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만성통증 질병서사를 통해 본 젠더화된 질병 체험과 자아 전략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5187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 2020. 2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05.4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Illness narratives on chronic pain in South Korea : fouced on gendered illness experiences and self strategies

      • 형태사항

        xi, 316 p. : 표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수록

      • UCI식별코드

        I804:11032-000000160356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es the illness narratives of South Korean (hereafter, “Korean”) adults with chronic pain and analyzes how the stories of their illness and lives are told. In this paper, their subjective experience of chronic pain interplay with dominant norms of gender, health, age, class and their patienthood is examined and the social meaning of their practices and struggles are analyzed. Narrative analysis is used to engage these accounts. The empirical data of this article consists of qualitative interview of 19 women and 6 men. The interviewees were recruited through a Korean clinic and a biomedical (western) hospital in Seoul.
      Firstly, it was examined how people with chronic pain spoke of their illness experiences and its meanings. In illness narratives, chronic pain is said to be invisible, incomprehensible, unpredictable and uncontrollable. To express their own life with chronic pain and agony is said to be their greatest difficulty experienced in their social relationships. When the interviewees talk about themselves, questions about stigma and social situations that they face are brought up. They reflect on the conditions of living in a sick body in a Korean society, resisting stigmatization along with a body with chronic pain A society where only personal responsibility for health care is emphasized, a society where healthy adult men have become the norm, and a society that excludes the sick, excluding variou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abilities, is said to be the cause of their physical and social suffering.
      Although the experience of chronic pain is difficult to express in words, in their narratives the participants integrate the pain into their lives and identity. “Itai-itai disease” is a metaphor for dying slowly without understanding and treating the pain. “The Ghost is pulling” is a metaphor for intense pain that is unable to express a painful sensation. It is often described as incomprehension of pain as a spiritual transcendence. “A friend who is hard to exorcise” or “A friend who wants to break with” is a metaphor for embracing chronicity and becoming close with. “Karma” is a metaphor for accepting chronic pain from a past life. In Christina ethic, pilgrimages are the process of finding self and truth in sorrow, whereas karma is the process of suffering because of one’s own mistakes. “Wound of honor” is a metaphor for positive self-assessment to cause of pain. It praises oneself for trying so hard that part of the body becomes too much. These metaphors are used as cultural idioms to properly express my life and the inscrutable pain.
      The topics analyzed are narrative structure of illness narrative which consists of recognition, treatment, and adjustment. The narrative of recognition is about myself with an inscrutable chronic pain. The main themes are the invisibility and incomprehension of chronic pain, the depiction of their intense pain, the difficult communicability of chronic pain and loneliness. In the narrative of recognition, the narrative self is defending their chronic pain against distrust. This defense is due to a society that does not believe in women’s pain and speech due to the invisibility and incomprehension of chronic pain rather tha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t is mainly women who had been dependent on their families due to chronic pain.. These women’s vulnerability has been revealed to the family and society.
      The narrative of treatment is about myself who is after repeated treatment, still sick. The experience of gathering hospital information, receiving treatment and seeking better treatment due to uncertainty of treatment becomes the central plot of the story, but the conclusion ends with continuously having with chronic pain, not fully recovered. In the narrative of treatment, the narrative-self is to overcome their own chronic pain. What was done to overcome and what injustice was subjected to are told by men with chronic pain. In the case of women, those who have a relatively stable career are able to find explanations for pain with their labor experiences that puts an emphasis on their subjectivity.
      The narrative of adjustment is about negotiating their social role and expectation. Chronic pain is related to women’s social role and expectation and associated particularly with women who are preoccupied by fulfilling their family member’s requirements and needs as the daughter, wife, mother and daughter-in law. In narrative of adjustment, the narrative self reflects their chronic pain and life. These reflections are extended negotiations of changing physical abilities, social obligations and personal identity, and further questions the social practices and pressure surrounding health and gender norm.
      Social suffering caused by gender prejudice toward their own disease is often talked about for people with chronic pain. Invisible and immeasurable pain lead to doubt on veracity of their suffering. The women’s stories of chronic pain are narrated as a series of distrust, their pain was perceived as “feigned illness” and “fussy” due to the psychological causes. The men’s stories of chronic pain are rarely narrated about their experiences of social stigma, even to their close friends which is seen as “natural” and “no wonder”. The reason for men’s concealment of their chronic pain is due to their pain being experience perceived as “crybaby” and “lack of stickability”. The hegemonic masculinity is based on physical strength, so chronic pain threatens men’s masculinity. Even men and women’s health expectations have become gendered, so gendered stigma caused by chronic pain is being experienced. Social expectations facing sick men and women, as well as social suffering, are associated with intersections between gender, class, age, race and illness.
      Women’s illness narratives involve the process of reshaping women’s social roles and expectations in family and friends. It is named chronic pain management, not selfish behavior, by reconsidering and coordinating gender role expectations in the family. Men’s illness narratives involve the problems of stereotypical norms of masculinity, but aren’t told about the negotiations between marginalized masculinity and masculine self. Men’s stories of chronic pain display the rift between hegemonic masculinity such as rational and self-control, and marginalized masculinity such as physical weakness, their chronic pain.
      “Passing” dilemma which people with chronic pain pretend to be healthy is told in workplace experiences. Due to the invisible and uncontrollable pain, the pain is perceived as if they are “pretending to be ill”, “not dedicated” and “soon-to-be out of work”. Individual responses and strategies are coped with the pain, which are limited and rarely revealed in society.
      Their illness narratives include their own understanding, justification and the struggles of their life with chronic pain. Social stigma combined with moral standards are imposed on them to move on to the society. A society that considers perfect health as norm was asked along with the illusion of being able to control its body. Their narrative strategy goes further from self-accusation and hard-luck story to a society where exclude the body with chronic pain.
      In summation, illness narrative has revealed that the illness experience of those with chronic pain has become gendered, the social suffering and stigma have also gendered, and the narrative strategy has also become gendered.
      This paper analyzes the illness experiences and negotiations of self in the illness narrative of those with chronic pain and reveals how dominant norms of disease, age, class, race, and gender are intersected.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gender dynamics surrounding their illness experiences and speaking practices have been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llness narrative conceals social sufferings of living with invisible pain and necessary social and cultural changes. During life history interview, the healing potential of illness narrative has been identified. This paper studies the illness narratives of those with chronic pain, but should be extended to studies that pay attention to the lives and social suffering of those with various diseases in Korean society.
      번역하기

      This paper focuses the illness narratives of South Korean (hereafter, “Korean”) adults with chronic pain and analyzes how the stories of their illness and lives are told. In this paper, their subjective experience of chronic pain interplay with do...

