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력,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038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literacy,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medication adherence and to determine its impact on medication adherence in the elderly.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literacy,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medication adherence and to determine its impact on medication adherence in the elderly.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urvey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220 elderly in a communit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IBM SPSS 18.0. Results: The mean scores of health literacy,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medication adherence were 35.89±19.39, 55.34±7.44, 86.54±15.90 and 4.82±1.83,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health literacy,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medication adherence. Social support (β =.23, p=.001) and health literacy (β=.21, p=.002)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factors with medication adherence. Conclusion: This finding showed that nursing interventions to promote medication adherence in the elderly group should focus on social support program and health literacy interven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현, "한국형 건강정보이해능력 측정도구(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의 비교 및 개선 방안"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8 (28): 57-65, 2011

      2 성춘희, "재가노인의 약물지식과 약물오남용행위 및 사회적지지의 구조모형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2160-2169, 2014

      3 김성수, "의료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한국형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2 (22): 215-227, 2005

      4 유승희, "약물이행과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 고찰" 한국보건간호학회 29 (29): 285-297, 2015

      5 민신홍,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의 약물복용이행 설명모형 구축" 기본간호학회 19 (19): 463-473, 2012

      6 전해옥, "만성질환 관련 비마약성 진통제 처방 노인의 약물사용 실태 및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초간호학회 19 (19): 18-29, 2017

      7 권중돈, "노인의 자기인식과 차별경험이 노인의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49) : 81-106, 2010

      8 이송흔, "노인의 우울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에서대인관계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397-406, 2017

      9 김정선, "노인의 약물 오 ‧ 남용행위 예측 모형" 한국노인간호학회 15 (15): 32-42, 2013

      10 김유정, "노인 입원환자의 의료기관 인쇄물에 대한 읽기 쉬움 평가와 의료정보 이해능력" 한국노인간호학회 16 (16): 9-17, 2014

      1 이수현, "한국형 건강정보이해능력 측정도구(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의 비교 및 개선 방안"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8 (28): 57-65, 2011

      2 성춘희, "재가노인의 약물지식과 약물오남용행위 및 사회적지지의 구조모형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2160-2169, 2014

      3 김성수, "의료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한국형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2 (22): 215-227, 2005

      4 유승희, "약물이행과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 고찰" 한국보건간호학회 29 (29): 285-297, 2015

      5 민신홍,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의 약물복용이행 설명모형 구축" 기본간호학회 19 (19): 463-473, 2012

      6 전해옥, "만성질환 관련 비마약성 진통제 처방 노인의 약물사용 실태 및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초간호학회 19 (19): 18-29, 2017

      7 권중돈, "노인의 자기인식과 차별경험이 노인의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49) : 81-106, 2010

      8 이송흔, "노인의 우울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에서대인관계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397-406, 2017

      9 김정선, "노인의 약물 오 ‧ 남용행위 예측 모형" 한국노인간호학회 15 (15): 32-42, 2013

      10 김유정, "노인 입원환자의 의료기관 인쇄물에 대한 읽기 쉬움 평가와 의료정보 이해능력" 한국노인간호학회 16 (16): 9-17, 2014

      11 류경희, "노인 만성질환자의 인지기능과 자기 효능감이 약물복용 이행도에 미치는 영향" 기초간호학회 15 (15): 107-114, 2013

      12 조은희, "고혈압 환자의 약물복용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4 (24): 419-426, 2013

      13 손연정, "고혈압 환자의 건강정보 활용능력이 질병관련 지식 및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 19 (19): 6-15, 2012

      14 김영희, "가정간호 노인대상자의 처방약물복용 실태 및 복용 이행도 영향요인"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2 (22): 290-301, 2011

      15 Sherer, M.,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51 (51): 663-671, 1982

      16 Hong, J. W.,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Ewha Womans University 1999

      17 Statistics Korea, "The aged population statistics"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urvey of the elderly, 2014"

      19 Davis, T. C., "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 A shortened screening instrument" 25 (25): 391-395, 1993

      20 Morisky, D. E., "Predictive validity of a medication adherence measure in an outpatient setting" 10 (10): 348-354, 2008

      21 Bosworth, H. B., "Medication adherence: A call for action" 162 (162): 412-424, 2011

      22 Oh, H. S.,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of Korean women with arthritis" 23 (23): 617-630, 1993

      23 Ratzan, S. C., "Health literacy: Identification and response" 11 (11): 713-715, 2006

      24 Baker, D. W., "Health literacy and mortality among elderly persons" 167 : 1503-1509, 2007

      25 Miller, T. A., "Health literacy and adherence to medical treat- ment in chronic and acute illness: A meta-analysis" 99 (99): 1079-1086, 2016

      26 Kim, M. Y., "Depression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Soonchunhyang University 2009

      27 Vestbo, J., "Bias due to withdrawal in long-term randomised trials in COPD: Evidence from the TORCH study" 5 (5): 44-49, 2011

      28 MacLaughlin, E. J., "Assessing medication adherence in the elderly" 22 (22): 231-255, 2005

      29 Gellad, W. F., "A systematic review of barriers to medication adherence in the elderly: Looking beyond cost and regimen" 9 (9): 11-23, 2011

      30 Park, J. W.,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Yonsei University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4-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Rheumatology Health ->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7-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류마티스건강전문학회 -> 대한근관절건강학회
      영문명 : Korean Rheumatology Health Professionals Society -> Korean Society of Muscle and Joint Health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4 1.56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