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도권 가구의 부동산 투자전략의 특성 및 영향요인 =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Real Estate Investment Strategies in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Househol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177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수도권 가구를 사례로, 부동산 자산관리 전략의 특성을 분석하고, 부동산 자산관리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 하에서 수도권 가구를 대상으로 부동산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결과를 토대로 한 이항로짓모형을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수도권 가구의 부동산 투자전략의 특성을 보면, 총 자산배분전략에서는 부동산 투자확대 전략을, 부동산 자산관리 전략에서는 고위험-고수익 전략, 수도권 투자비중 확대전략, 수익형 부동산 투자비중 확대전략, 지역별 집중전략, 유형별 다변화전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부동산 투자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가구소득, 자산규모, 주택소유여부 변수들이 골고루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로, 수도권과 대구⋅경북 가구간의 부동산 투자전략의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보면, 대체적으로 유사한 투자전략을 가지고 있지만, 위험-수익 포지셔닝 전략과 지역별 다변화전략에서는 차별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넷째로, 수도권과 대구⋅경북 가구의 부동산 투자전략을 유형화한 결과, 안전지향형, 기회추구형, 절충형 등 3가지 전략을 도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수도권 가구를 사례로, 부동산 자산관리 전략의 특성을 분석하고, 부동산 자산관리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 하에서 수도권...

      본 연구는 수도권 가구를 사례로, 부동산 자산관리 전략의 특성을 분석하고, 부동산 자산관리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 하에서 수도권 가구를 대상으로 부동산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결과를 토대로 한 이항로짓모형을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수도권 가구의 부동산 투자전략의 특성을 보면, 총 자산배분전략에서는 부동산 투자확대 전략을, 부동산 자산관리 전략에서는 고위험-고수익 전략, 수도권 투자비중 확대전략, 수익형 부동산 투자비중 확대전략, 지역별 집중전략, 유형별 다변화전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부동산 투자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가구소득, 자산규모, 주택소유여부 변수들이 골고루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로, 수도권과 대구⋅경북 가구간의 부동산 투자전략의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보면, 대체적으로 유사한 투자전략을 가지고 있지만, 위험-수익 포지셔닝 전략과 지역별 다변화전략에서는 차별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넷째로, 수도권과 대구⋅경북 가구의 부동산 투자전략을 유형화한 결과, 안전지향형, 기회추구형, 절충형 등 3가지 전략을 도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eal estate investment strategies, and examining factors influencing them in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households. Under these research purpose, questionnaire survey is done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is used as a research metho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show that respondents prefer expansion of real estate strategy as total asset allocation strategy, and prefer low risk-low return strategy, expansion of Seoul metropolitan area strategy, expansion of profitable real estate strategy, and concentration strategy of regions as real estate investment strategy. Secondly, factors influencing each real estate asset management strategies are age, gender, household income, wealth and ownership of house. Thirdly, considering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Daegu-Gyeonbuk, risk-return positioning strategy and diversification strategy of regions are different between them. fourthly, low-risk driven type, opportunistic type and commingled type are derived through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eal estate investment strategies, and examining factors influencing them in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households. Under these research purpose, questionnaire survey is done and binary logi...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eal estate investment strategies, and examining factors influencing them in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households. Under these research purpose, questionnaire survey is done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is used as a research metho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show that respondents prefer expansion of real estate strategy as total asset allocation strategy, and prefer low risk-low return strategy, expansion of Seoul metropolitan area strategy, expansion of profitable real estate strategy, and concentration strategy of regions as real estate investment strategy. Secondly, factors influencing each real estate asset management strategies are age, gender, household income, wealth and ownership of house. Thirdly, considering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Daegu-Gyeonbuk, risk-return positioning strategy and diversification strategy of regions are different between them. fourthly, low-risk driven type, opportunistic type and commingled type are derived through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미화, "주택자산이 가구의 금융자산 포트폴리오 선택에 미치는 영향" 국토연구원 73 : 99-114, 2012

      2 박주영, "자산계층별 가계 포트폴리오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17 (17): 193-206, 1999

      3 박원석, "위험조정모형을 활용한 미국 REITs의 부동산 유형별 성과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 12 (12): 665-680, 2009

      4 고성수, "부동산자산을 포함한 복합자산 포트폴리오 연구- 부계정의 적정자산배분에 관하여 -" 한국금융연구원 18 (18): 155-177, 2004

      5 박원석, "대구⋅경북 거주자의 부동산 자산관리 전략의 특성 및 영향요인" 한국부동산연구원 24 (24): 35-48, 2014

      6 Buetow Jr., G. W., "The Real Estate Asset Allocation Decision: Monetary Policy Implications" American Real Estate Society 7 (7): 215-223, 2001

      7 Cocco, J., "Portfolio Choice in the Presence of Housing" Oxford University Press 18 (18): 535-567, 2005

      8 Bond, S. A., "Optimal allocation to real estate incorporating illiquidity risk" Palgrave Macmillan Ltd 7 (7): 2-16, 2006

      9 Ricciarelli, M., "Investment choice and asset allocation of Italian households: the discretecontinuous approach" Taylor & Francis Online 43 (43): 651-662, 2011

      10 Lahey, K. E., "Household Income, Asset Allocation, and the Retirement Decision" Academy of Financial Services 12 : 219-238, 2003

      1 임미화, "주택자산이 가구의 금융자산 포트폴리오 선택에 미치는 영향" 국토연구원 73 : 99-114, 2012

      2 박주영, "자산계층별 가계 포트폴리오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17 (17): 193-206, 1999

      3 박원석, "위험조정모형을 활용한 미국 REITs의 부동산 유형별 성과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 12 (12): 665-680, 2009

      4 고성수, "부동산자산을 포함한 복합자산 포트폴리오 연구- 부계정의 적정자산배분에 관하여 -" 한국금융연구원 18 (18): 155-177, 2004

      5 박원석, "대구⋅경북 거주자의 부동산 자산관리 전략의 특성 및 영향요인" 한국부동산연구원 24 (24): 35-48, 2014

      6 Buetow Jr., G. W., "The Real Estate Asset Allocation Decision: Monetary Policy Implications" American Real Estate Society 7 (7): 215-223, 2001

      7 Cocco, J., "Portfolio Choice in the Presence of Housing" Oxford University Press 18 (18): 535-567, 2005

      8 Bond, S. A., "Optimal allocation to real estate incorporating illiquidity risk" Palgrave Macmillan Ltd 7 (7): 2-16, 2006

      9 Ricciarelli, M., "Investment choice and asset allocation of Italian households: the discretecontinuous approach" Taylor & Francis Online 43 (43): 651-662, 2011

      10 Lahey, K. E., "Household Income, Asset Allocation, and the Retirement Decision" Academy of Financial Services 12 : 219-238, 2003

      11 Riley Jr., W. B., "Asset Allocation and Individual Risk Aversion" 48 (48): 32-37, 1992

      12 Pelizzon, L., "Are Household Portfolios Efficient? An Analysis Conditional on Hous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43): 401-432,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6-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감정평가연구 -> 부동산연구
      외국어명 : Korean Appraisal Review -> Korea Real Estate Review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6 1.1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