      This paper focuses the illness narratives of South Korean (hereafter, “Korean”) adults with chronic pain and analyzes how the stories of their illness and lives are told. In this paper, their subjective experience of chronic pain interplay with dominant norms of gender, health, age, class and their patienthood is examined and the social meaning of their practices and struggles are analyzed. Narrative analysis is used to engage these accounts. The empirical data of this article consists of qualitative interview of 19 women and 6 men. The interviewees were recruited through a Korean clinic and a biomedical (western) hospital in Seoul.
      Firstly, it was examined how people with chronic pain spoke of their illness experiences and its meanings. In illness narratives, chronic pain is said to be invisible, incomprehensible, unpredictable and uncontrollable. To express their own life with chronic pain and agony is said to be their greatest difficulty experienced in their social relationships. When the interviewees talk about themselves, questions about stigma and social situations that they face are brought up. They reflect on the conditions of living in a sick body in a Korean society, resisting stigmatization along with a body with chronic pain A society where only personal responsibility for health care is emphasized, a society where healthy adult men have become the norm, and a society that excludes the sick, excluding variou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abilities, is said to be the cause of their physical and social suffering.
      Although the experience of chronic pain is difficult to express in words, in their narratives the participants integrate the pain into their lives and identity. “Itai-itai disease” is a metaphor for dying slowly without understanding and treating the pain. “The Ghost is pulling” is a metaphor for intense pain that is unable to express a painful sensation. It is often described as incomprehension of pain as a spiritual transcendence. “A friend who is hard to exorcise” or “A friend who wants to break with” is a metaphor for embracing chronicity and becoming close with. “Karma” is a metaphor for accepting chronic pain from a past life. In Christina ethic, pilgrimages are the process of finding self and truth in sorrow, whereas karma is the process of suffering because of one’s own mistakes. “Wound of honor” is a metaphor for positive self-assessment to cause of pain. It praises oneself for trying so hard that part of the body becomes too much. These metaphors are used as cultural idioms to properly express my life and the inscrutable pain.
      The topics analyzed are narrative structure of illness narrative which consists of recognition, treatment, and adjustment. The narrative of recognition is about myself with an inscrutable chronic pain. The main themes are the invisibility and incomprehension of chronic pain, the depiction of their intense pain, the difficult communicability of chronic pain and loneliness. In the narrative of recognition, the narrative self is defending their chronic pain against distrust. This defense is due to a society that does not believe in women’s pain and speech due to the invisibility and incomprehension of chronic pain rather tha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t is mainly women who had been dependent on their families due to chronic pain.. These women’s vulnerability has been revealed to the family and society.
      The narrative of treatment is about myself who is after repeated treatment, still sick. The experience of gathering hospital information, receiving treatment and seeking better treatment due to uncertainty of treatment becomes the central plot of the story, but the conclusion ends with continuously having with chronic pain, not fully recovered. In the narrative of treatment, the narrative-self is to overcome their own chronic pain. What was done to overcome and what injustice was subjected to are told by men with chronic pain. In the case of women, those who have a relatively stable career are able to find explanations for pain with their labor experiences that puts an emphasis on their subjectivity.
      The narrative of adjustment is about negotiating their social role and expectation. Chronic pain is related to women’s social role and expectation and associated particularly with women who are preoccupied by fulfilling their family member’s requirements and needs as the daughter, wife, mother and daughter-in law. In narrative of adjustment, the narrative self reflects their chronic pain and life. These reflections are extended negotiations of changing physical abilities, social obligations and personal identity, and further questions the social practices and pressure surrounding health and gender norm.
