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탈북자 은유의 틀 짓기와 『周易』의 틀 허물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8759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사회에서 탈북자에 대한 인식은 복합적인 경향을 띠고 있다. 헌법적 · 민족적 정체성의 측면에서 그들을 동일한 대한민국 국민, 민족 구성원으로 인식하기도 하면서, 언어적 · 문화적 �...

      한국사회에서 탈북자에 대한 인식은 복합적인 경향을 띠고 있다. 헌법적 · 민족적 정체성의 측면에서 그들을 동일한 대한민국 국민, 민족 구성원으로 인식하기도 하면서, 언어적 · 문화적 차이, 정치적 · 이념적 차별성, 사회적 · 경제적 입지의 차이 등의 측면에서 그들을 소수자 혹은 다문화적 시각에서 인식하기도 한다. 이처럼 한국사회에서 탈북자 개념은 동질성이 강조되는 국민 · 민족공동체 범주, 차이와 이질성이 강조되는 소수자 · 다문화 범주 모두와 연관될 수 있는 복합성을 띠고 있는 개념이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한국인들의 탈북자에 대한 인식이 모순적 · 이중적이라고 여겨지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탈북자에 대한 모순적 · 이중적 인식의 기저에 놓인 틀(frame) 분석을 통해 한국사회의 탈북자 인식의 구조와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탈북자들에 대한 남한사람들의 인식의 틀로서 동질성 틀과 이질성 틀의 구조와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은유를 통해 개념화 되고 있는 귀순자, 탈북자 개념 분석을 근거로 이에 관한 논의를 전개해 나가고자 한다. 그리고 아울러 이러한 기존 인식의 틀을 극복하는 대안적 사유로서의 『周易』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ercep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n society tends to be complex. In terms of the constitutional and ethnic identities, they have been perceived as equal citizens and national members of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

      The percep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n society tends to be complex. In terms of the constitutional and ethnic identities, they have been perceived as equal citizens and national members of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distinctive political and ideological views, and different socio-economic status, they also have been recognized as one of minority or multicultural groups. As such, the concept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is complex since they can be categorized as both a national and ethnic community placing emphasis on homogeneity and a minority and multicultural group putting emphasis on heterogeneity. Because of these properties, South Koreans’ perceptions of North Korean defectors seem contradictory. This paper studies the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ns’ perception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by analyzing the underlying frames of their contradictory recogni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To do this, this paper analyzes the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both a “homogeneity frame” and a “heterogeneity frame” as frames of South Koreans’ perception towards North Korean defectors.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concepts of the word kwisunja 歸順者 meaning someone who “submits or surrenders” and the term t’albukcha 脫北者 meaning a “person escaping from the North” that have been conceptualized through metaphors. Furthermore, this paper also studies the significance of the Zhou Yi 周易 as one of the alternative thinking to overcome the existing frames of North Korean defecto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요약
      • Ⅰ. 서론
      • Ⅱ. 탈북자 인식의 복합성
      • Ⅲ. 동질성 틀 짓기 : 歸順者 은유를 중심으로
      • Ⅳ. 이질성 틀 짓기 : 脫北者 은유를 중심으로
      • 한글요약
      • Ⅰ. 서론
      • Ⅱ. 탈북자 인식의 복합성
      • Ⅲ. 동질성 틀 짓기 : 歸順者 은유를 중심으로
      • Ⅳ. 이질성 틀 짓기 : 脫北者 은유를 중심으로
      • Ⅴ.『周易』의 틀 허물기 : 구체적 · 주체적 삶의 현장으로서의 공간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북한이탈주민정책: 입국현황」 통계자료" 통일부

      2 曹勝高, "六韜·鬼谷子" 中華書局 2007

      3 장영수, "헌법총강에 대한 헌법개정 ― 국가의 기본적 구성요소 및 헌법의 기본원리와 관련한 헌법개정 ―" 한국공법학회 34 (34): 83-112, 2006

      4 선우현, "한국인 속의 한국인 이방인 - 국내 탈북자 집단의 인권 문제를 중심으로 -" 한국동서철학회 (64) : 5-28, 2012

      5 윤인진,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한울아카데미 2004

      6 권혁범, "통일에서 탈분단으로: ‘민족동질성 회복’론 및 ‘민족 번영’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영남대학교 통일문제연구소 22 : 2000

      7 박형빈, "통일교육에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한국윤리교육학회 (31) : 213-235, 2013

      8 조지 레이코프,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삼인 2009

      9 고성준, "재중 탈북자 문제와 한국 정부의 정책: ‘조용한 외교’와 ‘적극적 외교’ 사이에서" 한국동북아학회 18 (18): 241-260, 2013

