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저침적 HNS 회수용 기계장치의 성능요건 기반 개념설계 = Conceptual Design of Mechanical System for Recovery of Seabed-Deposited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Based on Performance Require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120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HNS) may cause maritime incidents during marine transportation, which are liable to lead to a large amount of spillage or discharge into the sea. The damage to the marine environment caused by the HNS spill or dischar...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HNS) may cause maritime incidents during marine transportation, which are liable to lead to a large amount of spillage or discharge into the sea. The damage to the marine environment caused by the HNS spill or discharge is known to be much greater than the damage caused by oil spill. Particularly dangerous is HNS, which is deposited or buried in the seabed, as it can damage the organisms that live on, in, and near the bottom of the sea, the so-called “benthos,” forming the benthic ecosystem. Therefore, it is vital that the HNS deposited on the seabed be recovered. In order to do so, procedures and equipment are required for accurate detection, stabilization treatment, and recovery of HNS in subsea sediment. Thus, when developing a mechanical recovery system, the performance requirements should be selected using performance indices, and the conceptual design of the mechanical recovery system should be based on performance requirements decided upon and selected in advance.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rrive at a conceptual design for a mechanical recovery system for the recovery of HNS deposited on the seabed. In the design of the system, based on the fundamental scenario, the method of suction foundation with the function of self enclosing was adopted for recovering the HNS sediment in the subsea sediment. The mechanical recovery system comprises the suction foundation, pollution prevention, a pump system, control system, monitoring device, location information device, transfer device, and tanks. This conceptual design is expected to be reflected and used in the basic design of the components and shapes of the mechanical recovery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위험유해물질(HNS,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은 해상운송 과정에서 다양한 사고에 노출되어 있어 많은 양이 바다에 유출될 우려가 있다. HNS 유출에 따른 해양환경의 손상은 유류 유출에 의한 ...

      위험유해물질(HNS,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은 해상운송 과정에서 다양한 사고에 노출되어 있어 많은 양이 바다에 유출될 우려가 있다. HNS 유출에 따른 해양환경의 손상은 유류 유출에 의한 손상보다도 훨씬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해저로 침강하여 침적되는 HNS는 해저생태계에 돌이키기 어려운 피해를 주게 되므로, 반드시 회수되어야 한다. 해저로부터 HNS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해저침적 HNS에 대한 정확한 탐지, 안정화 처리 및 회수를 위한 절차와 장비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기계적 회수장치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성능지표를 이용하여 성능요건을 선정하고, 이를 토대로 기계적 회수장치에 대한 개념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저침적 HNS의 회수 절차에서 요구되는 기계적 회수장치에 대한 개념설계안을 제시하였다. 개념설계안으로 해저침적 HNS를 회수하기 위한 기본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자체적 밀폐 성능을 가지는 흡인 기초를 활용하는 방안을 채택하였다. 기계적 회수장치는 흡인 기초, 오염 방지, 펌프 시스템, 제어 시스템, 모니터링 장비, 위치정보 장비, 이송 장비, 탱크로 구성된다. 이러한 개념설계안은 기계적 회수장치의 부품 및 형상을 결정하는 기본설계에 반영되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광수, "해상화학사고 대응을 위한 국내 교육훈련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 국내 체계와 외국 체계의 비교를 기반으로 -" 해양환경안전학회 23 (23): 847-857, 2017

      2 김영윤, "해상 위험·유해물질(HNS) 관리 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 21 (21): 672-678, 2015

      3 이문진, "위험유해물질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가상시나리오 개발" 해양환경안전학회 20 (20): 677-684, 2014

      4 장하용,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한 HNS 사고이력관리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해양환경안전학회 23 (23): 168-176, 2017

      5 한동균, "고주파 능동소나를 이용한 저층 침적 위험유해물질 대체물질 음향 탐지 실험 및 모의" 해양환경안전학회 24 (24): 459-466, 2018

      6 Tjelta, T. I., "The suction foundation technology, Frontiers in offshore geotechnics III" 85-, 2015

      7 Tjelta, T. I., "Suction piles: Their position and application today" International Society of Offshore and Polar Engineers 1-6, 2001

      8 Sparrevik, P., "Suction pile technology and installation in deep waters" 2002

      9 Wang, X., "Seismic centrifuge modelling of suction bucket foundation for offshore wind turbine" 114 : 1013-1022, 2017

      10 Hwang, H. J., "Introduction to submarine probe and treatment technologies of hazardous noxious substances" 519-521, 2019

      1 김광수, "해상화학사고 대응을 위한 국내 교육훈련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 국내 체계와 외국 체계의 비교를 기반으로 -" 해양환경안전학회 23 (23): 847-857, 2017

      2 김영윤, "해상 위험·유해물질(HNS) 관리 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 21 (21): 672-678, 2015

      3 이문진, "위험유해물질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가상시나리오 개발" 해양환경안전학회 20 (20): 677-684, 2014

      4 장하용,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한 HNS 사고이력관리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해양환경안전학회 23 (23): 168-176, 2017

      5 한동균, "고주파 능동소나를 이용한 저층 침적 위험유해물질 대체물질 음향 탐지 실험 및 모의" 해양환경안전학회 24 (24): 459-466, 2018

      6 Tjelta, T. I., "The suction foundation technology, Frontiers in offshore geotechnics III" 85-, 2015

      7 Tjelta, T. I., "Suction piles: Their position and application today" International Society of Offshore and Polar Engineers 1-6, 2001

      8 Sparrevik, P., "Suction pile technology and installation in deep waters" 2002

      9 Wang, X., "Seismic centrifuge modelling of suction bucket foundation for offshore wind turbine" 114 : 1013-1022, 2017

      10 Hwang, H. J., "Introduction to submarine probe and treatment technologies of hazardous noxious substances" 519-521, 2019

      11 Clarke, L. J., "Impacts of a novel shellfishing gear on macrobenthos in a marine protected area: pump-scoop dredging in Poole Harbour, UK" 31 : 5-, 2018

      12 Hogervorst, J. R., "Field trails with large diameter suction piles, In Offshore Technology Conference" 217-224, 1980

      13 정민기,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of HNS Hazard Levels to Prevent Accidents at Sea in Real-Time" 해양환경안전학회 23 (23): 242-249, 2017

      14 Kim, C. J., "A Case Study on the Chemical behavior for Sinking HNS (Hazardous & Noxious Substance) in Marine Environment" 135-,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3 0.59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