      Social suffering caused by gender prejudice toward their own disease is often talked about for people with chronic pain. Invisible and immeasurable pain lead to doubt on veracity of their suffering. The women’s stories of chronic pain are narrated as a series of distrust, their pain was perceived as “feigned illness” and “fussy” due to the psychological causes. The men’s stories of chronic pain are rarely narrated about their experiences of social stigma, even to their close friends which is seen as “natural” and “no wonder”. The reason for men’s concealment of their chronic pain is due to their pain being experience perceived as “crybaby” and “lack of stickability”. The hegemonic masculinity is based on physical strength, so chronic pain threatens men’s masculinity. Even men and women’s health expectations have become gendered, so gendered stigma caused by chronic pain is being experienced. Social expectations facing sick men and women, as well as social suffering, are associated with intersections between gender, class, age, race and illness.
      Women’s illness narratives involve the process of reshaping women’s social roles and expectations in family and friends. It is named chronic pain management, not selfish behavior, by reconsidering and coordinating gender role expectations in the family. Men’s illness narratives involve the problems of stereotypical norms of masculinity, but aren’t told about the negotiations between marginalized masculinity and masculine self. Men’s stories of chronic pain display the rift between hegemonic masculinity such as rational and self-control, and marginalized masculinity such as physical weakness, their chronic pain.
      “Passing” dilemma which people with chronic pain pretend to be healthy is told in workplace experiences. Due to the invisible and uncontrollable pain, the pain is perceived as if they are “pretending to be ill”, “not dedicated” and “soon-to-be out of work”. Individual responses and strategies are coped with the pain, which are limited and rarely revealed in society.
      Their illness narratives include their own understanding, justification and the struggles of their life with chronic pain. Social stigma combined with moral standards are imposed on them to move on to the society. A society that considers perfect health as norm was asked along with the illusion of being able to control its body. Their narrative strategy goes further from self-accusation and hard-luck story to a society where exclude the body with chronic pain.
      In summation, illness narrative has revealed that the illness experience of those with chronic pain has become gendered, the social suffering and stigma have also gendered, and the narrative strategy has also become gendered.
      This paper analyzes the illness experiences and negotiations of self in the illness narrative of those with chronic pain and reveals how dominant norms of disease, age, class, race, and gender are intersected.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gender dynamics surrounding their illness experiences and speaking practices have been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llness narrative conceals social sufferings of living with invisible pain and necessary social and cultural changes. During life history interview, the healing potential of illness narrative has been identified. This paper studies the illness narratives of those with chronic pain, but should be extended to studies that pay attention to the lives and social suffering of those with various diseases in Korean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에서 살아가는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의 질병 서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신의 만성통증과 아픈 나 그리고 자기 삶을 어떻게 이야기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만성통증을 지닌 몸에 건강, 질병, 연령, 계급, 젠더, 환자됨과 관련된 규범이 어떻게 교차하는지와 아픈 몸에 대한 어떠한 낙인과 곤경을 만들어내는지와, 이들의 대응과 실천이 지닌 사회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먼저 질병서사에서 만성통증 경험과 의미가 어떻게 이야기되는지 검토하였다. 질병서사에서 만성통증은 비가시적이며 불가해하고 예측불가능하며 통제불가능한 것이라 이야기된다. 질병서사에서 나에 대해 이야기하기는 만성통증을 지닌 나와 나의 삶에 대해 설명하기로 수렴된다. 불가해한 통증, 그러한 통증을 지닌 나를 어떻게 설명하는가는 이들의 사회적 관계에서 경험하는 곤경의 핵심으로 이야기된다. 통증을 지닌 몸으로 살아가기는 몸을 매개로 세계와 어떻게 관계 맺을 것인가라는 세계 속 존재의 문제이다. 이들은 아픈 자신에 대해 이야기할 때 몸을 괄호 친 채 자신을 향한 낙인과 사회적 상황에 대해 질문하기 시작한다. 이들은 통증을 지닌 몸, 그리고 그 몸에 투영된 사회적 인식, 도덕적 특성과 결합된 낙인들에 저항하며 한국 사회에서 아픈 몸으로 살아가는 조건들을 성찰한다. 건강관리의 개인적 책임만이 강조되는 사회, 건강한 성인 남성이 표준이 된 사회, 다양한 신체적 특성과 능력을 고려하지 않아 아픈 이들을 배제하는 사회가 오히려 이들의 신체적 사회적 고통의 원인으로 지적된다.
