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복강경 난관불임수술에 대한 임상적 연구 = A Clinical Study on the Laproscopic Tubal Steril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6053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76년 9월부터 1977년 11월까지 서울의대부속병원산부인과를 내방한 불임수술희망자중 금기가 없는 250예에 대하여 복강경불임수술을 시행함에 있어서 난관불임조작법으로는 Cold method인 Silast...

      1976년 9월부터 1977년 11월까지 서울의대부속병원산부인과를 내방한 불임수술희망자중 금기가 없는 250예에 대하여 복강경불임수술을 시행함에 있어서 난관불임조작법으로는 Cold method인 Silastic band법 100예, Hot method인 전기소작법 150예를 임의로 실시한 결과를 임상통계학적으로 비교, 분석,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연령분포는 30∼34세군이 전체의 41.6%이어서 가장 많았고 평균연령은 34.4세, 최소 연령은 25세, 최고연령은 49세 이었다. 2. 생존아수는 3명이 전체의 48%로 가장 많았고, 2명, 4명의 순서이었으며 평균자녀수 는 2.8명 이었다. 3. 인공유산을 경험하지 않은 예는 8.8%뿐 이었으며 7회 이상 경험한 예가 6.4%, 최고 경험회수가 15회이었다. 4. 생존자녀의 성별은 두 아들을 가진 부인이 전체의 44.8%, 딸 하나를 가진 부인은 전 체의 48.0%로 아들 2명, 딸 1명의 분포가 가장 많았다. 평균남아수는 1.7명, 평균여아수 는 1.5명이나 남아없이 시술한 예가 4.4%나 되었고, 여아없이는 20.0%이었다. 5. 최종임신결과를 보면 전체의 81.2%에서 인공유산을 시켰다. 그리고 교육정도를 보면 63.2%가 중·고졸, 21.5%가 대졸, 나머지 국졸은 12.8%로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불임수 술에 대한 이해가 높은 것 같았다. 6. 수술전까지의 피임법은 경구피임이 32.4%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무피임으로 31.6%, Condom이 20.0%, 자궁내장치가 13.2%의 순이었다. 7. 시술된 마취는 전체의 97.2%가 국소마취이었고, 전체마취는 2.8%에 불과하였다. 8. 수술소요시간은 Silastic Band군에서 92.0%가 15분이내 이었으나, 전기소작법군에서 는 90.0%이어서 Silastic Band군에서 약간 단축되었다. 9. 수술후 재원시간은 Silastic Band군에서 전체의 79.0%가 3시간 이내이었으나 전기소 작군에서는 63.3%가 3시간 이내에서 이것 역시 Silastic Band군에서 약간 단축되고 잇 다. 10. 개복수술의 기왕력을 가졌던 예는 전체의 7.2%이었고, 충수절제가 2.8%로 가장 많 았고, 제왕절개수술이 2.4%, 부속기절제수술이 1.6%의 순이었으며 불임술이 불가능 하 였던 예는 없었다. 11. 초기인공임신중절과 동시에 시술되었던 예가 전체의 33.2%이었으나 수술소요시간이 나 합병증에 잇어서 비임부와 큰 차이가 없었다. 12. 수술당시의 합병증으로 Silastic band군에서는 결찰부위로 부터의 출혈이 2예 (2.0%)있었으나, 이중결찰로 곧 지혈이 되었고 또 잘 못 결찰된 것이 3예(3.0%)있었으 나 특별한 지장이 없었다. 반면 전기소작법에서는 응고 또는 단절된 난관간막으로 부터 의 출혈이 7예(4.7%), 광인대화상,직장화상,수술직후의 실신이 각각 1예씩 있었으나 개 복수술이 필요하였던 예는 없었다. 그러나 합병증은 전기소작군에서 증가되었다. 13. 수술직후의 합병증으로 진통제를 필요로 할 정도가 아닌 경미한 동통이 Silastic band군에서 13.0%있었는데 전기소작군에서는 8.0%이었으나 모두 별처치 없이 귀가하 였다. 그러나 진통제가 필요한 정도의 동통이 Silastic band군에서 6.0% 있었고, 전기소 작군에서는 0.7 있었으나 baralgin Aspirin 등의 진통제 투여로 곧 진정되어 귀가 하였 다. 14. 수술후 실패율(임신율)은 현재까지의 추후관찰에서는 1예도 없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increased interest in population control as well as concern over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other contraception have resulted in a marked increase in the demand for frmale sterilization that are safe and effective and can be done wit...

      recently the increased interest in population control as well as concern over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other contraception have resulted in a marked increase in the demand for frmale sterilization that are safe and effective and can be done with mininal expences and hospitalization. In this regard,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which has advantages of a minimal single infraumbilical incision, use of local anesthesia, and simplified instrumentation has become a supreme method of outpatient tubal steriliszation has become a supreme method of outpatient tubal sterilization throughout the world. From september 1976 to November 1977, of 250 cases of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100 procedures of silastic band application and 150 procedures of electro coagulation by randome selection were attempted to observe the nature and frequency of side effects and complications as well as the postoperative failure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omparison in various aspects was also made between silastic band technique and electro coagulation proceur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Average age of client was 34.4 year, the youngest was 25 years, and the oldest was 49 years. About 41.6 percent of clients aged 30-34 2. Women having 3 living children represented 48 percent of the total and average number of living children was 2.8. 3. Only 0.8 percent of the cases had not experienced indueced abortion, where as about 6.4 percent of clients had experienced in 7 or more induced abortion, The greatest number of induced abortion was 15. 4. According to the sex of their children, the greatest number of cases had 2 sons and 1 daughter. About 44.8 percent of cases had 2 sons, while 48.0 percent of the clients had only one daughter. Their average number of sons was 1.7, and the average number of daughter was 1.5, which showed a trend of male preference. 5. About 81.2 % of the clients had experienced in induced abortion before this sterilization compared with 18.0% havingterm deliveries. Educational level showed that graduate of secondary school rated first comprising 63.2% of the total and college graduates rated 21.5%. Comparatively higher educated women were more accepting of this procedure. 6. Contraceptive methods priorto this sterilization were 32.4% with oral contraceptives, 31.6 percent of the cases had not used any contraceptives. 20.0 percent were condom users and IUD was 13.2 percent. 7. Sterilization procedures have been performed under local anesthesia in 97.2 percent and under general anesthesia in 2.8 percent. 8. The operative time was less than 15 minutes in about 90.0 percent in both procedures. 9. Seventy nine percent of the silastic band group had been hospitalized for 3 hours or less whereas 63.3 percent of the electro-coagulation group, for 3 hours or less. 10. Among the total number of 250 cases, 18 women had a previous history of abdominal surgery, the majority of this being appendectmy and cesarean section. And no specific difficulty was encountered during the tubal sterilization. 11. The incidental pregnancy termination in the first trimester and laparoscopic sterilization were performen in 83 cases out of the total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operative time and complication, which compared with those in nonpregnant wome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