서비스 및 보완대체 요법 이용실태 비교: 서울, 인천, 경기도를 중심으로”, 정건, 김지현, 보건사회연구 31(4): 478-493, , 2011
27. “아픈 몸에 대한 사회적 낙인은 어디서 오는가: 여성 건강에 사참고 문헌 회적 인식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백영경, 문화와융합 39(3): 193-224, , 2017
28. [2010]. What makes women sick: gender and the political economy of health. London: Macmillan. 김남순 [외] 역. 무엇이 여성을 병들게 하는 가: 젠더와 건강의 정치경제학, Doyal, L., 파주: 한울, ,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