      이들은 자신을 설명할 수 있는 다채로운 비유의 언어들을 찾아낸다. “이따이이따이”는 통증을 표현할 언어가 없기에 자기 몸의 아픔을 타인에게 전하지 못한 채 서서히 죽어가는 존재라는 비유이다. “귀신이 잡아당기는”은 아픈 감각을 표현하는 언어로 담아내지지 않는 격렬한 통증의 강도와 느낌을 나타내며, 때로는 통증의 불가해함을 영적 초월적 존재로 설명하는 비유이다. 만성성을 수용하며, 통증을 “싸우고 극복해야 할” 존재에서 “일생 떨치기 힘든 친구”, “절교하고픈 친구”라 명명하기도 한다. 이는 통증으로 인한 신체적 고통에도 불구하고 만성통증을 지니고 살아가는 자신의 삶을 수용하며 통증을 단지 고통스러운 경험으로 바라보기보다, 살아가며 경험하는 많은 것들 중 하나로 인식하려 하는 개인적 협상이다. “업보”는 통증을 지닌 몸을 이해하기보다 체념하며 수용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서구 사회에서 투병 과정에 대해 “순례”라 비유하는 것과 달리 “업보”는 “왜 나인가”라는 질문에서 아픔의 원인을 자기 스스로에게 찾는 표현이다. 기독교 윤리 속에서 순례는 고행 속 진리와 자아를 찾아 나가는 과정이라면, 업보는 스스로의 잘못과 과오로 짊어진 고행을 의미한다. “영광의 상처”라는 비유는 고통의 원인에 긍정적 자기 평가를 덧붙여, 통증을 수용하는 방식이다. 이는 몸의 일부가 무리가 갈 정도로 열심히 노력한 자신을 치하하는 표현이다. 이 비유들은 단지 신체에 대한 비유라기보다 통증을 지닌 몸의 체현에 관한 자기 이해를 만들어가는 분투이자 불가해한 통증과 나의 삶을 타인에게 설명하고 전달하는 노력의 결과이다.
      질병서사의 서사구조를 분석하여 도출된 주제는 인정, 치료, 적응이다. 인정의 서사는 불가해한 만성통증을 지닌 나에 대한 이야기이다. 만성통증의 비가시성과 불가해함, 공유불가능성으로 인해 겪는 곤경과 외로움이 주된 내용이다. 인정의 서사의 서사적 자아는 자신의 만성통증을 방어하는 자아이다. 이러한 방어는 여성의 통증과 말을 믿지 않는 사회와 관련된다. 주로 통증이 악화되어 가족에게 의존한 채 지내왔던 여성들이 사용하는 서사로, 이들 여성의 가족 내 취약성이 드러난다.
      치료의 서사는 계속된 치료에도 여전히 아픈 나에 대한 이야기이다. 치료의 불확실성으로 병원 정보를 모으고 치료를 받으며 더 나은 치료를 찾아다니는 경험이 이야기의 중심 플롯이지만, 결론은 완치되지 않은 채 만성통증을 지닌 채 살아가는 나로 마무리된다. 치료의 서사의 서사적 자아는 자신의 만성통증을 투병하는 자아이다. 자신이 극복하기 위해 무엇을 하였고 어떤 부당함을 당했는지 주로 남성이 구성하는 서사이다. 여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안정적 직장으로 통증에 대한 본인의 노동경험으로 설명을 찾을 수 있는 여성들이 자신의 주체성을 강조하며 이야기한다.
      조정의 서사는 사회적 역할과 기대를 협상하는 나에 대한 이야기이다. 만성통증은 인습적 기대에 맞추어 살아온 삶을 돌아보게 하였고, 사회적 역할과 기대에 대한 자아의 협상이 만성통증 치료와 관리법으로 제시된다. 조정의 서사의 서사적 자아는 자신의 만성통증을 성찰하는 자아이다. 성찰하는 자아는 변화하는 육체 능력과 사회적 의무와 끊임없이 협상하며, 나아가 건강, 젠더의 정상성이 만들어내는 사회적 실천들과 압력들에 대해 질문한다.
      만성통증을 지닌 여성과 남성은 자신의 질병을 향한 젠더화된 편견으로 인한 사회적 고통을 이야기한다. 만성통증의 비가시성과 측정불가능성은 고통에 대한 의심을 낳는다. 여성들의 질병서사에서는 “꾀병”이라는 만성통증에 대한 불신과 “까탈”이라는 심리적 원인으로 이야기되는 부당함에 대한 경험이 두드러진다. 남성들의 질병서사에서 사회적 낙인은 좀처럼 이야기되지 않는데, 남성들은 만성통증이라는 질병은 친구여도 말하지 않는 것이 “자연스럽고” “당연한” 것이라 한다. 남성들의 만성통증 숨기기는 “끈기 없는” 남성이라는 낙인과 통증의 비가시성으로 “엄살”이라는 여겨지는 낙인 때문이다. 이는 만성통증과 질병으로 이들의 남성성을 주변화되기 때문이다. 남녀의 건강기대마저 젠더화되어 있기에,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은 젠더화된 낙인을 경험한다. 아픈 남성과 아픈 여성이 직면한 사회적 기대 그로 인한 사회적 고통은 젠더화되어 있으며, 이 경험에는 계급, 젠더, 연령, 인종이 교차한다.
      이들은 삶을 지속하기 위해 변화하는 신체 능력과 사회적 의무 사이 자구책과 자기 협상을 마련한다. 여성들의 질병서사는 가족과 친구 등 친밀한 관계에서 사회적 역할과 기대를 재편하는 과정을 담는다. 여성들은 딸, 아내, 엄마, 며느리라는 역할 기대는 자신의 몸이 과도하게 사용되는 것이 이야기되는 가운데, 어린자녀를 둔 여성들은 “아픈 엄마”로서의 자녀에 대한 미안함과 죄책감을 표현한다. 20-30대 여성들은 만성통증으로 순종적 여성상에서 벗어나 타인의 시선과 평가에서 자유로워졌다는 변화를 이야기한다. 가족 내 젠더화된 역할 기대를 재고하고 조정하는 것을 이기적인 행동이 아닌 만성통증 관리로 명명하기도 한다. 남성들의 질병서사에서 아픈 남성에게 요구되는 젠더화된 기대, 특히 신체적 강인함에 근거한 헤게모니 남성성을 자신이 수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거나 저항한다. 만성통증이라는 신체적 곤경에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자기 통제를 실현하는 남성적 자아를 상연하기도 한다.
      질병서사 속 만성통증은 직업병으로 해석되지만, 일터에서는 숨겨야 하며 건강한 몸인 양 회사에서 요구하는 일의 속도와 업무량을 맞춰야 하는 곤경이 이야기된다. 만성통증의 비가시성과 통제 불가능성으로 이를 맞출 수 없을 때, 헌신성과 자기관리 능력이라는 노동자로서의 자질을 의심받는다. 이들은 개인화된 대응과 전략을 취하고, 이는 제한적이며 사회적으로 좀처럼 드러나지 않는다. 이들은 만성통증이 만들어낸 실존의 위기 속에서 몸이 더 이상 도구가 아닌 삶의 매개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의 질병서사는 아픈 나에 대한 이해와 정당화, 그리고 아픈 몸으로 살아가는 내 삶의 고투를 담는다. 삶을 서사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만성통증을 지닌 자신에게 내려진 도덕적 잣대가 사회에 대한 질문으로 옮겨간다. ‘완벽한 건강’을 정상성으로 여기는 사회, ‘몸을 통제할 수 있다는 환상’에 대해 질문한다. 이들의 서사전략은 자책과 신세타령에서 나아가 만성통증을 지닌 몸으로 살아가는 곤경을 드러내며 몸을 존중하지 않는 사회, 그리고 몸에 대한 젠더화된 기준과 기대를 지적한다.
      본 논문은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의 질병서사 속 만성통증 경험과 자아의 협상을 분석하며 질병, 연령, 계급, 인종, 젠더 등이 어떻게 상호교차 되는지 살펴보며, 이들의 질병 체험과 말하기 실천을 둘러싼 젠더 동학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실천적 의의는 우선, 질병 경험의 말하기/듣기를 통해 이들의 유한한 몸 경험 속 사회적 고통이 무엇이며 어떤 사회문화적 변화가 필요한가를 포착하였다는 점이다. 두 번째 실천적 의의는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의 생애사 인터뷰 과정에서 질병서사의 치유적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의 질병 서사를 연구하였지만, 한국 사회에서 다양한 질병을 지닌 이들의 삶과 사회적 고통에 주목하는 연구로 확장되어야 한다. 질환의 다양한 종류, 발병 나이, 중증도뿐 아니라 계급, 인종, 연령, 가족상황, 직업, 섹슈얼리티, 지역 등에 따라 이들의 질병 경험과 사회적 고통, 낙인이 어떻게 교차하는지 세밀하게 탐구하는 작업이 요청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한국에서 살아가는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의 질병 서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신의 만성통증과 아픈 나 그리고 자기 삶을 어떻게 이야기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만성...

