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당에 비 뿌리고 : 중봉 조헌과 그의 의병들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534880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북랩, 2019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951.902 판사항(23)

      • ISBN

        9791162997383 03990 : ₩1580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지당에 비 뿌리고 : 중봉 조헌과 그의 의병들 / 저자: 조종영

      • 형태사항

        486 p. : 천연색삽화 ; 23 cm

      • 일반주기명

        관련 서적과 논문 자료: p. 486
        서지적 각주 수록

      • 소장기관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공군사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대구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대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경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선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성신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미래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책을 펴내며 = 5
      • 제1부 세상에 남아를 낸 것이 어찌 우연이리오(1544∼1581년)
      • 1. 출생과 세계(世系) = 14
      • 2. 중봉의 어린 시절 = 17
      • 목차
      • 책을 펴내며 = 5
      • 제1부 세상에 남아를 낸 것이 어찌 우연이리오(1544∼1581년)
      • 1. 출생과 세계(世系) = 14
      • 2. 중봉의 어린 시절 = 17
      • 3. 왕후의 명을 거절하다 = 24
      • 가. 학문에 목마른 젊은 선비 = 24
      • 나. 중봉의 스승들 = 27
      • 다. 논향축소(論香祝疏) = 31
      • 4. 명나라 사행(使行)과 동환봉사(東還封事) = 39
      • 가.『조천일기(朝天日記)』 = 39
      • 나. '질정관회환 후 선상팔조소(質正官回還後先上八條疏)' = 52
      • 다. '의상십육조소(擬上十六條疏)' = 71
      • 5. 통진현감(通津縣監) 부임과 시련 = 97
      • 가. 주자대전(朱子大全)의 교정 = 97
      • 나. 통진현감 부임과 유배 = 100
      • 다. 부친과 스승 토정(土亭)의 묘소를 찾다 = 103
      • 6. 도사 중봉(重峯)과 관찰사 정철(鄭澈) = 110
      • 제2부 칼로 죽이나 정사(政事)로 죽이나 살인은 마찬가지입니다(1582∼1590년)
      • 1. 충청도와의 인연 = 118
      • 가. 외직을 자청하다 = 118
      • 나. 벼슬을 버리고 옥천 산골에 은거 = 128
      • 다. '율원구곡가(栗原九曲歌)' = 134
      • 2. 이발(李潑)과의 절교 = 141
      • 3. 공주 제독관에 제수 = 147
      • 가. 변사무겸논학정소(辨師誣兼論學政疏) = 148
      • 나. '만언소(萬言疏)'와 제독관의 사임 = 155
      • 4. 왜국의 사신을 배척하소서 = 160
      • 5. 칼로 죽이나 정사(政事)로 죽이나 살인은 마찬가지입니다 = 172
      • 가. 고향으로 향하는 발길 = 172
      • 나. 도끼를 놓고 올린 '논시폐소(論時弊疏)' = 178
      • 6. 함경도 길주 영동역에 정배하라 = 193
      • 가. 고난의 2천 리 귀양길 = 193
      • 나. 귀양지에서 쓴 상소 = 204
      • 다. 정여립 모반 사건과 중봉의 방면 = 214
      • 라. 이발(李潑)에 대한 변함없는 우정 = 220
      • 7. 영남 지방을 주유하다 = 224
      • 제3부 오직 한 번의 죽음이 있을 뿐이다(1591∼1592년)
      • 1. 전하, 왜국 사신의 목을 베소서! = 246
      • 가. '청참왜사소(請斬倭使疏)' = 248
      • 나. 영호남 비왜지책(嶺湖南備倭之策) = 264
      • 2. 왜란이 임박했다 = 280
      • 3. 왜적의 조선 침공 = 293
      • 가. 임진년이 밝았다 = 293
      • 나. 풍신수길의 조선 침공 계획 = 298
      • 다. 왜적의 침공과 북진 = 300
      • 라. 부인 신 씨의 장례 = 304
      • 4. 오직 한 번의 죽음이 있을 뿐이다 = 307
      • 가. 1차 기병 실패와 보은 차령전투 = 307
      • 나. 공주에서 다시 격문을 띄우다 = 313
      • 다. 충청우도에서 올린 충의(忠義)의 깃발 = 322
      • 라. 청주성을 탈환하라 = 330
      • 마. 근왕(勤王)을 위한 북진 = 344
      • 바. 최후의 금산전투 = 357
      • 제4부 의(義)를 좇아 목숨을 바친 의사(義士)들
      • 1. 중봉 의병을 찾아서 = 386
      • 2. 의를 좇아 목숨을 바친 의사들 = 388
      • 후기
      • 중봉 조헌 선생 순절 후 포전(褒典) = 464
      • 다시 정리해보는 중봉 조헌(重峯 趙憲)의 삶과 정신 = 468
      • 관련 서적과 논문 자료 = 486
      더보기

      온라인 도서 정보

      온라인 서점 구매

      온라인 서점 구매 정보
      서점명 서명 판매현황 종이책 전자책 구매링크
      정가 판매가(할인율) 포인트(포인트몰)
      예스24.com

      지당에 비 뿌리고

      판매중

      미리보기

      15,800원 14,220원 (10%)

      종이책 구매

      790포인트 (5%) 전자책 구매
      • 포인트 적립은 해당 온라인 서점 회원인 경우만 해당됩니다.
      • 상기 할인율 및 적립포인트는 온라인 서점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RISS 서비스에서는 해당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보증하거나 별도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책소개

      자료제공 : NAVER

      지당에 비 뿌리고 (중봉 조헌과 그의 의병들)

      임진왜란 후에 이순신이 있었다면 임진왜란 전에는 중봉 조헌이 있었다! 당대 최고의 문인이자 의병장으로 파란만장한 삶을 살다간 조헌 선생 일대기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도학자요 학인(學人)으로서 율곡과 토정, 성혼의 제자였던 중봉 조헌. 문사답게 그는 국가의 흥망성쇠는 한갓 병력의 강약에 있는 것이 아님을 늘 천명했다. 나라의 근본이 서 있지 않으면 일시적으로 흥성하더라도 쉽사리 무너질 수 있다고 보았다. 조선에 무리한 요구를 해오는 일본에 대해서도 그는 사신의 목을 베어버릴 것을 주장했다. 일본의 강성함은 근본이 확립되지 못한 일시적 강성함이므로, 위축되지 말고 단호하게 대처하기를 촉구했던 것이다. 그런 그는 선조 주변에 글 읽는 사람이 없는 것을 너무 안타까워하며, 왕에게 직언하기를 두려워하지 않았다. 글 읽는 사람이 없으면 인도(人道)와 도의(道義)가 불순해지고, 그러면 하늘도 돕지 않는다고 그는 말했다. 도의의 기운이 만갑(萬甲)의 군사보다 강하다는 것이다. 특히 그는 지부상소로 유명하다. 즉 도끼...

      more

      저자소개

      자료제공 : YES24.COM

      more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