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웃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공간 소지역 추정량 비교 = Comparison of Spatial Small Area Estimators Based on Neighborhood Information Syst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543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격자자료(lattice data) 분석 방법을 이용한 소지역 추정(small area estimation)이 연구되고 있으며 좋은 결과를 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지역 추정에 주로 사용되는 격자자료(lattice data...

      최근 격자자료(lattice data) 분석 방법을 이용한 소지역 추정(small area estimation)이 연구되고 있으며 좋은 결과를 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지역 추정에 주로 사용되는 격자자료(lattice data) 분석의 경우 가장 자료를 잘 설명할 수 있는 이웃정보시스템을 사용하여야 분석의 효율을 향상시킨 수 있다. 최근 이강석과 신기일 (2008)은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여러 이웃정보시스템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강석과 신기일(2008)이 제안한 여러 이웃정보시스템이 소지역 추정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MSE, 커버리지, 캘리브레이션 그리고 회귀분석 방법 등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2001년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실업자수 자료가 비교에 사용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many small area estimation methods using the lattice data analysis have been studied and known that they have good performances. In the case of using the lattice data which is mainly used for small area estimation, the choice of better neighb...

      Recently many small area estimation methods using the lattice data analysis have been studied and known that they have good performances. In the case of using the lattice data which is mainly used for small area estimation, the choice of better neighborhood information system is very important for the efficiency of the data analysis. Recently Lee and Shin (2008) compared and analyzed some neighborhood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GIS methods.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effect of various neighborhood information systems which were suggested by Lee and Shin (2008). For comparison of the estimators, MSE, Coverage, Calibration, Regression methods are used. The number of unemployment in Economic Active Population Survey(2001) is used for the comparis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희진, "축소예측을 이용한 소지역 추정" 한국통계학회 21 (21): 109-123, 2008

      2 이상은, "공간통계량을 활용한 베이지안 자기 포아송 모형을 이용한 소지역 통계" 한국통계학회 19 (19): 421-430, 2006

      3 이강석, "격자자료분석을 위한 이웃정보시스템의 비교" 한국통계학회 21 (21): 387-397, 2008

      4 김달호, "가계조사 지역별 추정기법" 통계청 2004

      5 Cressie, N. A. C., "Statistics for Spatial Data" John Wiley & Sons 1993

      6 Rao, J. N. K., "Small Area Estimation" John Wiley & Sons 2003

      7 Kaluzny, S. P., "S+ Spatial Stats: User's Manual for Windows and UNIX" Springer 1998

      8 McEwin, M., "Regional Statistics: Small Area Estimation in Official Statistics" UNESCAP 2006

      9 Brown, G., "Evaluation of small area estimation methodsapplication to unemployment estimates from the UK LFS" 2001

      10 Falosi, P. D., "Empirical comparison of small area estimation methods for the Italian labour force survey" 20 : 171-176, 1994

      1 황희진, "축소예측을 이용한 소지역 추정" 한국통계학회 21 (21): 109-123, 2008

      2 이상은, "공간통계량을 활용한 베이지안 자기 포아송 모형을 이용한 소지역 통계" 한국통계학회 19 (19): 421-430, 2006

      3 이강석, "격자자료분석을 위한 이웃정보시스템의 비교" 한국통계학회 21 (21): 387-397, 2008

      4 김달호, "가계조사 지역별 추정기법" 통계청 2004

      5 Cressie, N. A. C., "Statistics for Spatial Data" John Wiley & Sons 1993

      6 Rao, J. N. K., "Small Area Estimation" John Wiley & Sons 2003

      7 Kaluzny, S. P., "S+ Spatial Stats: User's Manual for Windows and UNIX" Springer 1998

      8 McEwin, M., "Regional Statistics: Small Area Estimation in Official Statistics" UNESCAP 2006

      9 Brown, G., "Evaluation of small area estimation methodsapplication to unemployment estimates from the UK LFS" 2001

      10 Falosi, P. D., "Empirical comparison of small area estimation methods for the Italian labour force survey" 20 : 171-176, 1994

      11 Jung-O Kim, "Comparison of Small Area Estimations by Sample Sizes" 한국통계학회 13 (13): 669-683,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4 0.565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