      본 논문은 한국에서 살아가는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의 질병 서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신의 만성통증과 아픈 나 그리고 자기 삶을 어떻게 이야기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만성통증을 지닌 몸에 건강, 질병, 연령, 계급, 젠더, 환자됨과 관련된 규범이 어떻게 교차하는지와 아픈 몸에 대한 어떠한 낙인과 곤경을 만들어내는지와, 이들의 대응과 실천이 지닌 사회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먼저 질병서사에서 만성통증 경험과 의미가 어떻게 이야기되는지 검토하였다. 질병서사에서 만성통증은 비가시적이며 불가해하고 예측불가능하며 통제불가능한 것이라 이야기된다. 질병서사에서 나에 대해 이야기하기는 만성통증을 지닌 나와 나의 삶에 대해 설명하기로 수렴된다. 불가해한 통증, 그러한 통증을 지닌 나를 어떻게 설명하는가는 이들의 사회적 관계에서 경험하는 곤경의 핵심으로 이야기된다. 통증을 지닌 몸으로 살아가기는 몸을 매개로 세계와 어떻게 관계 맺을 것인가라는 세계 속 존재의 문제이다. 이들은 아픈 자신에 대해 이야기할 때 몸을 괄호 친 채 자신을 향한 낙인과 사회적 상황에 대해 질문하기 시작한다. 이들은 통증을 지닌 몸, 그리고 그 몸에 투영된 사회적 인식, 도덕적 특성과 결합된 낙인들에 저항하며 한국 사회에서 아픈 몸으로 살아가는 조건들을 성찰한다. 건강관리의 개인적 책임만이 강조되는 사회, 건강한 성인 남성이 표준이 된 사회, 다양한 신체적 특성과 능력을 고려하지 않아 아픈 이들을 배제하는 사회가 오히려 이들의 신체적 사회적 고통의 원인으로 지적된다.
      이들은 자신을 설명할 수 있는 다채로운 비유의 언어들을 찾아낸다. “이따이이따이”는 통증을 표현할 언어가 없기에 자기 몸의 아픔을 타인에게 전하지 못한 채 서서히 죽어가는 존재라는 비유이다. “귀신이 잡아당기는”은 아픈 감각을 표현하는 언어로 담아내지지 않는 격렬한 통증의 강도와 느낌을 나타내며, 때로는 통증의 불가해함을 영적 초월적 존재로 설명하는 비유이다. 만성성을 수용하며, 통증을 “싸우고 극복해야 할” 존재에서 “일생 떨치기 힘든 친구”, “절교하고픈 친구”라 명명하기도 한다. 이는 통증으로 인한 신체적 고통에도 불구하고 만성통증을 지니고 살아가는 자신의 삶을 수용하며 통증을 단지 고통스러운 경험으로 바라보기보다, 살아가며 경험하는 많은 것들 중 하나로 인식하려 하는 개인적 협상이다. “업보”는 통증을 지닌 몸을 이해하기보다 체념하며 수용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서구 사회에서 투병 과정에 대해 “순례”라 비유하는 것과 달리 “업보”는 “왜 나인가”라는 질문에서 아픔의 원인을 자기 스스로에게 찾는 표현이다. 기독교 윤리 속에서 순례는 고행 속 진리와 자아를 찾아 나가는 과정이라면, 업보는 스스로의 잘못과 과오로 짊어진 고행을 의미한다. “영광의 상처”라는 비유는 고통의 원인에 긍정적 자기 평가를 덧붙여, 통증을 수용하는 방식이다. 이는 몸의 일부가 무리가 갈 정도로 열심히 노력한 자신을 치하하는 표현이다. 이 비유들은 단지 신체에 대한 비유라기보다 통증을 지닌 몸의 체현에 관한 자기 이해를 만들어가는 분투이자 불가해한 통증과 나의 삶을 타인에게 설명하고 전달하는 노력의 결과이다.
      질병서사의 서사구조를 분석하여 도출된 주제는 인정, 치료, 적응이다. 인정의 서사는 불가해한 만성통증을 지닌 나에 대한 이야기이다. 만성통증의 비가시성과 불가해함, 공유불가능성으로 인해 겪는 곤경과 외로움이 주된 내용이다. 인정의 서사의 서사적 자아는 자신의 만성통증을 방어하는 자아이다. 이러한 방어는 여성의 통증과 말을 믿지 않는 사회와 관련된다. 주로 통증이 악화되어 가족에게 의존한 채 지내왔던 여성들이 사용하는 서사로, 이들 여성의 가족 내 취약성이 드러난다.
      치료의 서사는 계속된 치료에도 여전히 아픈 나에 대한 이야기이다. 치료의 불확실성으로 병원 정보를 모으고 치료를 받으며 더 나은 치료를 찾아다니는 경험이 이야기의 중심 플롯이지만, 결론은 완치되지 않은 채 만성통증을 지닌 채 살아가는 나로 마무리된다. 치료의 서사의 서사적 자아는 자신의 만성통증을 투병하는 자아이다. 자신이 극복하기 위해 무엇을 하였고 어떤 부당함을 당했는지 주로 남성이 구성하는 서사이다. 여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안정적 직장으로 통증에 대한 본인의 노동경험으로 설명을 찾을 수 있는 여성들이 자신의 주체성을 강조하며 이야기한다.
      조정의 서사는 사회적 역할과 기대를 협상하는 나에 대한 이야기이다. 만성통증은 인습적 기대에 맞추어 살아온 삶을 돌아보게 하였고, 사회적 역할과 기대에 대한 자아의 협상이 만성통증 치료와 관리법으로 제시된다. 조정의 서사의 서사적 자아는 자신의 만성통증을 성찰하는 자아이다. 성찰하는 자아는 변화하는 육체 능력과 사회적 의무와 끊임없이 협상하며, 나아가 건강, 젠더의 정상성이 만들어내는 사회적 실천들과 압력들에 대해 질문한다.
      만성통증을 지닌 여성과 남성은 자신의 질병을 향한 젠더화된 편견으로 인한 사회적 고통을 이야기한다. 만성통증의 비가시성과 측정불가능성은 고통에 대한 의심을 낳는다. 여성들의 질병서사에서는 “꾀병”이라는 만성통증에 대한 불신과 “까탈”이라는 심리적 원인으로 이야기되는 부당함에 대한 경험이 두드러진다. 남성들의 질병서사에서 사회적 낙인은 좀처럼 이야기되지 않는데, 남성들은 만성통증이라는 질병은 친구여도 말하지 않는 것이 “자연스럽고” “당연한” 것이라 한다. 남성들의 만성통증 숨기기는 “끈기 없는” 남성이라는 낙인과 통증의 비가시성으로 “엄살”이라는 여겨지는 낙인 때문이다. 이는 만성통증과 질병으로 이들의 남성성을 주변화되기 때문이다. 남녀의 건강기대마저 젠더화되어 있기에,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은 젠더화된 낙인을 경험한다. 아픈 남성과 아픈 여성이 직면한 사회적 기대 그로 인한 사회적 고통은 젠더화되어 있으며, 이 경험에는 계급, 젠더, 연령, 인종이 교차한다.
