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爲民과 休息의 정치론 = 來庵 鄭仁弘의 정치의식과 현실인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176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정인홍의 현실인식과 정치론의 성격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정인홍은 사류를 국가의 원기로 인정한 가운데 一黨專制의 정치를 구상했으며, 국가가 갖추고 있는 형벌, 무력을 적...

      이 글에서는 정인홍의 현실인식과 정치론의 성격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정인홍은 사류를 국가의 원기로 인정한 가운데 一黨專制의 정치를 구상했으며, 국가가 갖추고 있는 형벌, 무력을 적극 활용하는 ‘伐邑’의 정치를 강조했다. 이와 함께 정인홍은 ‘民’의 안정을 통하여 ‘國’의 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여겼다. ‘보민’ ‘위민’의 논리 위에서의 국가 공고화론이었는데, 이 생각은 정치권 일각에서 일본과의 전쟁을 거치며 활발하게 이루어지던 ‘국’의 영역을 강화하자는 움직임과는 대립하는 요소를 지니고 있었다. 전쟁기에 시행되었던 召募陣, 束伍軍등의 새로운 군대를 혁파하고 감사의 留營制를 폐지하자는 주장, 수령 적임자를 뽑아 그들의 지방민에 대한 침탈을 방지하도록 하자는 주장은 모두 이러한 맥락에서 제시된 사회경제적 대책이었다.
      이러한 모습은 민의 休息그리고 이를 통한 民力과 國力의 회복을 기대하는 의식과 연관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지방에 살았던 ‘민’의 처지 위에서 만들어진 자연스런 것이었지만, 한편으로 민의 휴식을 강조하는 노장사상과도 연결되는 태도이기도 했다. 정인홍의 생각은 ‘國’ 영역을 강조하며 집권 체제를 강화해 가던 당시의 大勢와는 상충하는 점이 있었다. 서인계 인물로서 성혼과 이이의 학문에 영향 받았던 이귀가 1601년(선조 34)에 정인홍의 죄를 성토했던 것은 ‘민’의 영역을 극히 중시하고 강조했던 정인홍에 대해 그 반대편에서 ‘국’의 확장과 강화를 강조했던 인물이 보내는 공격의 일단이었다.
      요컨대, 정인홍의 정치적 사유는 공권에 압도당하지 않는 재지 사족의 지위와 역할을 중시하고 그 위에서 전란 전후의 위기 국면을 돌파하려는 요소를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것은 지방적 분권적 질서 위에서 조선의 현실을 진단하고 정치 운영의 방향을 설정하려는 모습이기도 했다. 정인홍 스스로 ‘위민론’ ‘보민론’을 표방했지만 그 언설이 내포했던 것은 지역 士大夫의 영향력이 크게 작동하는 사회를 변함없이 유지하는 것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has looked into the political concepts of Jeong, In-Hong(鄭 仁弘), the political leader of late 16th century-early 17th century in Joseon dynasty. Jeong, In-Hong focused on a single party-led political state and powerful political empow...

      This thesis has looked into the political concepts of Jeong, In-Hong(鄭 仁弘), the political leader of late 16th century-early 17th century in Joseon dynasty. Jeong, In-Hong focused on a single party-led political state and powerful political empowerment and valued "citizen" rather than ‘country’ and tried not to be affirmative of big changes in policy and law. This seems related to the thought of rest for citizen and expectation of citizen power and national power through it and was clearly different from the moves of political parties that tried to prevent war through changes in law. Also, his thoughts collided with the current state of emphasizing the ‘nation’ territory and strengthening the power centralism system.
      The political reasoning of Jeong, In-Hong had strong tendency of keeping the current orders of local decentralization. Although he contended the theory of caring citizen and protecting citizens, the theory had implications of keeping the society that had big influence of local great man. In certain terms, at a time during the war season, the retreat of Jeong, In-Hong and the political demise of the northern party resulted into the collision of the big flow of strengthening the centralization of power and the move to keep the local decentralization orders that eventually had the latter lo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伐邑’의 정치운영론과 ‘保民’의 정치의식
      • Ⅲ. 집권체제의 강화 반대와 전쟁기 新行 制度의 폐지 주장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伐邑’의 정치운영론과 ‘保民’의 정치의식
      • Ⅲ. 집권체제의 강화 반대와 전쟁기 新行 制度의 폐지 주장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