      10 Zoltán Kövecses, "은유" 한국문화사 2003

      1 "「북한이탈주민정책: 입국현황」 통계자료" 통일부

      2 曹勝高, "六韜·鬼谷子" 中華書局 2007

      3 장영수, "헌법총강에 대한 헌법개정 ― 국가의 기본적 구성요소 및 헌법의 기본원리와 관련한 헌법개정 ―" 한국공법학회 34 (34): 83-112, 2006

      4 선우현, "한국인 속의 한국인 이방인 - 국내 탈북자 집단의 인권 문제를 중심으로 -" 한국동서철학회 (64) : 5-28, 2012

      5 윤인진,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한울아카데미 2004

      6 권혁범, "통일에서 탈분단으로: ‘민족동질성 회복’론 및 ‘민족 번영’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영남대학교 통일문제연구소 22 : 2000

      7 박형빈, "통일교육에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한국윤리교육학회 (31) : 213-235, 2013

      8 조지 레이코프,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삼인 2009

      9 고성준, "재중 탈북자 문제와 한국 정부의 정책: ‘조용한 외교’와 ‘적극적 외교’ 사이에서" 한국동북아학회 18 (18): 241-260, 2013

      10 Zoltán Kövecses, "은유" 한국문화사 2003

      11 정병호, "웰컴 투 코리아: 북조선 사람들의 남한살이" 한양대학교출판부 2008

      12 윤여상, "우리 사회에서 탈북민의 존재는?" 북한연구소 (488) : 2012

      13 Zoltán Kövecses, "언어·마음·문화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역락 2010

      14 G. 레이코프, "삶으로서의 은유" 박이정 2014

      15 이봉구, "북한이탈주민의 국제적 보호" 법무부 통일법무과 (10) : 2012

      16 통일부, "북한이탈주민 거주지 정착지원 매뉴얼" 통일부 정착지원과 2014

      17 윤인진, "북한이주민에 대한 남한주민의 민족의식과 다문화의식" 재외한인학회 (30) : 7-40, 2013

      18 윤인진, "북한이주민: 생활과 의식, 그리고 정착지원정책" 집문당 2009

      19 김혜숙, "북한 사람에 대한 고정관념, 감정과 태도" 사단법인 한국심리학회 2000 (2000): 2000

      20 김연재, "복잡계 이론에서 본 주역과 그 메타적 세계관 -동아시아적 사유원형의 모색을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52) : 83-126, 2010

      21 김의수, "민족주의의 양면성과 한민족 공동체건강한 공동체 지향의 생활세계를 위하여"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3 (13): 117-148, 2002

      22 이병수, "민족 공통성 개념에 대한 고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2 (22): 115-146, 2011

      23 G. 레이코프, "몸의 철학: 신체화된 마음의 서구 사상에 대한 도전" 박이정 2002

      24 김재기, "두만강을 건너 온 북한 꽃제비"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2006

      25 천경효, "단일민족과 다문화주의 사이에서 북한 바라보기 - 고정된 역사 속에서의 타자화 현상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3 (23): 274-299, 2015

      26 윤여상, "남한의 귀순동포에 대한 정책 연구" 영남정치학회 (5) : 1995

      27 李勉, "管子今註今譯" 臺灣商務書館 1994

      28 육군·종군작가단, "戰線文學 창간호, 1952.4.10"

      29 육군·종군작가단, "戰線文學 제2집, 1952.12.5"

      30 김송, "戰時文學讀本" 대구 계몽사 1951

      31 騈宇騫, "孫子兵法·孫臏兵法" 中華書局 2007

      32 정병석, "周易의 치료적 함의" 새한철학회 2 (2): 355-374, 2007

      33 高亨, "周易大傳今注" 齊魯書社 1987

      34 金景芳, "周易全解" 上海古籍出版社 2005

      35 王弼, "十三經注疏 整理本 1: 周易正義" 北京大學出版社 2000

      36 황인선, "『주역』의 ‘時’개념을 통해 살펴본 생사의 의미 연구" 새한철학회 70 (70): 129-150, 2012

      37 이덕연, "‘헌법적 정체성’ 확립의 과제와 북한이탈주민의 헌법적 지위" 한국법학원 136 : 27-63, 2013

      38 김득중, "‘빨갱이’의 탄생 : 여순사건과 반공 국가의 형성" 선인 2009

      39 Zoltán Kövecses, "Metaphor in Cognitive Linguistics, Volume 175"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997

      40 남북하나재단, "2014 북한이탈주민 실태조사" 남북하나재단 기획연구부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8 1.43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