      이들은 삶을 지속하기 위해 변화하는 신체 능력과 사회적 의무 사이 자구책과 자기 협상을 마련한다. 여성들의 질병서사는 가족과 친구 등 친밀한 관계에서 사회적 역할과 기대를 재편하는 과정을 담는다. 여성들은 딸, 아내, 엄마, 며느리라는 역할 기대는 자신의 몸이 과도하게 사용되는 것이 이야기되는 가운데, 어린자녀를 둔 여성들은 “아픈 엄마”로서의 자녀에 대한 미안함과 죄책감을 표현한다. 20-30대 여성들은 만성통증으로 순종적 여성상에서 벗어나 타인의 시선과 평가에서 자유로워졌다는 변화를 이야기한다. 가족 내 젠더화된 역할 기대를 재고하고 조정하는 것을 이기적인 행동이 아닌 만성통증 관리로 명명하기도 한다. 남성들의 질병서사에서 아픈 남성에게 요구되는 젠더화된 기대, 특히 신체적 강인함에 근거한 헤게모니 남성성을 자신이 수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거나 저항한다. 만성통증이라는 신체적 곤경에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자기 통제를 실현하는 남성적 자아를 상연하기도 한다.
      질병서사 속 만성통증은 직업병으로 해석되지만, 일터에서는 숨겨야 하며 건강한 몸인 양 회사에서 요구하는 일의 속도와 업무량을 맞춰야 하는 곤경이 이야기된다. 만성통증의 비가시성과 통제 불가능성으로 이를 맞출 수 없을 때, 헌신성과 자기관리 능력이라는 노동자로서의 자질을 의심받는다. 이들은 개인화된 대응과 전략을 취하고, 이는 제한적이며 사회적으로 좀처럼 드러나지 않는다. 이들은 만성통증이 만들어낸 실존의 위기 속에서 몸이 더 이상 도구가 아닌 삶의 매개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의 질병서사는 아픈 나에 대한 이해와 정당화, 그리고 아픈 몸으로 살아가는 내 삶의 고투를 담는다. 삶을 서사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만성통증을 지닌 자신에게 내려진 도덕적 잣대가 사회에 대한 질문으로 옮겨간다. ‘완벽한 건강’을 정상성으로 여기는 사회, ‘몸을 통제할 수 있다는 환상’에 대해 질문한다. 이들의 서사전략은 자책과 신세타령에서 나아가 만성통증을 지닌 몸으로 살아가는 곤경을 드러내며 몸을 존중하지 않는 사회, 그리고 몸에 대한 젠더화된 기준과 기대를 지적한다.
      본 논문은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의 질병서사 속 만성통증 경험과 자아의 협상을 분석하며 질병, 연령, 계급, 인종, 젠더 등이 어떻게 상호교차 되는지 살펴보며, 이들의 질병 체험과 말하기 실천을 둘러싼 젠더 동학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실천적 의의는 우선, 질병 경험의 말하기/듣기를 통해 이들의 유한한 몸 경험 속 사회적 고통이 무엇이며 어떤 사회문화적 변화가 필요한가를 포착하였다는 점이다. 두 번째 실천적 의의는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의 생애사 인터뷰 과정에서 질병서사의 치유적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의 질병 서사를 연구하였지만, 한국 사회에서 다양한 질병을 지닌 이들의 삶과 사회적 고통에 주목하는 연구로 확장되어야 한다. 질환의 다양한 종류, 발병 나이, 중증도뿐 아니라 계급, 인종, 연령, 가족상황, 직업, 섹슈얼리티, 지역 등에 따라 이들의 질병 경험과 사회적 고통, 낙인이 어떻게 교차하는지 세밀하게 탐구하는 작업이 요청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장 서론 1
      • 1절 문제제기 1
      • 2절 연구 과제 5
      • 3절 선행 연구 검토 7
      • 1. 질병의 만성성과 자아정체성 8
      • 1장 서론 1
      • 1절 문제제기 1
      • 2절 연구 과제 5
      • 3절 선행 연구 검토 7
      • 1. 질병의 만성성과 자아정체성 8
      • 2. 만성통증에 관한 질병서사 연구들 11
      • 4절 이론적 자원 17
      • 1. 질병서사와 정상성 17
      • 2. 페미니스트 질병 체험 연구 22
      • 5절 분석틀 29
      • 6절 연구방법 35
      • 1. 연구방법 설계 35
      • 2. 연구참여자 모집과 그 이슈들 36
      • 3. 자료의 생산: 구술생애사 면접과 심층 면접 40
      • 4. 연구참여자 특성 45
      • 5. 분석 방법 47
      • 7. 논문의 구성 50
      • 2장 아픈 몸의 언어와 자아 전략 53
      • 1절 자신을 설명하는 곤경 53
      • 1. 불가해한 통증을 지닌 나 54
      • 2. 몸을 괄호치고 사회와 낙인으로 나아가는 협상 59
      • 2절 비유의 언어와 자기 이해의 노력 65
      • 1. “이따이이따이”: 설명해도 알아듣는 사람이 없어요 66
      • 2. “귀신이 어깨를 잡아당기나”: 어떻게 이렇게 아프냐 75
      • 3. “절교하고픈 친구”: 일생동안 함께 가지 않을까 81
      • 4. “업보”: 내가 다 짊어지고 나가야 할 업보 85
      • 5. “영광의 상처”: 내가 헛되이 시간을 보내지 않았구나 91
      • 3절 소결 95
      • 3장 인정의 서사와 방어하는 자아 97
      • 1절 만성통증 질병서사의 패턴 98
      • 1. 인정의 서사 98
