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인권지표를 활용한 인권에 대한 사회과학적 연구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전 지구적으로 사람들이 인권상황을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양적‧질적 측면에서 여전히 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121595
2018
Korean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117-151(35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제 인권지표를 활용한 인권에 대한 사회과학적 연구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전 지구적으로 사람들이 인권상황을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양적‧질적 측면에서 여전히 미...
국제 인권지표를 활용한 인권에 대한 사회과학적 연구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전 지구적으로 사람들이 인권상황을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양적‧질적 측면에서 여전히 미진하다. 본 연구는 6차 세계가치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개인이 자국의 인권상황을 평가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국가‧개인수준변수로 나누어 탐색해보았다. 52개국 6만 7천여 명의 응답에 대한 다층 순서형 로짓 분석결과, 국가수준변수 가운데 인권지표 및 민주주의지표가 인권상황평가와 양(+)의 관계였다. 개인수준변수 가운데에는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인권상황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민주주의를 중요하게 생각할수록 인권상황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반면, 자국의 민주주의 수준을 높게 평가할수록 인권상황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인권개념의 복잡성과 다차원성에도 불구하고, 전세계적으로 인권을 평가하는 보편적인 원리가 국가 및 개인수준에서 어느 정도 확립되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spite the development of social science studies examining human rights based on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dices, there are still not enough amount of empirical studies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investigating how people evaluat...
Despite the development of social science studies examining human rights based on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dices, there are still not enough amount of empirical studies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investigating how people evaluate human rights situation. This study is using the 6th wave data of World Values Survey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an individual’s evaluation on the human rights status of his/her country. Employing data of about 67,000 individuals of 52 countries, we have executed a multi-level ordinal logit analysis which deals with country-level and individual-level variables; this resulted, at the country level, that both human rights index and democracy index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 individual’s human rights evaluation, while, at the individual level, people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tend to evaluate the overall national human rights situation as positive. Moreover, among respondents, the more importance given to democracy meant the higher tendencyto evaluate the human rights situation as negative. Nevertheless, when a person evaluated his/her nation’s level of democracy as high, the person gave positive evaluation on national human rights situation. From this result, despite the complexity and multi-dimensionality of the concept of human rights, we can infer that the universal principles evaluating human rights are globally established at a certain level on both country and individual level.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성, "한국인의 인권인식과 태도, 2005~2011년" 한국이론사회학회 (24) : 401-445, 2014
2 조효제, "인권의 지평 : 새로운 인권 이론을 위한 밑그림" 후마니타스 2016
3 정진성, "인권으로 읽는 동아시아 : 한국과 일본의 인권 개선조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4 정병은, "인권사회학" 다산출판사 100-135, 2013
5 프리먼, 마이클, "인권: 이론과 실천" 아르케 2005
6 멩케·폴만, "인권 철학 입문" 21세기북스 2012
7 김대욱,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의 인권 결정요인: 인권규범의 확산을 중심으로" 국제개발협력학회 7 (7): 41-78, 2015
8 강상진, "다층모형" 학지사 2016
9 정진성, "국민인권의식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1
10 Faust, Jörg, "With or Without Force? European Public Opinion on Democracy Promotion" 52 (52): 861-878, 2014
1 정진성, "한국인의 인권인식과 태도, 2005~2011년" 한국이론사회학회 (24) : 401-445, 2014
2 조효제, "인권의 지평 : 새로운 인권 이론을 위한 밑그림" 후마니타스 2016
3 정진성, "인권으로 읽는 동아시아 : 한국과 일본의 인권 개선조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4 정병은, "인권사회학" 다산출판사 100-135, 2013
5 프리먼, 마이클, "인권: 이론과 실천" 아르케 2005
6 멩케·폴만, "인권 철학 입문" 21세기북스 2012
7 김대욱,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의 인권 결정요인: 인권규범의 확산을 중심으로" 국제개발협력학회 7 (7): 41-78, 2015
8 강상진, "다층모형" 학지사 2016
9 정진성, "국민인권의식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1
10 Faust, Jörg, "With or Without Force? European Public Opinion on Democracy Promotion" 52 (52): 861-878, 2014
11 구정우, "Who Thinks and Behaves According to Human Rights?: Evidence from the Korean National Human Rights Survey" 한국학술연구원 46 (46): 53-87, 2015
12 McFarland, Sam, "Who Cares about Human Rights?" 26 (26): 365-385, 2005
13 World Values Survey, "Wave 6 2010-2014 OFFICIAL AGGREGATE v.20150418"
14 Elkink, Johan A., "The International Diffusion of Democracy" 44 (44): 1651-1674, 2011
15 Brancati, Dawn, "The Determinants of US Public Opinion towards Democracy Promotion" 36 (36): 705-730, 2014
16 Tures, John, "The Democracy-promotion Gap in American Public Opinion" 41 (41): 557-579, 2007
17 Hafner-Burton, Marie E., "Seeing Double: Human Rights Impact Throug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yes" 61 (61): 360-401, 2009
18 Shapiro, Robert Y., "Public Opinion and American Democracy" 75 (75): 982-1017, 2011
19 Bollen, Kenneth A., "Political Rights and Political Liberties in Nations: An Evaluation of Human Rights Measures, 1950 to 1984" 8 (8): 567-591, 1986
20 Anderson, Christopher J., "Political Repression and Public Perceptions of Human Rights" 55 (55): 439-456, 2002
21 Hillebrecht, Courtney, "Perceived Human Rights and Support for New Democracies: Lessons from Mexico" 22 (22): 1230-1249, 2015
22 Marshall, Monty G., "POLITY IV PROJECT: Political Regime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s, 1800-2015 Dataset Users’ Manual" Center for Systemic Peace 2016
23 Snijders, Tom, "Multilevel Analysis: An Introduction to Basic and Advanced Multilevel Modeling" Sage 1999
24 Botvar, Pål K., "Human Rights and the Impact of Religion" Brill 245-263, 2013
25 Hertel, Shareen, "Human Rights and Public Opinion: From Attitudes to Action" 124 (124): 443-459, 2009
26 Boockmann, Bernhard, "Do Human Rights Offenders Oppose Human Rights Resolutions in the United Nations?" 146 (146): 443-467, 2011
27 Cohrs, Christopher J., "Determinants of Human Rights Attitudes and Behavior: A Comparison and Integration of Psychological Perspectives" 28 (28): 441-469, 2007
28 Carlson, Mathews, "Citizens' Perceptions of Human Rights Practices: An Analysis of 55 Countries" 44 (44): 465-483, 2007
29 Liu, Xing, "Applied Ordinal Logistic Regression using Stata: From Single-level to Multilevel Modeling" Sage 2016
30 구정우, "2016년 국민인권의식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6
사회운동은 어떻게 보수정당의 복지정책을 바꾸는가?: 정치매개모형을 통한 반값등록금운동 사례 분석, 2008~2011
무형문화재의 전승원리와 전통방식 해석에 따른 전승구도 변화와 대응: 제주도 옹기장 사례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3 | 1.63 | 1.7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8 | 1.94 | 2.506 | 0.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