      • 2. 치료의 서사 104
      • 3. 조정의 서사 109
      • 2절 김서연: “내 욕구는 있는 그대로 봐주는 것” 115
      • 1. 화상을 입은 몸, “쟤가 여자 역할을 할 수 있을까?” 115
      • 2. “너는 여자애가 왜 그러고 다니냐?” 117
      • 3. “애 문제(임신)가 아니라 내가 아프다고 했는데” 119
      • 4. 독박육아, “육아통”의 시작 121
      • 5. “엄마가 두 발로 걸을 수 없으니 네 발로 가겠다” 124
      • 6. “아홉수... 방법을 찾는 마지노선 같았어” 127
      • 7. “류마티스 확인받을까 무서워서 병원을 미루게 돼” 129
      • 8. “아프면 다시 아픈 사람이 생각나고 기도해주고 싶지” 131
      • 3절 김수지: “현대 의학을 믿지 않게 되었어요” 133
      • 1. “미국은 병원 문턱이 너무 높아요” 134
      • 2. “아픔을 지어낸다고 생각하는 건 엄청 상처예요” 136
      • 3. “시댁은 시댁이구나” 137
      • 4. “병명이 안 나와 기쁜데, 의사들은 실망한 표정이예요” 140
      • 5. “빌어먹고 살아도 이혼은 할 수 있겠다” 142
      • 6. “현대 의학을 믿지 않게 되었어요” 144
      • 7. “잘 나가는 걸 버리는 대신에 인간이 되었구나” 146
      • 4절 젠더화된 건강 기대: 불신에 부딪치는 여성의 만성통증 147
      • 1. “꾀병”: 사소한 통증으로 은폐 148
      • 2. “까탈”: 신체적 문제에서 심리적 문제로 154
      • 5절 가족 관계와 관련된 문제들 161
      • 1. “미묘하게” 말하기 어려운 가족 갈등 162
      • 2. “아픈 엄마”라는 자책 167
      • 6절 소결 172
      • 4장 치료의 서사와 투병하는 자아 174
      • 1절 박은진: “아픈 게 일상이라니까” 174
      • 1. “아픈데 아픈지 몰랐던 게 되게 많아” 175
      • 2. VDT 증후군: “어깨 허리가 아픈 게 병인 걸 알았어” 177
      • 3. “난 자연치유를 선택한 거 같아요” 179
      • 4. “병원도 유행이 있어요” 181
      • 5. “운동 같이 배우지 않으면, 나중에 손주만 보는 할머니 되는 거야” 185
      • 6. “여자여서 아플 때 좋은 점은 한 개도 없어요” 187
      • 7. “아픈 게 일상이라니까” 189
      • 2절 정태욱: “나는 주로 극복 이야기인데, 이번 (통증)엔 병원마다 다 달라요” 191
      • 1. “처음에는 극복했던 거 같아요” 192
      • 2. “병역처분과의 싸움” 194
      • 3. “보장받지 못 했던” 지하철 공익 195
      • 4. “파스로 샤워를 시키자” 198
      • 5. “공익이니까 끈기가 없지” 199
      • 6. “병원마다 의견이 다르니 혼란스러워요” 201
      • 7. “제 마음을 많이 찍어 누르고 살았죠” 203
      • 3절 젠더화된 건강 기대: 말해지지 않는 남성의 만성통증 205
      • 1. “엄살”과 “끈기” 없는 남성 206
      • 2. 주변화된 남성성의 협상 212
      • 4절 치료 실천과 관련된 문제들 218
      • 1. 실패에도 불구하고 치료를 지속하는 믿음 219
      • 2. 합리적 의료소비자로서 자기 규정 225
      • 5절 소결 230
      • 5장 조정의 서사와 성찰하는 자아 233
      • 1절 손화연: “병 뒤에 숨지 말자” 233
      • 1. “원인은 안 알려주고 비싼 치료만 권하는” 병원 234
      • 2. “OTL 자세로 엎어졌어요” 236
      • 3. “몸도 마음도 치료하는 심신 치료소” 239
      • 4. 갑상선 항진증: “물 위에 던져 놓은 솜이불 같아” 240
      • 5 “침 때문에 낫는지 기계 때문에 낫는지 모르겠어요” 242
      • 6 “내 삶을 살아가는 시간이 필요해” 244
      • 7. “벌 수 있을 때 벌어야” vs “순간 확 갈 수 있다” 245
      • 8. “병 뒤에 숨지 말자” 247
      • 2절 임선주: “이왕 아플 거면 덜 아프고 즐겁게 아파야 겠다” 249
      • 1. “근육통이나 성장통인가 보다 했죠” 250
      • 2. 결절종 수술: “넌 운이 나쁜 거야” 251
      • 3. “저 새끼 저거 벌 받은 거다” 253
      • 4. “이름이 두 달 기자예요” 255
      • 5. “잘 맞는 의사를 만나는 건 천운” 257
      • 6. “담배 끊으라 뉴스에 신문을 끊었다는 아빠 심정이 이해돼요” 258
      • 7. “너 나 죽으면 울어줄 거냐?” 261
      • 8. “이렇게 살지 말아야 겠다” 263
      • 3절 젠더화된 기대와 규범에서 벗어나기 265
      • 1. 가족 내 역할과 의무의 조정 266
      • 2. 순종적 여성상의 거부 271
      • 4절 일하는 삶과 관련된 문제들 274
      • 1. 일터에서 통증 숨기기 274
      • 2. “쓰여지는” 몸이 아니라 “살아가기”로 280
      • 5절 소결 285
      • 6장 결론 288
      • 1절 연구결과의 요약 288
      • 1. 만성통증의 설명가능성과 은유들 288
      • 2. 젠더화된 질병 경험과 낙인 290
      • 3. 자아의 협상과 개인화된 대응 291
      • 4. 서사 전략과 저항 293
      • 2절 연구 의의와 한계 295
      • 참고 문헌 30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대중문화사전, 김기란, 최기호, 현실문화연구, , 2009

      2. “질병 체험과 서사.”, 황임경, 의철학연구 10: 3-28, , 2010

      3. “통증을 강요하는 사회”, 김관욱, 인물과사상 232: 158-172, , 2017

      4. “생명윤리에서의 서사의 역할과 의의”, 황임경, 생명윤리 12(1): 1-18, , 2011

      5. 한국 여성의 우울증과 만성통증 연구, 정최경희, 보건복지부, , 2015

      6. “만성통증환자의 생활경험에 관한 연구”, 허혜경, 한국간호학회지 27(1): 13-25, , 1997

      7. “사회학 방법론으로서의 생애사 재구성”, 이희영, 한국사회학 39(3): 120-148, , 2005

      8. “비판적 의료인문학과 거꾸로 의학교육.”, 강신익, 의철학연구 25: 87-119, , 2018

      9. “의료에서 덕과 실천의 매개로서의 서사”, 김진경, 한국의료윤리학회회 지 14(1): 1-11, , 2011

      10. “구술사와 서사의학의 만남, 그 시론적 탐색”, 황임경, 김호연, 의사학 22(2): 357-388, , 2013

      1. 대중문화사전, 김기란, 최기호, 현실문화연구, , 2009

      2. “질병 체험과 서사.”, 황임경, 의철학연구 10: 3-28, , 2010

      3. “통증을 강요하는 사회”, 김관욱, 인물과사상 232: 158-172, , 2017

      4. “생명윤리에서의 서사의 역할과 의의”, 황임경, 생명윤리 12(1): 1-18, , 2011

      5. 한국 여성의 우울증과 만성통증 연구, 정최경희, 보건복지부, , 2015

      6. “만성통증환자의 생활경험에 관한 연구”, 허혜경, 한국간호학회지 27(1): 13-25, , 1997

      7. “사회학 방법론으로서의 생애사 재구성”, 이희영, 한국사회학 39(3): 120-148, , 2005

      8. “비판적 의료인문학과 거꾸로 의학교육.”, 강신익, 의철학연구 25: 87-119, , 2018

      9. “의료에서 덕과 실천의 매개로서의 서사”, 김진경, 한국의료윤리학회회 지 14(1): 1-11, , 2011

      10. “구술사와 서사의학의 만남, 그 시론적 탐색”, 황임경, 김호연, 의사학 22(2): 357-388, , 2013

      11. “노인 관절염 환자의 보완 대체요법 이용 실태”, 박경숙, 류마티스건 강학회지 10(2): 142-155, , 2003

      12. “젠더와 건강: 성인지적 보건정책을 위한 시론”, 정진주, 천희란, 보건행 정학회지 18(2): 130-156, , 2008

      13. “시와 의학교육의 만남에 대한 인문의학적 고찰”, 김성리, 코기토 79: 348-374, , 2016

      14. “의료인문학교육에서 질병체험서사의 활용방안”, 황임경, Korean J Med Edu 25(2): 81-88, , 2013

      15. “질병서사와 치유에 관한 생명-사회-인문학 가설”, 강신익, 의철학연구 20: 35-63, , 2015

      16. [2013]. The rejected body: Feminist philosophical reflections on disability, Wendell, S., Psychology Press. 강진영, 김은정, 황지성 역. 거부당한 몸. 그 린비, , 1996

      17. 신장이식 수혜 청소년의 질병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김수미, 서울 대학교 간호학과 박사학위논문(미간행), , 2016

      18. “마취통증의학분야 연구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2007-2011”, 박미연, 서은경,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2.8: 147-151, , 2012

      19.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산업화 시기 한국 어머니의 모성 경험”, 배은경, 페미니즘 연구 8(1): 69-123, , 2008

      20. “병원에서의 반말 사용과 여성노인환자의 주체성: 돌봄의 젠더 정치”, 이현정, 비교문화연구 24(2): 397-430, , 2018

      21. “문학장르의 경계와 지평: 몸 중심적 사유로서의 서사와 서사중 심의학”, 최혜실, 현대문학이론연구 44: 21-46, , 2011

      22. “비교불가문화연구의 인류학: 생의학과 한의학, 인식과 실천의 분지 읽기”, 김태우, 비교문화연구 22(2): 195-223, , 2016

      23. “한국 여성노인의 생애이야기 속에 나타난 요실금에 대한 서사 분석 연구”, 이봉숙,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미간행), , 2007

      24. “사회분석 범주로서의 ‘젠더’ 개념과 페미니스트 문화 연구: 개 념사적 접근”, 배은경, 페미니즘연구 4(1): 55-100, , 2004

      25. “인류학적 현지로서의 한의학: 동아시아의학 연구주제와 인류학 적 한의학연구의 가능성”, 김태우, 비교문화연구 20(2): 139-175, , 2014

      26. “근골격계 통증에 따른 양ㆍ한방 의료서비스 및 보완대체 요법 이용실태 비교: 서울, 인천, 경기도를 중심으로”, 정건, 김지현, 보건사회연구 31(4): 478-493, , 2011

      27. “아픈 몸에 대한 사회적 낙인은 어디서 오는가: 여성 건강에 사참고 문헌 회적 인식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백영경, 문화와융합 39(3): 193-224, , 2017

      28. [2010]. What makes women sick: gender and the political economy of health. London: Macmillan. 김남순 [외] 역. 무엇이 여성을 병들게 하는 가: 젠더와 건강의 정치경제학, Doyal, L., 파주: 한울, ,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